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흰쥐의 외과적 창상에 대한 Ginsenoside Rg1의 치료효과

        임애경(Ae-Kyoung Lim),김길수(Kil-Soo Kim),박수정(Su-Jung Park),홍주헌(Joo-Heon Hong),최향자(Hyang-Ja Choi),김대익(Dae-I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10

        상처치료 과정 중 ginsenoside Rg1(5,000 ppm, 10,000 ppm) 처리에 의한 효력을 평가하기 위해 SD rats의 등쪽 피부에 biopsy punch를 이용한 4개의 창상을 유발 후,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피부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상처에 Rg1의 도포로 인해 창상치료과정이 활발해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Rg1을 처리한 군에서 절개된 상처의 표피화와 수축이 더 빨라졌고 창상면적에 있어서도 양성대조군인 시판연고 도포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염색한 조직의 현미경 관찰 결과에서는 정상대조군에서 볼 수 있는 완전한 상피층은 찾을 수 없었으나 Rg1 처리군에서 모낭과 신생혈관이 관찰되었고 상피층의 회복조짐도 관찰되었다. 병변의 TGF-β 및 VEGF의 발현량을 조사한 결과 Rg1의 도포에 의하여 더 많은 VEGF의 발현을 유도하고 TGF-β의 활성화를 차단하여 반흔 형성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Rg1은 흰쥐의 외과적 창상에 치료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insenoside Rg1 treatment on wound healing using SD rats by generating four full-thickness skin wounds on the dorsum. In the Rg1-treated groups (5,000 and 10,000 ppm), area of wounds and macroscopic inflammatory sig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group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Histological appearance after 20 days of treatment with Rg1 revealed the formation of epithelial layer, hair follicles and progressive angiogenesis and an increase in collagen and granulation as compared to control group. Rg1 treatment resulted in the increased expression of th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mRNA and reduced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mRNA in wounded skin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levels of VEGF and TGF-β mRNA in the Rg1-treated groups were similar to those of Fucidin® ointment-treat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g1 should be helpful for the promotion of wound healing.

      • KCI등재

        생물전환법으로 만들어진 대두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을 섭취한 고지방 식이 쥐의 항고지혈 효과 및 결과에 의한 외삽적용 농도 결정

        임애경(Ae-Kyung Lim),정미정(Mee-Jung Jung),김동우(Dong-Woo Kim),홍주헌(Joo-Heon Hong),정희경(Hee-Kyoung Jung),김길수(Kil-Soo Kim),김용해(Yong-Hae Kim),김대익(Dae-I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9

        상황버섯균주를 이용한 생물전환법으로 만들어진 바이오플라본의 항고지혈 활성에 따른 인체 외삽 적용을 위한 최소량을 살펴보고자 실험동물을 정상식이군(NO), 고지방 식이군(CO) 및 바이오플라본 식이첨가군(BFP-0.35, 0.7, 3.0)으로 나눈 후 8주간 사육하였다. 바이오플라본 첨가 식이는 실험동물에 식이섭취량을 감소시키고 체중의 증가를 억제시켰으며, 장기 무게에 있어서도 간장과 복부지방에 있어서도 CO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또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AI는 감소시키는데 반해 HDL-콜레스테롤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간 조직 손상정도를 나타내는 ALT 및 AST 효소에 있어서도 10% 이상의 효소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바이오플라본에는 고지혈로 야기되는 성인병 및 동맥경화지수를 감소시키는 생리활성 성분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모든 실험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바이오플라본 0.35%, 0.7%, 3.0% 농도 중 3% 바이오플라본 첨가군에서 가장 큰 고지혈 감소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로서 동물 실험 결과를 이용한 사람에게로의 외삽은 3% 농도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또한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바이오플라본이 항고지혈과 관련한 식품소재로서의 사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An extrapolation of bioflavone through biotransformation used Phellinus banmill KCTC16882 applied to 6 different rats group were carried out.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with bioflavone free (normal: NO) diet, high-fat diet (control: CO) and diets containing 0.35%, 0.7% and 3.0% isoflavone for 8 week. Hyperlipidemia was induced by adding lard 200 g and cholesterol 10 g to CO and 0.35, 0.7 and 3.0% bioflavone diet. Bioflavone diet arrested increases in body weight without affecting feed intake in the rats. BFP-3.0 treated group showed signigicant reduction in the serum level of TG, TC and LDL-cholesterol (p<0.05) compared to the CO, while HDL-cholesterol was increased (p<0.05). The atherogenic index, ALT and AST were decreased in the BFP treated groups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sumption of BFP may lead to extrapolation of an ameliortaion of metabolic syndromes as well as a reduc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hyperlipidemia through increasing the of HDL-cholesterol, and decreasing the level of TG in serum.

