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르그손과 들뢰즈, 경험론의 이름으로 상관주의를 넘어서는 두 논리 - 베르그손의 전체적 경험(l’experience integrale)과 들뢰즈의 선험적 경험론(l’empirisme transcendantal) -

        이아름 ( Lee A Ru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69

        베르그손과 들뢰즈의 철학은 지속과 차이라는 용어로 존재론을 다시 쓴다. 이러한 새로운 존재론은 현상 너머의 존재가 여전히 사유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 우리의 경험세계가 경험을 구성하는 주관적 조건아래에서만 성립하는 것으로 본 칸트 이래로, 경험적 대상과 주관적 조건의 상관성은 넘어서기 어려운 경험의 한계를 근거 지었다. 그러나 베르그손은 칸트의 감성형식을 비판하며 직관의 내용에서 실재와 부분적 일치를 찾는다. 인간 경험의 유일한 내적 형식인 지속 안에 들어온 경험의 원천을 사유함으로써 외부대상의 운동성을 파악할 수 있다. 베르그손은 이를 실재를 파악하는 형이상학적 방법으로서 ‘직관’이라고 규정하며, 이를 통해 실재의 운동성을 파악하는 ‘전체적 경험’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들뢰즈는 자신의 입장을 드러내기 위해 베르그손적 사유를 칸트와 훗설에 대비시켜 강조했지만, 그가 상관성 너머 존재를 사유하는 가능성을 찾은 논리는 베르그손의 것과 사뭇 다르다. 그가 비판한 것은 선험적 능력들이 대상에 동일한 개념을 부여하는 오성의 지배하에 일치하면서 이루는 경험의 조건이 모든 가능한 경험의 유일한 조건이라는 주장이다. 칸트의 후기 철학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험적 능력들은 권리상 ‘자유로운 일치’가 가능하다. 이 가운데 우리가 ‘숭고함’을 체험할 때와 같이 인식능력이 경험을 발생시킨 것을 사유하는 데 이르는 ‘초월적 실행’을 할 때가 있는데, 이러한 계기가 우월한 경험론 또는 선험적 경험론을 가능하게 한다. 권리상 가능한 자유로운 능력들의 일치 또는 부조화를 들뢰즈는 ‘정신분열’이라고 표현하며, 그로부터 차이로서의 존재를 사유할 가능성을 연다. 두 철학자는 공통적으로 우리의 경험이 구성되거나 또는 발생되는 조건들을 탐구함으로써 ‘즉자적으로 있는 것’을 사유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이 그들이 경험론의 이름으로 새로운 형이상학적 사유를 연 이유이다. In the thoughts of Bergson and Deleuze, we can find a new ontological thesis in terms of duration and difference. To maintain the ontology of becoming, it needs to show that we still can think the things beyond the phenomenon which appear to us. Since Kant set limits on what we can know, it has been thought impossible to think the thing itself beyond the subjective transcendental condition for all constitutions of our experience. However, especially by criticizing the transcendental form of sensibility, Bergson suggests that there are parts which coincide with the external reality in our perception. Considering our proper duration as an internal form for experience, we can think the sources of experience which appears to us as quality ― the sources which are durations different from that of our inner life. Bergson defines this kind of metaphysical method to grasps the external duration as the intuition, which makes possible “the integral experience”. The logic of Deleuze to go beyond the wall of what is defined as correlationism to seek for the possibility of ontological speculation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Bergson. He shows that the condition of experience constructed by the accord of different cognitive transcendental faculties - sensibility, imagination and understanding - is not the only condition for all possible experience. As we can see in the later philosophy of Kant, free accords are possible between transcendental faculties. For example, when we encounter something sublime, our sensibility matches directly with the reason which is the faculty to figure out the thing itself. It transcends its limit by forcing us to think something which makes our experience possible. By the transcendent exercise of faculty, superior empiricism or transcendental empiricism can be possible ― empiricism which makes us think something to generate our experience. Deleuze uses a special term “schizophrenia” to express the free accords or discordances between faculties which are not determined by concordance by the concept of understanding. In conclusion, Bergson and Deleuze show us that we are able to think things beyond phenomenon by re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our experience. That’s the reason why these philosophers open a new realm of metaphysical thoughts by the name of empiricism.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응용을 위한 티타니아 입자의 물성제어

        이아름(Lee, A-Rum),문상진(Moon, Sang-Jin),김광제(Kim, Kwang-Je),박동순(Park, Dong-Soon),김미양(Kim, Mi-Yang),임유진(Lim, Yu-Jin),소원욱(So, Won-Wook)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티타늄알콕싸이드를 이용한 티타니아 입자 제조 및 200-240?C 정도의 수열처리에 의해 티타니아 입자의 물성을 제어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하여 티타니아 입자의 물성에 따른 태양전지 성능변화를 고찰하였다. 얻어진 티타니아 입자의 경우 수열처리 온도가 낮을수록 입자크기는 작았고 첨가되는 산농도에 따라 결정상의 제어가 가능하였다. 또한 태양전지 제조 시 입자 크기는 어느 정도 이상이 되어야 고효율 태양전지 제조에 적합하였고, 변환 효율은 9% 이상이었다.

      • KCI등재

        소비자역량이 소비생활불안감과 소비문제경험도, 소비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현정(Hyun Jung Yoo),송유진(Eugene Song),이아름(A Rum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2

        소비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은 바람직한 시장형성과 소비자 복지향상의 구심점이 된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소비자역량의 수준을 파악하고, 역량에 따른 소비생활문제경험, 소비생활에서 경험하는 소비자의 불안감, 소비생활만족 수준의 차이를 파악하며, 소비자역량이 소비자 안전한 소비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회 전반적으로 소비자역량 수준이 보통 이하 수준이었으며, 저역량집단에 비해 고역량집단이 연령이 높고, 고학력자이며 소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역량이 소비문제경험도, 소비생활불안감, 소비생활만족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생활 불안감이 소비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소비자역량 함양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지원되어야 할 것이며, 소비생활불안감의 긍정적 효과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소비자 스스로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Consumers’ rational decisions become pivotal in creating a desirable market and improving consumer welfare. This study aims to (1) examine the level of consumer competency; (2)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of consumer problems, consumer anxiety, and satisfaction of consumer life according to competency levels; and (3)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sumer competency on their consumption satisfaction. The findings show that consumers’ competency level was below average across the society and that the high competency group was relatively older and highly educated, and earned more income than the low competency group. Consumer competen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experiences of consumer problems, consumer anxiety,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Consumer anxiety had positive impacts on satisfaction of consumer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