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존 웨슬리와 신인 협력론의 현대적 의미

        이후정(Hoo-Jung Lee) 감리교신학대학교 2018 신학과세계 Vol.- No.94

        인간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은혜의 역사는 웨슬리 신학의 가장 중심이 되는 주제이다. 우리는 이 글에서 웨슬리의 신인협력론이란 논제를 중심으로 숙고하였다. 웨슬리는 구원의 과정의 전체에 걸쳐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응답이 서로 상관관계 속에 상호작용하는 점을 포착하였는데, 거기서 동방교부 신학이 주된 전거를 제공하였다. 이것은 신인간의 참여 혹은 협력을 보여주며, 웨슬리의 독특한 교설인 선행적 은혜론이 그 신학적 기초를 형성한다. 동방교부 전통에서는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 본성이 대립 또는 분리된 것으로 보는 것보다는 서로 전제하며 상관성 속에 있는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협력은 구원의 주도권이 하나님께 있지만, 인간은 거기에 협력하여 구원을 완성으로 이루어 간다는 웨슬리의 성화와 그리스도인의 완전교리의 핵심을 이룬다. 그러한 관점은 최근의 감리교회-로마 카톨릭 교회 간의 에큐메니컬 대화에서도 잘 반영되고 있다. This essay considers Wesley’s synergism in relation to the tradition of Eastern Fathers, especially Macarius. Wesley’s doctrine captures the point of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divine grace and human response in the order of human salvation. This synergism has been highlighted in the present dialogue between Methodist church and Roman Catholicism. Wesley’s uniqu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s significantly worked out in this important perspective.

      • 마르틴 루터의 삼대 논문

        이후정(Hoo-Jung Lee) 혜암신학연구소 2017 신학과교회 Vol.7 No.-

        본 논문은 한국의 개신교회가 종교개혁 5백주년을 맞이하면서 그 의미를 재발견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루터의 종교개혁의 위대한 정신과 원리를 재발견하고 회복하려는 요구를 전제로 한다. 진실로 루터는 복음을 재발견하였고, 참 교회의 비전을 다시 찾은 위대한 개혁자이다. 이러한 종교개혁 신학의 대 원리가 그의 삼대 논문에서 해명된 것이다. 첫 번째 논문에서 루터는 그리스도인 군주, 귀족, 평신도들 전체에게 호소하면서, 영적인 영역을 구분하여 세상 권위를 지배하는 부패하고 타락한 교황권에 대해 개혁은 평신도들에 의해 주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만인사제직설에 의하면 모든 신자는 영적 권위를 가지며, 사제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오직 의존하고 권위를 두어야 한다. 둘째 논문에서 루터는 로마교회가 자유를 박탈당하고 성례전의 오용에 의해 사로잡힌 포수 상황에 처했음을 개탄한다. 루터는 성례전을 성찬, 세례, 참회에 국한하여 논의하면서, 그 본질은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과 신자의 신앙에 있다고 선포한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새 사람됨과 중생에 있으며, 외적 행위가 아니라 십자가의 회개가 중요한 것이다. 셋째 논문은 이어서 그리스도인의 참된 자유에 대한 메시지를 다룬다. 루터는 그리스도인이 자유와 섬김의 이중 정체성을 모르기 때문에 계속 행위와 의식적인 성례전, 미신적인 속박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밝혔다. 그 자유는 외적인 조건과 상황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영적인 자유, 내면과 마음 깊이에서 하나님으로부터 선사받는 구원의 기쁨이다. 루터는 신앙이 그 핵심이며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에 따라 자유, 신자의 존엄성, 특권이 허락됨을 주장한다. 독특하게 신자는 서로에게 하나의 그리스도가 된다는 자발적인 사랑의 섬김을 설명한다. 육체에 거하는 이생의 삶에서 어떻게 육욕을 정화하며 극기와 절제로써 자기를 복종시켜 하나님과 이웃을 기쁘게 사랑으로 섬길 수 있을까에 주목한다. 유명한 비유인 선한 열매가 선한 나무에서만 나온다는 행위의 윤리적 원리가 천명된다. This essay aims at elucidating what Martin Luther proclaimed regard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his Reformation theology. In his Three Treatises , he tried to rediscover the gospel, the vision of true church, and the Christian life based on real freedom. First, Luther claimed that the reform of the church be carried out by lay people. In this, he deni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Roman church. Also he dealt with the wide spectrum of reform projects. Second, Luther compared the corruption and distortion of the church with the Babylonian captivity. Attacking upon misused sacramental system, he reinterpreted the true meaning of the Lord’s supper, baptism, and penance. Especially, his emphasis was laid on the Word of God and His promise which should be accepted by faith alone. Third, Luther’s description of Christian freedom and the life of faith and love. This freedom only comes from conscience and divine salvation by grace. And resulting life of Christians is composed of joyful faith and serving love toward neighbors. Luther showed that voluntary love is worked by faith, which includes the self-disciplined life made possible by crucifixion of sinful desires and endurance of suffering and trial in the world. If we recapture these messages of the Reformation, our churches will be reformed and renewed according to the original patterns of the early church, rebuilding their true identity upon the firm stronghold of the Gospel.

