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팀 구성원의 갈등수준이 그룹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KAI 지수에 의한 팀 구성을 중심으로 -

        이진렬(주저자) ( Lee Jin Ryeol(주저자) ),이진렬(교신저자) ( Lee Jin Ryeol(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디자인팀의 효율적 구성 및 운영과 이에 따른 팀 디자인성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KAI지수를 활용한 디자인팀 구성과 팀의 갈등발생 수준에 따른 디자인성과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 연구는 2차에 걸쳐 KAI지수의 수준과 폭에 따라 3인으로 구성된 16개 팀을 구성하여 과제를 부여하고, 각 팀의 갈등수준과 디자인결과물의 창의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높은 KAI지수로 구성된 디자인 팀은 가장 효율적인 팀성과를 도출할 수 있으나, 구성원의 특성상 높은 갈등수준의 유발가능성이 높으며, 갈등관리의 실패는 팀 성과에도 심각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KAI지수에 따른 팀 구성 및 운영은 팀 결과물의 성과를 강화하는데 효율적인 방법이나, 다만 팀 구성원의 갈등이 높지 않은 수준으로 보완되어져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팀 구성에 있어서 갈등관리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본 연구의 후속연구로 진행할 예정이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esign performan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sign team composition using the KAI index and the level of team conflict in order to find a way to efficiently organize and operate the design team and maximize the team design performance. In the second round of experimental research, 16 teams of 3 people were assigned according to the level and breadth of the KAI index, and tasks were assign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flict level of each team and the creativity of the design result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design team composed of a high KAI index can derive the most efficient team performance,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ts members, it is highly likely to cause a high level of conflict. Thes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eam form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KAI index is an efficient way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team results, but it means that the conflict among team members should be supplemented to a level that is not high. Methods to preemptively respond to conflict management in team composition will be conducted as a follow-up study of this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그룹 창의성 증대를 위한 디자인팀 구성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KAI 지수를 바탕으로 한 팀 구성방향을 중심으로 -

        이진렬 ( Lee¸ Jin Ryeol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9 No.6

        디자이너의 창의성 증대방법은 디자인 분야의 주요 관심 연구대상 중 하나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KAI 지수가 디자이너의 창의성을 설명할 수 있는 지표인지와 KAI 지수에 따른 디자인팀 구성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인지를 밝혀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창성, 효율성, 일치성의 3개 분야 21개 항목으로 구성된 척도를 활용하여 KAI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물의 창의성 측정은 참신성, 실용성, 정교성 3대 분야 9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1에서 48명의 참가자가 진행한 디자인개발프로젝트에 대하여, 참여자의 KAI 지수 디자인결과물의 창의성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실험 2에서 4명으로 구성된 9개 팀이 디자인프로젝트에 대하여 팀 구성원의 KAI 지수의 범위와 디자인결과물 창의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실험 1의 분석결과, KAI 지수는 디자이너의 창의성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는 지표이며, 실험 2의 분석결과, KAI 점수의 폭은 팀 창의성 실현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creativity of designers is one of the research subjects of major interest in the design fiel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KAI index is an index that can explain the designer's creativity, and how the design team is formed according to the KAI index. It is in finding out if it is effective. In this study, the degree of KAI was measured using a scale consisting of 21 items in three fields of originality, efficiency, and consistency. The measurement of creativity of the result was composed of nine items in three areas: novelty, practicality, and sophistication. For the design development project conducted by 48 participants in Experiment 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ity of the KAI index design results of the participants was identified. In Experiment 2, 9 teams composed of 4 people grasp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ope of the KAI index of the team members and the creativity of the design results for the design proj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Experiment 1, the KAI index is an index that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signer's creativity, and the analysis result of Experiment 2 shows that the breadth of the KAI score has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ealization of team creativity.

      • KCI등재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가 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구축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이진렬 ( Jinryeol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4

        최근 급변하는 기업경영환경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아울러, 디자인은 프로젝트단위의 심미적 문제라기보다는 시스템적 관점에서 기업의 경영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디자인경영환경구축수준이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 디자인경영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를 언급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의 측정방법과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가 어떻게 기업의 디자인경영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연구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이론적 및 실증적 검증을 통하여 6개범주 22개 항목의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 측정척도와 11개범주 53개 항목의 디자인경영환경구축수준측정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52개 기업 자료를 통하여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가 디자인경영환경구축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CEO의 디자인경영마인드는 디자인경영환경구축수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의 성과가 디자인경영의 이론적 및 실무적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design has been regarded as important factor for corporation’s competitive advantage. In addition, high establishment level of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is necessary not based on the perspective of aesthetic matter of design development but based on systematic one of corporate management. Even though CEO’s design management mind has been referred as a important factor for design management in many past studies, there have been no empirical research results for the measurements of CEO’s designmanagement mind and it’s effects on the establishment of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s. This study developed 6 categoried and 22 itemed measurements of CEO’s design management mind and 11 categoried and 53 itemed measurements of the establishment level of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s. Based on the measurements mentioned above, the effects of CEO’s design management mind on the establishment level of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s were analyzed through empirical data of 52 Korean-based SME’s. The analysis results shows that CEO’s design management mind has an strong influences onthe establishment level of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in most areas. I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cademic and practitional development of design management in the future.

      • KCI등재

        중소기업을 위한 디자인경영환경평가모형 개발 제안연구

        이진렬(주저자) ( Jinryeol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을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디자인경영환경평가모형을 개발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디자인경영환경평가모형은 균형성과표를 기반으로, 평가영역, 측정척도, 측정될 수있는 목표의 세가지 구성요소와 DME(Design Management Europe)가 제시한 "디자인경영계단(The Design Management Staircase)"의 4단계 디자인환경성숙도에 따라 개선해야 할 목표치를 갖는 구조로 구성된다. 평가영역의 경우, 기존의 연구를 광범위하게 분석하여, 디자인리더십, 디자인 계획, 디자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자원, 디자인 프로세스, 디자인 실행,디자인 전달, 디자인 감사가 포함된 8개 영역의 평가요소로 이루어졌다. 측정척도는 평가요소에 대한 측정가능한 척도이며, 자료의 표준화를 통해 측정가능한 정량적 척도로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측정될 수 있는 목표는 8개영역의 요소가 기업의 디자인경영활용수준별로 달성해야 할 목표값으로서 우리나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에 대해 전문가그룹 토론을 거쳐표준값DB로의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환경개선과 디자인경영분야의 이론 및 실무적 발전에 공헌하고자한다. This study suggest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evaluation model which can measure and evaluate the situation of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of SME``s. Design management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evaluation scope, measurement, Goal to be measured based on "Balanced Score Card" and also includes 4 levels of corporation``s design environment maturity based on "The Design Management Staircase" Based on vast range of existing researches regarding design management, evaluation scope are categorized into 8 groups; Design leadership, Design Plan, Design Communication, Design Resources, design process, Design Implementation, Design delivery, Design audit. Measurement is measurable variables for evaluation factors and is suggested to be developed as quantitative measurements which can be measured. "Goal to be measured" is the aim to be approached according to design management application level and is suggested to be developed as standardized value D-Base through the discussion of design expert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for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design management research and the Design management environment of S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