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율에 나타난 분노의 정서와 慈愛(mettā)를 통한 치유

        이자랑 한국선학회 2011 한국선학 Vol.28 No.-

        본 논문에서는 율의 학처에 나타나는 분노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악행에 대해 살펴보고, 분노의 주된 치유 방법인 자애(mettā)의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위슏디막가(Visuddhimagga)』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불교에서는 분노를 삼독(三毒)이라는 3가지 근본 번뇌 가운데 하나로 헤아리며 그 단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분노는 정서적인 문제이므로 사실상 그 자체가 율의 조문에서 직접적으로 다루어지지는 않지만, 마음을 산란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실제로 욕이나 폭력, 중상모략 등과 같은 악행을 불러일으키며 자타를 파괴시킬 수 있는, 말하자면, 불교수행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계율의 실천을 방해하는 근본 요인으로써 경계한다. 이와 같이 분노는 불도수행에 있어 반드시 제거해야 할 번뇌인데, 그 치유 방법 가운데 특히 강조되는 것이 바로 자애명상(mettā bhāvanā) 이다. 빨리 경전이나 논서에서는 무진(無瞋)을 자애와 동의어로 표현한다. 이는 분노란 마음에 들지 않는 대상에 대한 반발, 거부이자 불쾌감의 정서이므로, 결국 상대방에 대한 자애로움이나 연민과 같은 감정을 통해 근본적으로 다스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모든 생류에 대한 깊은 이해를 기반으로 한 애정과 연민의 마음으로 자신과 모든 생류의 행복을 바라는 자애심을 기를 때 분노라는 악정서는 근본적으로 치유될 수 있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examine evil activities derived from anger which appear in Vinayapiṭaka text and to study the specific application of mettā to heal anger with a focus on Visuddhimagga which is considered as the main method of healing anger. In Buddhism, anger is considered as one of the three poisons(三毒), the fundamental afflictions and the elimination of anger is much emphasized. As anger is an emotional problem, it is not mentioned directly in Vinayapiṭaka. However, anger was considered the fundamental cause to hinder the keeping of sīla(戒) and vinaya(律) because it not only distracts our mind but also causes bad activities such as abusive language, violence, and slander. Accordingly, anger should be eliminated in the process of Buddhist practices. Mettā meditation is especially emphasized as a healing method to remove anger. In Pāli treatises, no-anger or non-hatred(無瞋) is used as synonymous with loving-kindness. Anger is a kind of refusal, opposition, or displeasure against the other party. So it suggests that we can overcome such bad feelings with the emotions such as loving kindness or compassion. On the basis of the deep understanding of all living things, when we have the loving-kindness for the all sentient-beings, the ill-emotion of anger will be healed.

      • KCI등재

        학월 경산의 수행과 지계

        이자랑 한국선학회 2022 한국선학 Vol.- No.62

        In this article, Hagwŏl Kyŏngsan’s life was considered with a focus on the ‘discipline’. Kyŏngsan was elected as the executive chief four times during times of extreme chaos inside and outside the Buddhist commun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Buddhist purification movement, and served as the leader of the Korean Buddhist Jogye Order. He had a strong belief that precepts are the foundation on which Zen(禪) and Teaching(敎) are established, and that they ar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that supports the denomination. This position is presumed to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situation of Korean Buddhism that he experienced in his youth and the high priests of the time who tried to overcome it through the balance of the precepts. He places great importance on the spiritual realm preached in Brahmāʼs Net Sūtra as a means for developing self-nature and Buddha-nature and ultimately leading to enlightenment by completing the practice. As a leader, he emphasized the harmony and autonomy of the members. Kyŏngsan’s ultimate goal of purification was to create a Buddhist land where the monks operate autonomously based on the discipline, and the members of the monks coordinate their opinions and harmonize with each other without arguing in the courts of the world. 본 논문에서는 학월 경산의 삶을 ‘지계(持戒)’에 초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경산은 일제강점기와 불교정화운동 등 불교계 내외가 극심한 혼란에 처해 있을 때 네 번씩이나 총무원장으로 선출되며 종단의 지도자로 활동하였다. 혼란스러운 시대 상황에서도 중심을잃지 않고 지계를 통해 한국불교의 안정과 발전을 도모하였다. 그는 계율이야말로 선과교를 안착시키는 기반이며, 교단을 지탱하는 한국불교 발전의 원동력이라는 강한 신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입장은 그가 젊은 날 경험했던 한국불교의 상황과 이를 계율의수지를 통해 극복하고자 했던 당대의 고승들로부터 받은 영향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범망경』에서 설하는 심지계를 자성·불성을 개발하기 위한 수단이자 궁극적으로수행을 완성하여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중시하는 한편, 구족계나 청규, 그리고염불 수행을 통한 신구의의 청정 수행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지계행에 관심을 갖고 수지하였다. 지도자로서는 구성원의 화합과 자율을 강조하였다. 지계를 바탕으로 승가가 자율적으로 운영되며, 세간의 법정에서 다투지 않고 승가의 구성원이 서로 의견을 조율하며 화합하는 불국토를 만드는 것이 경산이 궁극적으로 지향한 정화의 완성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백용성 율맥(律脈)의 성격 및 전개

