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만성 심낭삼출 환자에서 심낭천자 전후 심초음파 및 도플러 심초음파 소견의 변화

        이규락 ( Lee Gyu Lag ),김영석 ( Kim Yeong Seog ),이충석 ( Lee Chung Seog ),한세환 ( Han Se Hwan ),손진휘 ( Son Jin Hwi ),변동원 ( Byeon Dong Won ),박노춘 ( Park No Chun ),이성우 ( Lee Seong U ),김성구 ( Kim Seong Gu ),권영주 ( Kwo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6

        연구배경 : 심낭삼출에 의해 심낭압진이 발생되면 심장압박에 의해 심초음파도상 심방과 심실벽의 운동이상이 관찰되고, 도플러 심초음파도상 심장 각 부위에 혈류장애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는 환자의 호흡상태나 혈역학적 변화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방법 : 심낭삼출 환자에서 심낭천자전 M형 및 이면성 심초음파도와 심장 각 부위에서 도플러 심초음파도를 시행한후 심낭천자 및 우심도자를 동시에 시행하여 삼출액을 연속적으로 배출하면서 혈역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심낭삼출액을 완전히 배출후 다시 심초음파 및 도플러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심낭천자전의 지표들과 비교하였다. 결과 : 1) 심초음파도 상 심낭천자후의 우심실벽 및 심실중격운동은 천자전과 비교하여 의의있게 감소하였다. 2) 우심실의 함몰소견은 11예중 8예에서 관찰되었으며 평균 심낭압이 높았던 군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3) 천자후 도플러 심초음파도의 승모판 혈류는 천자전과 비교하여 A파 속도 및 A FVI는 감소하였고 E와 A의 비는 증가하였다. 결론 : 만성 심낭삼출 환자의 심초음파 검사에서 우심방 및 우심실의 비정상 운동은 혈역학적 장애가 심한 군에서 관찰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플러 심초음파도 상 승모판 혈류의 변화는 심낭삼출에 의해 좌심실벽 탄성이 감소되어 생기는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Echocardiography lacks accuracy in assessing the extent of the hemodynamic compromise produced by a pericardial effusion and has been unreliable for diagnosing cardiac tamponade. Recent reports suggest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of right heart free wall motion in diastole by echocardiography and an increased respiratory variation in transvalvular flow velocities recorded by pulsed wave doppler examination. Methods : M mode, 2-Dimensional and Doppler echocardiographic examinations were performed in 11 patients with chronic pericardial effusion before and after pericardiocentesis. Right heart catheterization and monitoring of intrapericardial pressure were performed before and during serial fluid drainage. Results : 1) Right ventricular free wall motion and inter-ventricular septal motion in M mode echocardiograph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pericardiocentesis. 2) Eight patients had evidence of right ventricular diastolic collapse on the M mode and 2-Dimensional echocardiography. 3) Doppler transmitral indexes of left ventricular filling, consisting of a decreased in the peak early/late diastole (E/A) velocity ratio and an increase in the A area/mitral flow velocity integral ratio, suggest a decreased in the left ventricular compliance. Conclusion : Doppler echocardiography may be a valuable tool in the diagnosis of hemodynamic changes in patients with pericardial eff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