      • 존 웨슬리의 산상설교의 신학

        이후정(Hoo-Jung Lee)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7

        웨슬리의 산상설교 13편은 그 분량이 표준설교의 상당한 부분을 구성하며, 그 내용이 매우 중요한 저술이라고 하겠다. 그 설교들 속에는 기독교인의 삶에 관한 웨슬리의 사상의 핵심적 본질이 담겨 있다. 그것은 웨슬리가 본 참된 기독교의 총화, 혹은 그 본질적 형태요 한마디로 말한다면 그것은 복음적 윤리라고도 할 수 있겠다. 말하자면 그것은 중생을 얻은 신자, 성도의 믿음의 열매라고 할 수 있는 “성화의 삶”을 집중적으로, 통전적으로, 예수의 복음서 말씀에 근거하여 해명하고 있는 것이다. 웨슬리는 산상설교를 마태복음 5장에서 7장의 본문을 중심으로 강론하였다. 그 전체적 내용을 그는 세 부분으로 구상했는데, 그 각 장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다. 우리는 이 글을 통해 그의 설교 5편까지에 해당하는 첫 부분을 살펴보려 한다. 특별히 이 부분에서 웨슬리는 예수의 가르침 중 팔복을 담고 있는 매우 중요한 교훈을 해설하고 있다. 하나님의 나라, 천국의 복음을 설파하면서 예수께서 가르치신 이 팔복은 참된 기독교와 그에 따른 기독교인의 형상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보면서, 웨슬리는 그 핵심을 거룩함, 혹은 나아가서는 행복(축복)에서 발견하였다. 성화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궁극적 목표요, 완전하고 리얼한 인격적인 변화의 내면적 천국과 그 외면적인 표현이다. 그리스도인은 거룩하신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 갱신함으로써 거룩한 존재가 되는데, 그 형상은 의와 진리와 거룩함이요, 하나님의 완전한 사랑을 반영하는 “사랑하는 존재”이다. 이처럼 예수의 팔복의 메시지는 기독교인의 삶의 총괄이며, 전체를 하나로 완결시켜 보여주는 참된 기독교의 근본원리요 실제인 것이다. 오늘날 한국의 교회가 복음을 회복하고 개혁, 갱신되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이러한 산상설교의 하나님 나라의 원형적 비전을 가지고 나아가야 함을 웨슬리의 신학은 힘차게 증언하고 있다. This essay wants to show the theology of John Wesley explained in his “Sermons on the Mount.” Especially the first 5 sermons of them were focused on the beatitude taught by Jesus regarding the message of the Kingdom of God. Wesley viewed the heart of its message in the concept of holiness or happiness(blessing). Sanctification for him is the final goal of Christian life; the perfect and real change(transformation) of human being, personal and character change as well as its outward expressions. This restoration and renewal of the image of God became the main theme of beatitude for Wesley’s theology. It is doubtless the sum of Christian life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 and praxis of true Christianity. In order to be reformed and renewed according to the pattern of Christ’s message on the Kingdom of God, Korean Methodism should restore this vision of Wesley’s scriptural Christianity.