        이자랑 대각사상연구원 2015 大覺思想 Vol.23 No.-

        승려이자 독립 운동가로 널리 알려진 백용성(白龍城, 1864-1940)은 자신이 계승한 대은계의 율맥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했다. 대은계의 율맥이란 1826 년에 조선의 승려인 대은낭오(大隱朗旿)가 율맥의 단절을 우려하며 서상수계 를 통해 회생시킨 율맥이다. 대은의 율맥은 이후 금담(金潭), 초의(草衣), 범 해(梵海) 등을 거치며 용성으로 이어졌다. 용성은 이러한 자신의 율맥에 대 해 큰 자부심을 느꼈던 것으로 보이며, 이후 적극적으로 전계(傳戒)해 갔다. 본고에서는 세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용성 율맥의 성격과 전개를 다루고 있다. 첫째, 백용성의 전계사 문제이다. 용성은 스스로 자신의 전계사를 선곡 (禪谷)이라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선곡에 관한 정보가 전혀 없기 때문에 그 동안 적지 않은 논의가 있어 왔다. 특히 제산(霽山)이라는 승려와의 동일인 물 가능성이 제기되어 왔다. 그런데 기존의 연구에서 선곡과 관련하여 검토 된 제산은 제산정원(霽山淨願, 1862-1930)이다. 제산정원은 용성과 불과 2살 차이밖에 나지 않기 때문에 용성의 전계사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에 서 선곡과 제산의 동일 인물설은 부정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용성 당시 장로의 위치에 있던 호은(虎隱) 등에게 전계한 인물이 제산이었다는 여러 기 록을 검토하며, 제산정원이 아닌 또 다른 제산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즉, 용성의 전계사 문제와 관련하여 제산은 여전히 주목할 만한 인물이라고 생각된다. 둘째, 대은계 율맥에 대한 용성의 인식이다. 용성은 자신이 한국 자생의 대은계 서상수계 전통을 계승하였다는 점에 큰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다. 당 시 많은 승려들이 율맥을 잇기 위해 중국에 가서 수계식을 받고 돌아오는 경향이 있었지만, 용성은 중국의 고심여향이 회생시킨 율맥과 조선의 승려가 회생시킨 율맥을 동등한 차원에서 이해하였다. 그리고 조선의 승려인 자신은 당연히 조선에서 회생된 율맥을 잇는다는 의식을 갖고 있었다. 이는 용성에 게 있어 율맥이 승려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한국불교의 맥을 잇는 일임 과 동시에 민족의 주체성을 살리는 일로 인식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생 각된다. 셋째, 용성 이후 대은 율맥의 전개 문제이다. 수계 후 용성의 전계 활동에 대해 살펴보고, 대은계 율맥에 대한 용성의 자부심과 열성적인 전계 활동에도 불구하고 실제 그의 율맥이 제자들 대에 이르러 적극적으로 계승되지 못 한 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동산, 고암, 자운 등은 용성의 뒤를 이어 지 계나 계율 선양 등에 있어 훌륭한 업적을 보이면서도 적극적으로 용성율을 전승하지 않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제자들의 수계 상황이나 행보 등에 주목하며, 당시 율맥 전승에 대한 승려들의 인식 및 상황에 대한 세밀한 재 검토의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Yongseong Baek(白龍城, 1864-1940), who is widely known as a monk and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was greatly proud of the “the lineage of the transmission of the precepts(律脈)” in the lineage of Daeun(大隱), which he inherited. The lineage of the transmission of the precepts in the lineage is the lineage that Daeeunnangoh(大隱朗旿) revived through the precepts transmitted in an auspicious vision(瑞祥受戒) in 1826 due to concerns about the discontinuance of the lineage of the transmission of the precepts. Daeeun’s the lineage was passed down to Yongseong since then after going through Geumdam(金潭), Choeui(草衣), and Beomhae(梵 海). Yongseong appears to have greatly been proud of his lineage of the transmission of the precepts as such, and actively spread it. This study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Yongseong’s lineage of the transmission of the precepts with a focus on three issue. The first issue is about Yongseong’s teacher who confers the Buddhist precepts. Yongseong mentioned himself that his teacher was Seongok(禪谷). However, there has been frequent debates over it because information on Seongok does not exist at all.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that he and the monk called Jesan(霽山) were the same person has been raised.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reviewed Jesanjeongwon(霽山淨願, 1862-1930) for Jesan in relation to Seongok. As Jesanjeongwon and Yongseong were only two years apart in age, it is difficult to view him as Yongseong’s teacher. In this sense, the opinion that Seongok and Jesan were the same person has been denied.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another Jesan other than Jesanjeongwon existed by reviewing various records showing that Jesan taught Buddhist precepts to certain monks such as Hoeun(虎隱) who was venerable. In other words, in relation to the issue of Yongseong’s teacher, Jesan is still considered a noteworthy individual. The second issue is Yongseong’s perception of the lineage of the transmission of the precepts. Yongseong was greatly proud of the fact that he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lineage of Daeun that originated from Korea. In those days, a number of monks used to go to China to continue the lineage of the transmission of the precepts, participate in the Buddhist initiation ceremony, and then come back. However, Yongseong understood the lineage of the transmission of the precepts revived by China’s Goshimyeohyang(古心如響, 1541-1615) and the lineage revived by Joseon’s monks at the same level. In addition, his mindset was that as Joseon’s monk, he should naturally inherit the lineage revived in Joseon. This may show that Yongseong perceived that lineage could secure his identity as a monk and carry out the legacy of Korea’s Buddhism, and at the same time, it could strengthen Joseon’s national identity. The third issue is the development of the lineage in the lineage of Daeun after Yongseong. This study reviewed Yongseong’s activities to spread the lineage after receiving the commandments of Buddhism, and examined the fact that despite Yongseong’s pride in the lineage in the lineage of Daeun and his passionate activities to spread it, his lineage was not actively passed down to his disciples. In specific, Dongsan(東山), Goam(古庵), and Jaun(慈雲) exhibited outstanding achievements in observing the precepts and enhancement of the rules and disciplines, but did not pass down Yongseong’s precepts activel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such disciples’ status of Buddhist initiation and walk of Buddhist life, and pointed out the fact that the perceptions and circumstances of monks during the respective period regarding the transmission of the lineage should be reexamined in detail.

