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성격 5요인 특성과 직장 내 무례함 인식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이봉재(Bong-Jae Lee),임보혜(Bo-Hye Yim),이상목(Sang-Mok Lee)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4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성격 5요인의 수준에 따라 집단별로 직장내 무례함과 이직의도의 평균값에 차이가 나는지와 5요인 성격 특성의 어떤 요인이 직장 내 무례함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노인복지시설 및 장애인복지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격 5요인 가운데서 유일하게 외향성에 있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성격 5요인 중 직장내 무례함 및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발견하고자 하였는데, 이 역시 외향성만이 유일하게 직장 내 무례함과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문화를 개선하고 이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개입방안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workplace incivility, and turnover intention in 235 social workers. Workplace incivility and turnover intention are related to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Workplace incivility and turnover intent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gh level of extraversion. Extraversion is the only significant factor on workplace incivility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analysis of regression. This is one of the few studies that have looked the five personality factor into a single framework to study their effects on workplace incivility and turnover intention with social workers.

      • KCI등재

        COVID-19와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사회복지사의 주관성 연구

        김현정 ( Kim Hyun-jeong ),임중철 ( Lim Joong-cheol ),임보혜 ( Yim Bo-hy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1 사회복지연구 Vol.5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Q방법론을 활용하여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COVID-19 상황에 대한 인식과 사회복지실천의 현실과 전망 등에 관한 주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개별면접과 집단면접, 온라인 동영상 자료 및 문헌 분석 등을 통해 COVID-19 상황을 지나면서 사회복지사들이 실천현장에서 직면했던 경험과 COVID-19 상황 이후에 펼쳐질 사회복지실천의 변화지점 등에 관한 의견들을 수집하여 Q모집단을 구축하였다. 188개의 Q모집단에서 40개의 Q표본을 확정하였다. 실천대상, 경력, 직급 등을 고려하여 부천시 소재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27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Q분류조사를 실시하였다. QUANL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요인 구조가 가장 적절하였으며 전체 변량의 50.0%를 설명한다. COVID-19 상황에서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실천 유형은 취약계층중심형(1유형), 안전과 책임지향형(2유형), 과제대응형(3유형)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COVID-19 상황과 이후의 사회복지실천 제고를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subjectivity of the reality and prospects of social welfare projects recognized by social workers using the Q methodology. Individual interviews, group interview and literatures analysis were conducted to gather opinions on the experiences social workers faced in the practice field and the changing points of social welfare practice that would unfold after the COVID-19 situation. 40 Q sample was extracted from 188 Q population. A Q-sorting survey was conducted for 27 social workers, taking into account their practice targets, careers, and positions. Analysis of the data with the QUANL program showed that the three-factor structure was most appropriate and accounted for 50.0% of the total variance. In COVID-19 situations, the types of social welfare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were showed as vulnerable people-oriented type(type 1), safety and responsibility-oriented type(type 2), and challenge-response type(type 3).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COVID-19 situation and subsequent social welfar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