      •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이후정(Hoo-Jung Lee),박지연(Ji-Yeon Park),조경덕(Kyung-duk Cho)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서울 소재지역의 대학생들로 총 36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에 따라 부모애착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애착과 진로성숙도 사이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애착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인지적 유연성이 미치는 영향과 정도에 따라서 부모애착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이라는 그룹도 그 안에는 개인별로 서로 다른 내적 요인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진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impact of a university students parental love on their career maturity and the effect of adjusting their career-setting self-efficiency and cognitive flexibility in their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362 college students in Daejeon, Chungnam, and Seoul were analyz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setting self-efficiency depending on gender, according to the study. Second, career-setting self-efficienc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maturity. Third, the effect of controlling cognitive flexibility and career-setting self-efficiency was seen between parental affections and career maturity. This shows that parents attachment may have different effects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maturity, depending on the degree of career-setting self-efficiency, cognitive flexibility in the process of parental affection affecting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maturity. Therefore, it can be us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hat can help individuals decide their career path with recognizing that there are different internal factors within the university student group.

      • 어거스틴의 역사신학

        이후정(Hoo-Jung Lee) 혜암신학연구소 2019 신학과교회 Vol.12 No.-

        이 에세이는 어거스틴의 역사신학 혹은 기독교적 역사관을 그의 시대의 역사 이해의 배경에 비추어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전적 고대에서 역사는 인간 의지의 주체에 입각한 휴머니즘과 형이상학적 본질주의에 따른 로고스적 이해 속에서 기술되고 포착되었다. 나아가서 인간의 운명과 인과응보 사상, 우주 법칙과 심리적 욕망과의 관계에서 역사는 비극적인 필연성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특히 고대 헬레니즘의 역사는 순환적 카테고리에 묶여 있는 반복적인 파괴와 투쟁 아래에서 어떻게 현세의 복지와 평화, 행복이 가능할 수 있는가의 문제를 다루려 했던 것이다. 어거스틴의 역사신학은 하나님의 섭리와 분명한 목적을 향해 역사가 나아간다는 데 중점을 두었다. 헬라 철학의 역사관에 대립하여, 그의 역사관은 운명론과 객관적 본질주의 등을 극복하고 실존적인 역사관을 하나님의 주권과 종말론적 완성의 빛 아래에서 펼쳤던 것이다. 이에 따라 세상의 것들은 절대화에서 끌어내려지며, 우상숭배와 잘못된 신격화들이 무너지게 된다. 영원의 빛 아래에서 세상과 현세의 역사를 볼 때, 하나님 나라와 신의 도성의 사명은 은혜에 의한 회개와 개혁의 심각한 요구에서 나타난다. 하나님의 도성은 이 세상에서 순례자의 길을 가는 구원 받은 백성들이 하나님의 뜻과 섭리에 대한 믿음을 통해 종말론적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방향과 좌표가 된다. 거기에서 어거스틴은 인간의 의지적 사랑을 이성보다 더 중심적인 모티프로 보게 되었으며, 개별적인 인격체의 행복에의 욕망과 소원을 역사의 원동력으로 볼 수 있었다. 계시된 성서에서 비롯되는 예언적 통찰이 궁극적으로 역사를 구속사적으로 읽는 참된 시각을 준다. This essa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or theology of history in St. Augustine. In his age of classical antiquity, history was considered in terms of humanism and metaphysical substantialism. Also it was intertwined with a circular view in which the repetitive strife and destruction entailed in tragic necessity. In contradistinction with this perspective, Augustine’s theology of history emphasized the purpose and providence of God rather than the classical idea of fortune or fate. God in His sovereignty reigns the historical process, leading it to the ultimate eschatological telos. In viewing history through the lens of Civitas Dei, Augustine read the life of pilgrims as people of God that was moving toward the heavenly kingdom with faith and the amor Dei (love of God). In his theology, prophetic insight derived from revelations of the Bible gives the only true vision to interpret human life as redemption history.

