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포괄수가제 도입에 따른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역할

        지온 ( Jio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목적은 의료기관의 신포괄수가제 도입에 따른 보건의료정보관리사들의 역할을 파악하여, 신포괄수가제를 안정적으로 도입하고자 하는 의료기관의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신포괄수가제를 도입한 의료기관의 실무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핵심 역할은 ‘타 의료기관 벤치마킹’, ‘신포괄수가관리 프로그램 개발’, ‘직원 교육 실시’, ‘진단코딩 정확도 관리’, ‘재원환자 의무기록 관리’, ‘의료진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결과에 따르면, 신포괄수가제 도입에 따른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역할의 중요성이 요구되어 보건의료정보관리사들은 임상지식, 정확한 주진단·기타진단 선정 능력과 더불어 의사소통 능력과 같은 핵심 역량을 키워 새로운 제도의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les of health information managers in accordance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diagnosis related group (NDRG) payment in medical institutions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medical institutions that want to introduce NDRG payment stably. For the research method, the in-depth interview method was selected for 10 working-level experts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that introduced NDRG payment. As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re roles of health information managers are ‘benchmarking other medical institutions’, ‘development of NDRG payment management program’, ‘execution of staff education’, ‘managing accuracy of diagnosis coding’, ‘management of inpatient medical record’, ‘harmonious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health information managers is required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NDRG payment, so health information managers need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clinical knowledge, accurate principal diagnosis, and other diagnosis selection ability. This will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of the new system.

      • KCI등재

        연체 장기모델의 상세 단계 생성을 위한 밀도값 기반 사면체 세분화 방법

        지온,권구주,신병석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2020 한국차세대컴퓨팅학회 논문지 Vol.16 No.4

        In the field of variable-body simulation, the interior of a moving object usually consists of divided tetrahedra. In the previous study, since the tetrahedron is divided into equal sizes, even when modeling an object having a non-uniform property, a large number of division occurs collectively, which wastes storage space and increases processing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producing level of detail(LOD) by differentiating the size of each tetrahedron according to the density value inside the object. The tetrahedron is subdivided by deciding whether to recursively divide each level in the LOD by using the density value distribution at the point where each tetrahedron is mapped to the inside of the object having the density value. As a result of rendering using the proposed LOD model, it wa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vertices and triangles while maintaining the same precision. By using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imulate objects with non-uniform properties. 가변연체 시뮬레이션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내부는 보통 분할된 사면체들로 구성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균등한 크기로 사면체를 분할하기 때문에 물성이 균일하지 않은 물체를 모델링할 때에도 일괄적으로 많은 분할이 발생하여 저장공간이 낭비되고 처리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물체 내부의 밀도 값에 따라 각 사면체들의 분할 크기를 다르게 하여 상세 단계를 제작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밀도값을 가진 물체 내부와 각 사면체가 매핑되는 지점의 밀도 값 분포를 이용하여 상세 단계 각 레벨의 재귀적인 분할 여부를 결정함으로 사면체를 세분화하였다. 제안한 상세 단계 모델을 이용하여 렌더링한 결과 동일한 정밀도를 유지하면서도 정점, 삼각형 수를 줄일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물성이 균일하지 않은 물체를 효율적으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 KCI등재

