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비’의 현대적 구현을 위한 시론 - ‘선비’ 또는 ‘선비정신’과 관련된 몇 가지 현실적 논의 -

        이치억 ( Lee Chieok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3

        최근 우리 사회의 곳곳에서 ‘선비’나 ‘선비정신’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이에 관한 연구도 활발해졌다. 한때 청산해야 할 구시대의 유물로 치부된 적도 있었지만, 전통문화에 대한 재조명의 조류를 타고 긍정적인 담론이 형성되었다. 기존의 담론들은 공통적으로 이상적 인간상으로서의 선비가 통시대적인 인물로서 현대사회에서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아울러 그 실현방식으로서, 지도자가 선비정신을 구현하고 실천해야 한다는 주장과 모든 시민에게 주체적으로 선비정신을 구현해야 한다는 주장이 주로 제시되었다. 본 논문은 기존에 축적된 이러한 연구와 담론을 바탕으로 ‘실질적 선비(정신) 구현의 방법’이라는 진일보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논자는 선비정신의 현대적 구현을 위해서 무엇보다 먼저 사풍(士風)의 진작이 중요하다는 점을 주장했다. 이어 이 사풍의 진작을 가로막는 몇 가지 난관을 분석했다. 첫 번째 난관은 선비에 대한 현실과 이상의 괴리이다. ‘선비’라는 말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매우 넓은 스펙트럼에 분포해 있다. 가장 이상적인 인간상을 지칭하는 최고의 찬사에서, 놀림과 비하를 지나 욕설에 이르기까지, ‘선비’라는 말의 영욕(榮辱)은 그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이러한 현 상황은 선비와 선비정신의 구현이라고 하는 범선비담론의 목적 실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두 번째 난관은 기존의 선비상(像)이 지나치게 그들의 희생적이고 도덕적인 측면만 부각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또한 선비가 일반인들이 범접하지 못할 인물로 인식되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선비(정신)의 구현에 장애로 작용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대적 선비(정신)의 실현을 위한 현실적인 방향을 제시했다. ‘선비의 인간적 면모에 대한 재인식’과 ‘실질적인 선비 양성[養士]의 필요성’이 그것이다. 기존의 연구와 담론이 선비의 영웅적 면모를 소개하는데 치중해 있다면, 이제는 그들의 인간적 면모를 아울러 보여줄 때가 되었다는 점을 주장했다. 이로써 우리는 그간 경이원지(敬而遠之)했던 선비를 우리의 가까운 곳으로 모셔올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한편으로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선비의 양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기존의 유학 연구자와는 조금 성격이 다른, ‘위기지학으로서의 유학을 공부하는 학자’로서의 새로운 ‘선비[士]’ 그룹을 형성함으로써 이들을 통해 선비정신을 구현하고 사풍을 진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interest in ‘Seonbi’ and ‘Seonbi spirit’ has increased in many parts of our society, and research has also been dynamic. At one time, it was regarded as a relic of the old era to be liquidated, but a positive discourse was formed on the tide of re-examination of traditional culture. Previous discourse argues that Seonbi as an ideal human being is a diachronic figure and is necessary in modern society as well. The approach is mainly focused on arguments that the leader must demonstrate and practice the spirit of Seonbi called ‘Seonbi Leadership’, and that all citizens must independently demonstrate the spirit of Seonbi. Based on these previously accumulated studies and discourse, this paper conducts an advanced discussion called 'how to implement a practical Seonbi spirit'. In the process, it presents that advancement of Seonbi spirit is important for the modern implementation of ethos of Seonbi. Furthermore, I analyzes several difficulties that prevents the rise of the ethos of Seonbi. The first obstacle is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s about Seonbi. People's perception of the term ‘Seonbi’ is spread over a very wide spectrum. From the highest praise, which refers to the most ideal human figure, to teasing, to slander, to swearing, the spirituality of the word ‘Seonbi’ clearly shows the gap between ideals and reality. Such situation is the biggest obstacle to the realization of the purpose of the pan-Seonbi discourse called implementation of Seonbi and Seonbi spirit. The second difficulty is that the character of Seonbi is overly focused on their sacrificial and moral aspects. By setting 'Seonbi' as a figure that is not 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it acts as a barrier to the implementation of Seonbi spirit.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a realistic direc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pirit of Seonbi in modern society, which includes ‘recognition of the human aspect of Seonbi’ and ‘the need and method for cultivating substantive Seonbi’. Previous research and discourse highlighted the heroic aspect of the Seonbi, but at this stage, showing their humane aspects together can be effective in renewing the perception of the Seonbi. A new group of Seonbi as ‘scholars studying Confucianism as Learning for oneself(爲己之學),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ers, will be able to realize the spirit of Seonbi and encourage ethos of Seonbi.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본성(本性)으로서의 예(禮)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이치억 ( Chieok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2 No.-

