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동 객체의 효과적 표현을 위한 시맨틱 어노테이션 방법

        이진활(Jin-Hwal Lee),홍명덕(Myung-Duk Hong),이기성(Kee-Sung Lee),정진국(Jin-Guk Jung),조근식(Geun-Sik J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7

        최근 비디오가 대화형 콘텐츠를 위한 타입으로 많은 각광을 받기 시작하면서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들을 의미적으로 표현하고 검색하기 위한 시맨틱 어노테이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들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공간적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매 프레임마다 상이한 위치 데이터가 발생한다. 따라서 모든 프레임의 객체에 대한 위치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므로 이를 부적절한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표현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컴퓨터 또는 에이전트가 직관적으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하기 위해 비디오 데이터가 포함하는 객체에 대하여 의미적 정보를 부여하기 위한 온톨로지 모델링 방법과 이동 객체의 위치 데이터를 압축하기 위해 3차 스플라인 보간법을 적용하여 의미적 정보와 함께 어노테이션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어노테이션 방법의 효율을 검증하기 위한 대화형 비디오 시스템을 구현하고, 다양한 특징을 가지는 객체가 나타나는 비디오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샘플링 간격에 따른 오차율과 데이터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샘플링 간격이 15프레임 이하 일 때, 최대 80%의 데이터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객체의 실제 좌표 대비 최대 31픽셀, 평균 4픽셀 미만의 오차 편차를 얻을 수 있었다. Recently, researches for semantic annotation methods which represent and search objects included in video data, have been briskly activated since video starts to be popularized as types for interactive contents. Different location data occurs at each frame because coordinates of moving objects are changed with the course of time. Saving the location data for objects of every frame is too ineffective. Thus, it is needed to compress and represent effectively. This paper suggests two methods; the first, ontology modeling for moving objects to make users intuitively understandable for the information, the second,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for annotating moving objects by using cubic spline interpolation. To verify efficiency of the suggested method, we implemented the interactive video system and then compared with each video dataset based on sampling intervals. The result follows : when we got samples of coordinate less than every 15 frame, it showed that could save up to 80% amount of data storage; moreover, maximum of error deviation was under 31 pixels and the average was less than 4 pixels.

      • 비디오 배역명 추출을 이용한 자동 어노테이션

        이진활(Jin-hwal Lee),박승보(Seung-Bo Park),김유원(Yoo-Woo Kim),조근식(Geun-Sik Jo)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1C

        본 논문은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등장하는 인물의 배역명을 웹 페이지로부터 추출하여 자동적으로 어노테이션(Annotation)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 내에서 각각의 배우들이 등장함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시각정보와 배역명을 일치시키는 일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기존의 등장인물에 대한 자동 어노테이션 방법들은 영상과 관련된 자막(Subtitle)을 활용하거나 자막과 대본(Script)을 활용하여 등장인물과 배역명을 연결시킨다. 하지만 자막이나 대본만으로 등장인물을 매칭할 경우, 영상의 이미지와 배역명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부적절한 어노테이션의 배제가 어렵다. 그러므로 영상으로부터 등장인물의 검출과 함께 관련 웹 페이지로부터 등장인물의 정보를 추출하여 이들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어노테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ⅰ)영상으로부터 등장인물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검출한 후, (ⅱ)기존의 웹 정보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로부터 등장인물의 이미지와 등장인물을 기술할 수 있는 키워드인 배역명을 추출한다. (ⅲ)영상으로부터 검출된 등장인물의 이미지를 학습시키고, 영상 속 등장인물과 웹으로부터 추출된 이미지와의 비교를 통하여, 등장인물에 대한 배역명을 자동으로 어노테이션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