      • KCI등재

        고지혈증 흰쥐에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고함유 대두분말의 혈청 지질 대사 영향과 항산화효과

        임애경(Ae Kyoung Lim),정희경(Hee Kyoung Jung),홍주현(Joo Heon Hong),오정석(Jung-Suk Oh),곽정훈(Jung Hoon Kwak),김용해(Yong Hae Kim),김대익(Dae I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3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고함유 대두분말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와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식이성 고지혈 흰쥐를 정상군(NO), 고지방식이군(CO), 고지방식이에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고함유 대두분말 10%, 20%(w/w) 첨가군(BFF10, BFF20)으로 나누어 7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고함유 대두분말 섭취는 체중과 간 무게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CO군에 비해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질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 손상시 활성증가가 우려되는 alanine amino transferase와 aspartate amino transferase 수준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의 생성량은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고함유 대두분말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superoxide dismutase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oybean powder with rich aglycone isoflavone through bio-transformation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activites in diet induced hyperlipidemic rats. The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NO (basal diet normal group), CO (high fat diet control group), BFF10 (soybean powder with rich aglycone isoflavone 10% group), and BFF20 (soybean powder with rich aglycone isoflavone 20% group). After 7 weeks of BFF10 or BFF20 diets consumption, the concentrations in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ratio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BFF10 and BFF20 diets groups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 group. The activities of alanine amino transferase and aspartate amino transferas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BFF10 and BFF20 than those in the CO group.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levels of serum were decreased in BFF10 and BFF20 groups compared to that of the CO group. The super oxide dismutase activites were increased in BFF10 and BFF20 groups compared to that of the CO group.

      • KCI등재

        포공영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기능적 생리활성

        임애경(Ae-Kyung Lim),김정옥(Jung-Ok Kim),정미정(Mee-Jung Jung),정희경(Hee Kyoung Jung),홍주헌(Joo Heon Hong),김대익(Dae-I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0

        포공영의 총 페놀함량에서는 열수 추출물 7.80±0.97㎎/g, 에탄올 추출물 9.12±0.51 ㎎/g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함량은 열수 추출물 54.20±1.95 ㎎/g, 에탄올 추출물 79.43±4.44 ㎎/g으로 항산화 활성에 관련된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들이 에탄올 추출물에 많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공여능에 있어서도 포공영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 IC??값에 비해 3배 정도의 뛰어난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pH 조건하에서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18.34~37.26 ㎍/mL,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6.60~49.03 ㎍/mL의 범위로 분석되었으며, 농도에 따른 유의적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활성은 모든 추출물에서 대조구에 비해 다소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포공영 추출물은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나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biological effects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araxacum mongolicum (TM). Then, the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TM were measured for total flavonoids content, total phenolics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 nitrite-scavenging ability, SOD-like activity,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M were 7.80±0.97 ㎎/g and 9.12±0.51 ㎎/g, respectively, and total phenolics contents were estimated as 54.20±1.95 ㎎/g for water extract and 79.43±4.44 ㎎/g for ethanol extract. The RC?? values for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943.98 ㎍/mL and 309.41 ㎍/mL. SOD-like activity and nitrite-scavenging ability were dependent on concentration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and th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hot water extract. However,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M showed no inhibitory activities on the elastas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ethanol extract of TM seems to be the most pertinent for use as functional food and cosmetic.

      • KCI등재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 껍질 추출물의 Goto-Kakizaki 흰쥐에 대한 항당뇨 효과

        김길수(Kil-Soo Kim),김대익(Dae-Ik Kim),임애경(Ae-Kyoung Lim),윤성란(Sung-Ran Yoon),김정옥(Jung-Ok Kim),이기동(Gee-Do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1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동물모델인 Goto-Kakizaki(GK)랫드에 대한 성게껍질의 항당뇨 효과를 조사하였다. 즉 Wistar 랫드로 구성된 정상군, GK랫드 대조군, GK랫드에 성게껍질을 각각 100 mg/kg 및 200 mg/kg 투여군으로 나누고 매일 1회씩 4주간 경구투여 하여 체중, 혈당, 혈장 인슐린 농도 및 경구당부하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게껍질을 투여 한 GK랫드의 혈당은 203.8±29.8 mg/dL에서 138.5±21.2 mg/dL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성게껍질투여에 따른 GK랫드의 혈장 내 인슐린 농도의 변화는 없었다. 경구 당부하 검사에서 성게껍질을 투여한 GK랫드는 15~120분 에서 대조군보다 더 낮은 혈당으로 나타났다. 또한 췌장의 조직학적 변화는 성게껍질을 투여한 랫드에서 전체적인 췌도세포의 크기나 공포성 변화 및 선방세포의 배열 및 크기가 대조군에 비하여 정상군에 근접한 형태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게껍질은 당뇨모델인 GK 랫드의 혈당을 저하시키고 내당 능이나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하므로 향후 이를 활용하여 항 당뇨 식품 및 원료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We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Hemicentrotus pulcherrimus (sea urchin, SU) shells on non-obese type 2 diabetic Goto-Kakizaki (GK) rats. We measured body weight, blood glucose, and plasma insulin levels and conducted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The SU shells (100 and 200 mg/kg) significantly reduced the blood glucose of GK rats from 203.8±29.8 mg/dL to 138.5±21.2 mg/dL at after 4 weeks of daily oral administration. However, plasma insulin levels at the same time were not changed by treatment with SU. During the OGTT, the SU-treated GK rats maintained a lower blood glucose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for 15 to 120 min. Based on these results, SU shells are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glucose toler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 shells have unique properties to lower blood glucose, raise insulin sensitivity, and improve insulin resistance in GK rats.