        현대인은 일반적으로 禮에 대해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일 경우가 많다. 예라고 하면 ``형식``, ``겉치레``, ``꾸밈``, ``과시``와 같은 부정적 이미지와 많이 결부된다. 더욱이 서양의 매너나 에티켓과 대비했을 때, 우리 전통의 예는 번잡하지만 無用한 繁文縟禮로 치부되는 경향도 없지 않다. 성악설을 기반으로 한 순자 계열의 유학에서 예는 인간의 무분별한 욕망의 표출을 제어하여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도구적 요소이다. 반면 성선설을 기반으로 한 맹자 계열의 유학에서 예는 인간 본성이 그대로 드러난 몸짓이다. 오늘날 예가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우리의 예에 대한 인식이 부지불식간 순자의 그것에 동조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인의예지가 인간의 본성이라는 것을 말과 글로는 수없이 듣고 접해 왔지만, 실제로 우리의 깊은 관념 속에 있는 예는 대부분 순자 계열의 사회질서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외재적 규범인 것이다. 본 논문은 예를 진실로 인간의 본성에서 근원한 것으로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예를 해석했다. 예는 맹자가 말한 바와 같이 不忍人之心에서 기원한 것이다. 따라서 예는 사회질서유지를 목적으로 한 인위적 규범이 아닌, 인간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자연스러운 몸짓이다. 본성으로서의 예는 대략 네 가지 특징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첫째, 그것의 심적 기반은 사양지심이다. 둘째, 그렇기 때문에 예의 실천은 타율적이거나 강요된 것이 아닌 자발적인 행위이다. 셋째, 예는 세세한 형식에 있어서는 문화적 특수성을 가지지만, 예의 근본정신은 인간의 본성인 한마음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보편성을 가진다. 넷째, 본성에 근거한 예를 행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심적 편안함을 동반한다. 따라서 예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를 해소하고, 글로벌화와 다문화 시대의 올바른 예문화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사회질서유지의 수단이라고 하는 성악설적 예 관념에서 벗어나, 예가 진실로 인간의 본성에서 기인했다는 성선설적 예의 관념이 확립되어야 한다. Generally, it seems to be considered that people at this era have negative views on propriety. As a matter of fact, propriety is more likely associated with negative images such as ``pretense``, ``ostentation``, or ``formalism``. Moreover, in comparison with manners or etiquettes from western culture, li(propriety) as our own traditional manners or etiquettes has been considered as complicated and useless form in modern society. Confucianism thoughts started on Xunzi`s Evil Nature Principle, li (propriety) tends to be only instrumental elements in order to maintain social order. In contrast, thoughts deeply based on Mengzi`s Good Nature Principle, propriety is exactly what human nature reveals itself as it is. Today, the reason why propriety is considered to be more negative in many ways, we involuntarily accept and agree what Xunzi dissert on propriety. We constantly hear that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of Confucian is the nature of human beings; however, our deep in mind that propriety is only external norms to support social order. This study is to focus on propriety which is more deeply rooted in human nature, there then we could find a clue to understand and interpret propriety as well. Propriety is as what Mengzi said that it is natural and unaffected gestures originated from a mind which cannot bear to see the suffering of others. For propriety as human nature, it has 4 features. Firstly, its psychological foundation is the feeling modesty and complaisance. Secondly, practicing propriety therefore should be a voluntary deed rather than a forced action. Thirdly, propriety has its uniqu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 detailed formality. Its fundamental spirits based on universal characteristics. Lastly, behaving in accordance with human nature accompanies inner comfort. Consequently, in order to eliminating negative perspectives, propriety must be re-considered that it is not only a means of maintaining social order but it is rather human nature originated from Good Nature Princi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