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미 식이섬유를 대체한 브라우니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염경훈(Kyung Hun Yeom),김지현(Ji Hyun Kim),이지현(Jee Hyun Lee),배인휴(In Hyu Bae),전순실(Soon Sil Ch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2

        본 연구에서는 초콜릿을 현미 식이섬유로 대체한 브라우니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미 식이섬유를 3, 6, 9, 12%로 대체한 브라우니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비중은 대조군과 대체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점도는 3% 대체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는 6% 대체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비용적은 대조군이 0.98 mL/g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6~12% 대체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pH는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미 식이섬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명도는 6% 대체군이 25.3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현미 식이섬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브라우니의 경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부서짐성은 대조군과 6, 12% 대체군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씹힘성은 12% 대체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복원성은 대조군과 대체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색상은 대조군과 대체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향미는 대조군이 6.7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현미 식이섬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부드러움은 12% 대체군이 가장 낮았으며, 종합적인 기호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현미 식이섬유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ATA를 실시한 결과 빈도분석에서는 현미 식이섬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밀기울냄새, 기름맛, 텁텁함, 콩냄새, 밀가루맛의 빈도수는 증가하였고, 쓴맛, 단맛, 초콜릿맛의 빈도수는 감소하였다. 주성분 분석결과 12% 첨가군에서 텁텁함, 기름맛, 콩 냄새의 특성이 강하게 발현되었고, 이와 반대로 대조군은 단맛과 쓴맛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현미 식이섬유를 대체한 브라우니 제조 시 3~6%로 대체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ptimal percentage of brownies substituted with rice bran dietary fiber (3%, 6%, 9%, and 12%). The sample and control were compared for quality characteristics, specific gravity, viscosity, pH,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specific volume, color, textural characteristic, consumer acceptance, and CATA (check-all-that-appl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trol sampl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he viscosity was highest at the brownie containing 12% of rice bran dietary fiber. Moisture content and water activity were highest in the 6% sample. pH of control sample batter was highest, but reduc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rice bran dietary fiber. For colors, lightness of the 6% sample batter was highest at 25.31, and redness and yellownes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rice bran dietary fiber. For textural characteristics, hardness, and chew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rice bran dietary fiber. Cohesiveness and resilie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amples. In the sensory evaluation, overall acceptability was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and lowest for the 12% sample. In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CATA, as rice bran dietary fiber was added, the amount of bran flavor, oliy, and unpleasant increased while frequency of bitterness, sweetness, and chocolate taste decreased. In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haracteristics of unpleasant, oily, soybean flavor, and sweetness were strongly detected in the 12% sample. The control sample showed strong sweetness and bitterness. The results indicate that 3% to 6% rice bran dietary fiber is appropriate for production of brownie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