        박물관 온라인 관람 콘텐츠 구현 및 연구 동향 분석 연구

        지온,최그리미,정수연,이행우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5

        Museums are expanding their functions by preserving artifacts and providing education and experience. In recent years, the need for museums has increased as their services have expanded from offering traditional features to becoming venues for social communication. However, as many museums were temporarily clos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any of their functions had to be implemented through online platforms and VR techniques.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technology and research for implementing online content in museums, and research on this subject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echnologies and research trends related to implementing online museum content to build baseline data for realizing online museum experiences in the future.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six large museums among national and public museums, that provide online services, and analyzed the methods for implementation, viewing, and information collection of each museum’s online content. This process allowed us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problems related to current online museum content. However,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did not verify the issues of the online museum content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This area will have to be verified with various methods in the future. 박물관은 유물 보존 등 고유의 기능뿐만 아니라 사회 소통의 장으로 그 기능이 확대되어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COVID-19 사태로 인하여 박물관은 잠정적으로 문을 닫게 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과 VR(Virtual Reality) 기반의 박물관 체험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박물관의 온라인 관람 서비스는 실제 관람 방식에 대비하여 관람 효율이 낮으며, 방문율도 낮게 분석된다. 이에 본 연구는 박물관의 온라인 관람 서비스 구현 기술 및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박물관 온라인 관람 콘텐츠 구현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온라인 관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국공립 대형 박물관 6개소를 선정하여, 각 박물관의 온라인 관람 콘텐츠에 대한 구현 방식, 관람 방식, 정보 수집 방식 등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360°파노라마를 통하여 구현함으로써 관람의 자유도를 높이고자 한다. 2) 현재 온라인 콘텐츠 관람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고령층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3) 박물관 온라인 콘텐츠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형태가 일관적이며 이것은 재방문율을 낮추는 결과를 야기할 것으로 판단된다. 4)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다양한 수준과 형태의 콘텐츠의 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지온,황성온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는 초등 관련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난 4년간(2014-2017) 국내 주요 학술지를 통해 발표된 총 72편의 논문에 대해 연도별로 연구방법과 연구주제를 살펴보고,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2015년부터 관련 논문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중 연구유형에서는 양적연구와 그 중 실험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연구대상으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삼은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를 7개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소프트웨어 관련 교육이 학생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내용이 가장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별로 주요 연구결과를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softwar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in Korea. It analyzed articles that were published in Korea from 2014 to 2017 focusing on the research methods, themes, and outcom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about softwar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is steadily increasing. Second, with regard to research methodology,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popular research type, primarily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Moreover, the most frequent research targets were elementary schoolchild. Thirdly, with regard to the research theme, out of the seven categories of softwar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child research, the category of the effect of software education on elementary schoolchild was investigated most frequently. Finally, the outcomes of the studies were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category investigated. Then discussions 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escribed.

      • KCI등재

        e-Health Literacy 수준에 따른 인터넷 건강정보 신뢰도 및 인터넷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

        지온 ( Kim Ji On ),박지경 ( Park Ji Kye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4