      • KCI등재

        한·중·일 사도신경의 영향 관계 연구

        이자호(李慈鎬)(Lee, Ja-Ho) 일본어문학회 2012 일본어문학 Vol.58 No.-

        2006年、韓国の大韓イエス教長老会(統合)の総会で新しい主の祈りと使徒信経を使うことに議決した。2002年、その改訂案が出てから四年の準備を経て成し遂げられた成果である。 この改訂を迎え、本稿では韓·中·日、三国の使徒信経について考察を行った。その結果、天主教と改新教とにその影響関係が異っていた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 天主教の場合は、韓国と日本、ともに中国の初期天主教教理書に載っている使徒信経による影響をうけたと見られる。一方、改新教では初期には天主教と同様な傾向を見せるが、だんだん天主教とは違う独自の使徒信経を制定するようになる。すなわち、日本ではヘボン(Hepburn)の三要文が使徒信経の土台になっているが、それに基督用語の和語化が進み、「交通(コウツウ)」→「交通(マジワリ)」→「交わり」へと用語の変化が見られる。韓国では1890年代を境に天主教の影響から脱皮した使徒信経が出るが、賛美歌(1897年)にはじめて「通功」から「交通」へと用語の変化が見られ、以後「交通」だけが用いられる。これには、日本語の使徒信経が影響を及ぼした可能性があると思われ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