      • KCI등재

        연구논문 : 열수추출 및 효소처리에 따른 감귤 과피 추출물의 기능성성분 수득에 대한 연구

        노정은 ( Jung Eun Noh ),윤성란 ( Sung Ran Yoon ),임애경 ( Ae Kyoung Lim ),김혜정 ( Hye Jeong Kim ),허담 ( Dam Huh ),김대익 ( Dae Ik Kim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한국조리과학회) 2012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itrus peel extracts with different hot water extraction and enzymatic hydrolysis conditions. Enzymatic hydrolysis was also employed using Viscozyme L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optimized hot water extract. Hot water extraction was performed under different parameters; the sample to solvent ratio(1:20, 1:15, 1:10), extraction time(2, 4 hrs), extraction temperature(85, 95℃) and enzymatic hydrolysis(0, 1%) and the subsequent extracts were used for determining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total yield,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With the increase in the sample to solvent ratio and extraction time, total yield,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EDA increased. But extraction temperatur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hot water extract. As hot water extract was hydrolyzed by the enzyme, total yield and active ingredients increased rapidly. In the result of total yield, total phenolics, total flavonoids and EDA, the activity of enzyme-treated extract was higher than those of enzyme-untreated extract. Based upon the overall hot water extraction efficiency, it was found that 20 times volume or 120 min at a time at 95℃ after enzyme treatment was optimal.

      • KCI등재

        상황버섯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

        김정옥(Jung-Ok Kim),정미정(Mee-Jung Jung),최향자(Hyang-Ja Choi),이진태(Jin-Tae Lee),임애경(Ae-Kyoung Lim),홍주헌(Joo-Heon Hong),김대익(Dae-I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6

        상황버섯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상황버섯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총페놀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SOD 유사활성, tyrosinase의 저해활성 및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 추출물 17.31 ㎎/g, 에탄올 추출물 42.61 ㎎/g이었으며, 총페놀성 화합물은 열수 추출물 149.92 ㎎/g, 에탄올 추출물 432.42 ㎎/g으로 에탄올 추출물에서 총플라보노이드 및 총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열수 추출물에서 6.49~92.98%, 에탄올 추출물에서 22.61~94.28%의 범위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전자공여능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R²=0.83)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소거능은 모든 pH 조건하에서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아질산염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14.36~35.21%,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7.27~81.84%의 범위로 분석되었으며, 농도에 따른 유의적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상황버섯 추출물에 대하여 tyrosinase의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 4.77~43.69%, 에탄올 추출물에서 10.51~80.9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에탄올 추출물에서 tyrosinase 저해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황버섯의 피부주름 개선 물질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10.01~76.02%의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hot water extract (PLW) and ethanol extract (PLE) from Phellinus linteus as functional food and cosmeceutical materials, its total flavonoids content, total phenolics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nitrite-scavenging ability (NSA), SOD-like activity, inhibitory effect of tyrosinase and elastase were examined. Total flavonoids contents of PLW and PLE were 17.31 ㎎/g and 42.61 ㎎/g, respectively, and total phenolics contents were estimated as 149.92 ㎎/g for PLW and 432.42 ㎎/g for PLE. The EDA of PLW and PLE were 6.49~92.98% and 22.61~94.28%. The EDA and total phenolics contents had a high correlation of 0.83. The NSA was pH dependent, and was highest at pH 1.2 and lowest at pH 6.0. The NSA of PLE was higher than that of PLW. The SOD-like activities of PLW and PLE were 14.36~35.21% and 17.27~81.84%, respectively, and the activity was dependent on the sample concentration.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the highest in PLE (10.51~80.93%) while that of PLW was 4.77~43.69%. Finally, the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was 10.01~76.02% at PLE.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deemed that the ethanol extract of Phellinus linteus was the most pertinent for use as functional food and cosmeceutical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