        본 연구는 보건의료정보관리 전공 대학생 321명을 대상으로 e-Health Literacy 수준에 따른 인터넷 건강정보 신뢰도 및 인터넷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Health Literacy 수준은 3.51점이며, 여자보다 남자가 더 높았다. 둘째, 인터넷 건강정보 신뢰도는 3.23점이며, 여자보다 남자가 더 높았으며, 다른 학년에 비해 3학년이 가장 높았다. 셋째, 인터넷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는 평균 3.07점이며, 세부항목 중에서 이해도, 몰입도, 신뢰도, 관심도 순으로 높았으며, 다른 학년에 비해 1학년이 가장 높았다. 넷째, e-Health Literacy 수준은 인터넷 건강정보 신뢰도와 인터넷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Health Literacy 수준을 높여 양질의 건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연구결과, e-Health Literacy 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건강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높았으며, 인터넷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e-Health Literacy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grasp a correlation between the reliabi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he medical advertising`s attitude on the internet according to e-Health Literacy level in university students with a major in healthcare information management. The research tool used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Health Literacy level stands at 3.51 points. Men were higher than women. Second, the reliabi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comes to 3.23 points. Men were higher than women. Compared to other school years, junior was the highest. Third, the medical advertising`s attitude on the internet reaches 3.07 points on the average. Out of the detailed items, it was high in order of understanding, immersion, reliability and interest. Compared to other school years, freshman was the highest. Fourth, e-Health Literacy level was indicat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eliabi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the medical advertising`s attitude on the internet.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he ability of acquiring health information in good quality will be needed by increasing e-Health Literacy level.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to raise the level of e-Health Literacy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생애주기별 민간의료보험 가입 영향 요인 및 의료이용 행태 : 2016~2019년 한국복지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지온,Kim, Ji-On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10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민간의료보험 가입 현황 및 가입 요인을 알아보고, 민간의료보험 가입에 따라 생애주기별 의료이용 행태 차이를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한국복지패널 12차-15차(2016-2019년) 자료를 SPSS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58,223명의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 특성에 따른 민간의료보험의 가입 현황 차이는 Chi-square, 가입 영향 요인은 다항 로지스틱 분석, 의료이용 행태는 평균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민간의료보험의 가장 큰 가입요인은 가구소득이었으며, 성장기의 민간의료보험 가입이 생애주기 중 가장 높았고, 가구소득에 의해 복수 가입되었다. 청장년기는 가구소득과 유배우자, 장애가 없는 경우, 중년기는 가구소득과 경제활동, 유배우자, 건강수준이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노년기의 민간의료보험 가입률이 가장 낮았고, 저소득가구, 낮은 건강수준, 장애가 있는 경우에서 낮았다. 민간의료보험 가입자들의 의료이용 증가도 성장기와 청장년기에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와 이를 보충하기 위한 민간의료보험의 역할을 생애주기에 맞춰 정립하여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게 하여 의료보장의 사각지대를 없애고, 국민의 건강과 후생을 최대화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tatus and factors of private health insurance subscriptions by life cycle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medical usage behavior by life cycle. Using the SPSS 26 program as the 12th-15th (2016-2019)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the difference subscriptions was identified as Chi-square by demo social and health characteristics of 58,223 people, and the factors affecting subscription were analyzed by polynomial logistic analysis and average analysis was performed for medical use behavi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biggest factor in purchasing private health insurance was household income, private health insurance coverage is the highest in growth period, and multiple subscriptions were made depending on household income. In youth, household income, spouse, and no disability, and middle age, household income, economic activities, spouses, and health levels were largely influential factors. The rate of private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old age was the lowest, and low-income households, poor health level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lower. The increase in medical use by private health insurance subscribers also occurred during growth and you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and the role of private health insurance to supplement it should be established in time for the life cycle to complement each other, eliminating blind spots of medical security and maximizing people's health and well-being.

      • KCI등재후보

        의료이용자의 보건의료제도 만족도와 변화 요구도

        지온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21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9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ealth care system satisfaction and reform need using the data from the ‘2019 Health Care Experience Survey’. For 8,349 data with experience in medical use, health care system satisfaction and reform need level was analyzed by t-testing and ANOVA by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Research has shown that health care users' recognition of the health care system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policies and health care systems for senior citizens, low education levels. Since the reliability has the biggest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health care system, government should establish policies that they can trust, and in the process, they should gather opinions from the public and secure credibility through social consensus. Medical users were sympathetic to the need for reforms in the health care system, and felt the need to support vulnerable areas and vulnerable groups the most. 본 연구는 2019년 의료서비스경험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 의료를 이용한 사람들의 보건의료제도에 관한 만족도, 변화 요구도를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건강상태, 의료이용 경험에 따라 분석하고, 보건의료제도 신뢰도 및 만족도, 변화 요구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세 이상의 건강보험대상자 중 최근 1년 간 외래와 입원을 이용한 의료이용 경험자 8,349명으로 하였다. 분석은 독립표본 t-test 및 ANOVA, Scheffe 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료이용자들의 보건의료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신뢰도와 만족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고연령층, 낮은 교육수준, 읍면지역, 비용부담 의료이용제한 경험자 등의 인지도가 낮아 이들에 대한 정책과 보건의료제도 홍보가 필요하다. 보건의료제도 신뢰도는 보건의료제도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국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정책수립을 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국민의 의견수렴과 사회적 합의의 과정을 거쳐 신뢰성을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의료이용자들은 보건의료제도의 변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었고, 취약지역·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었다. 의료기관 입원 및 외래 이용의 만족은 보건의료제도에 대한 신뢰와 만족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 제도 개선에 대한 국민적 합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원리의 범죄 수사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지온(Ji-On Kim)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19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3 No.2