      • 루터와 웨슬리에게 있어서의 십자가와 고난

        이후정(Hoo Jung Lee) 감리교신학대학교 2017 신학과세계 Vol.- No.92

        본 논문은 루터와 웨슬리에게 나타난 복음의 핵심인 십자가와 고난에 대하여 논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루터의 십자가 신학은 세상에 대해 숨겨진 그리스도인의 실존을 분명히 하며, 그 속에서 그리스도께서 당하신 고난과 버림받음, 거부와 굴욕 등에 동참하여 시련의 삶을 사는 신앙의 투쟁을 강조한다. 반면에, 웨슬리는 십자가의도를 복음으로 보면서도, 그 목적과 의미를 하나님의 은혜의 궁극적인 유익인 성화와 영화에서 찾는 목적론적인 관점을 보여준다. 또한 목회적, 치유적인 차원이 중시되면서, 성화된 인격을 고난의 연단, 훈련 속에서 찾으려 한다. This essay intends to study the meaning of cross and suffering in Luther and Wesley. These concepts were fundamental to their teaching. Luther’s theology of the cross clarifies the Christian’s existence which is hidden to the world. And it emphasizes the struggle by faith, which lives the life of trial that participates in the suffering of Jesus Christ and resulting forsakenness, rejection or humiliation. In contrast, Wesley views the way of the cross as fundamental gospel truth, but within his teleological perspective. It finds the meaning and purpose of the cross in sanctification and glorification, coming as the ultimate good out of God’s grace. Further, Wesley tries to see the tried character of sanctified Christian in the disciplined life of suffering. In this regard, he emphasized pastroral, therapeutic dimensions in his practical theology.

      • 애착외상과 초기부적응도식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이후정(Lee, Hoo-Jung),조경덕(Kyung-Duk, Cho)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 2020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애착외상과 초기부적응도식이 청소년들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기통제력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남·여 중·고등학생들 중 총 35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애착외상과 초기부적응도식은 청소년들의 비행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기부적응도식은 자기통제력, 청소년 비행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통제력과 청소년 비행과의 관계에서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외상, 초기부적응도식, 자기통제력이 청소년들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애착외상과 초기부적응도식이 청소년들의 비행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제력은 청소년들의 비행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애착외상, 초기부적응도식과 청소년 비행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상경험과 초기부적응도식은 청소년들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자기통제력의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애착외상이 청소년 비행을 유의하게 증가시킨다는 구조적 관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외상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정서 및 심리와 행동을 이해하고 청소년들에게 올바르고 건강한 성장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가정 내 학대와 방임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의 범죄를 감소·예방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tachment trauma and initial non-adaptation on juvenile delinquency behavior and to verify that it is controlled by self-control. A total of 355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First,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ttachment trauma and initial non-adaptation had a static effect on juvenile delinquency behavior, and that early non-adaptation was related to self-control, juvenile delinquenc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juvenile delinquency has been found negative correlation. Secon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tachment trauma, initial non-adaptivity and self-control on juvenile delinquency behavior showed that attachment trauma and initial non-adaptivity had a static effect on juvenile delinquency behavior, and self-control had a negative impact on juvenile delinquency behavior. Third, a hierarch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djustment effect of self-control in relation to attachment trauma, trauma experience and early non-adaptation equations influence juvenile delinquency behavior, but differ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control and the adjustment effect was verified. As a result, the study specifically suggested a structural relationship that attachment trauma significantly increases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this, the purpose was to understand the emotions, psychology, and behavior of teenagers with trauma experience and to provide them with basic data needed for proper and healthy growth. It is also meaningful to suggest that it can be an effective way to reduce and prevent crimes by teenagers who have experience in domestic abuse and negl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