        범죄 수사를 함에 있어 수사관은 범인을 특정하고 범죄혐의를 증명하기 위해 추론과 논증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통화 · 계좌내역등 다양하고 방대하고 다양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설을 수립하고 증명해나가는 ‘수사정보 분석’을 시행하게 된다. 최근 5G, IoT등 4차 산업 혁명시대로 접어들면서 데이터 분석이 더욱 중요해졌으며 이이 따라 경험칙과 논리법칙에 의한 표준화된 분석 기법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데이터 기반의 정보분석 방법론으로는 크게 연결(관계) 분석(Link Analysis), 이벤트 차트(Event Charting), 흐름분석(Flow Analysis)이 있다. 이때 관계분석과 관련하여 핵심 방법론이 바로 사회연결망 분석(SNA) 원리이다. 사회 연결망 분석 원리란 사회 구성원 간의 관계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어 이들 관계의 패턴으로부터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방법론이다. 경찰청에서 2015년에 도입하여 활용중인 정보분석 프로그램인 i2에는 중심성 원리와 하위집단 분석원리를 중심으로 총 6가지 SNA 분석 알고리즘이 반영되어 있다. 주로 개체의 중심성을 식별할 때 사용되는 연결 · 매개 · 근접 · 위세 중심성과 응집력 있는 하위그룹을 식별할 때 사용되는 k-core와 클러스터 찾기가 있다. SNA 원리가 수사정보 분석 시 활용되는 사례를 분석한 결과, 첫째 범인을 검거하거나 특정하기 위한 단서를 찾을 때, 둘째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은 공범을 식별해야 할 때, 셋째 대용량 데이터 안에서 중요한 증거이자 단서를 찾아 범죄혐의를 증명해야 할 때 주로 적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앞으로는 현재 i2에 반영되어 있지 않은 역할 분석, 2-mode 네트워크 분석기법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분석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DB화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 마련도 시급하다. 아울러 수사의 합목적성과 더불어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SNA 알고리즘을 활용한다면 수사기관의 무분별한 개인정보 수집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When it comes to conducting a criminal investigation, an investigator identifies the suspect and get into investigation reasoning to prove the allegations of the crime. At this time, "Investigation Intelligence Analysis" is conducted to examine the hypotheses through analyzing high-volume data, including call phone data and account transaction. Data analysis has become more important as the 4th industry revolution takes place and standardized analysis techniques based on empirical rules and logic laws are needed more with time. Data-based intelligence analysis includes link analysis, event charting, and flow analysis and one of the core methodologies in intelligence analysis is the Social Network Analysis (SNA) principle. Social network analysis principle is a methodology that derives meaningful implications from the patterns of these relationships b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members. i2, an intelligence analysis program introduced by the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in 2015, reflects six SNA analysis algorithms, focusing on the Centrality and the Cohesive sub-group. There are Degree, Betweenness, Closeness, Eigenvector centrality when used to analyze the centrality of an individual node and k-core, clustering used to analyze cohesive subgroup There are three main cases in which the SNA principle is utilized in ‘Investigation Intelligence Analysis. First, it is used to find out the clues to arrest or identify criminal. Second, to identify the unconfirmed accomplices, and the third is to find important evidence and clues in the large data to prove a criminal charg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role and 2-mode network analysis techniques that are not reflected in i2. And In order to maximize the analytical effect, it is urgent to establish a legal basis so that the data can be DataBase and big data analysis can be done. In addition, if the SNA algorithm is used to protect Privacy in addition to the intentions of investiga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event irresponsible collecting of personal information by investigative ag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