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1분과 : 국립공원 ; 오대산국립공원 열목어의 미소서식처 비교

        이승록 ( Seung Rok Lee1 ),김명철 ( Myung Cheol Kim ),정주학 ( Ju Hak Jeong ),박종남 ( Jong Nam Park ),김진재 ( Jin Jae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연어목 연어과에 속하는 열목어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는 냉수성 담수어류로 시베리아, 연해주, 흑룡강, 한국 등의 동북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최근 들어 인위적인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개체수가 감소 추세에 있고 2012년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동식물Ⅱ급으로 지정되었다. 열목어의 서식처는 안정적인 집단유지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오대산국립공원내 열목어의 집단서 식지인 강원도 홍천군 내면 명개리계곡(명개리집단)과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월정사계곡(월정사집단)의 미소서식처를 비교하여 종 보존 및 서식처 복원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는 2013년 5월, 8월, 10월에 시행하였고 서식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하상구조, 수온, 수심, 유폭, 유속, 서식처길이, 동소종, 열목어 개체수, 저서무척추동물상을 파악하였다. 명개리집단 미소서식처의 하상구조는 암석(40%), 큰돌(10%), 작은돌(10%), 자갈(20%) 모래(20%)로 구성된 Aa type이었다. 하천의 최상류지역으로 여울과 소가 1회 이상반복적으로 확인되었다. 수온은 6.0~20.3℃이었고 수심은 0.9±0.5(0.4~2)m, 유폭은 6~11.3m, 유속은 4.6±3.9 (0.2~15.6)m/sec이었다. 서식처 길이는 41.8±10.8(32~56)m 이었다. 동소종은 미유기, 금강모치 2종이었다. 열목어는 조사시기마다 20개체 이상씩 확인되었고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른 폭포와 여울지점에 집중적으로 분포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은 수서곤충이 92%로 대부분이었고, 하루살이목 13종(30%), 날도래목이 10종(23%)을 차지하였다. 월정사집단 미소서식처의 하상구조는 암석(50%), 큰돌(10%), 작은돌(20%), 자갈(10%) 모래(10%)로 구성된 Aa type으로 전형적인 하천의 최상류지역이었다. 수온은 5.1~21.3℃이었고 수심은 1.1±1.0(0.2~3)m, 유폭은 약5~20m, 유속은 6.9±5.2(0.7~14.6)m/sec이었다. 서식처 길이는 46.3±6.2(40~55)m이었다. 동소종은 미유기, 퉁가리, 산천어, 무지개송어, 꺽지, 둑중개, 쉬리, 새미, 가는돌고기, 돌고기, 금강모치, 대륙종개, 새코미꾸리의 13종이었다. 열목어는 5월에 3개체, 8월에 16개체, 10월에 8개체가 확인되 었고 수심이 깊고 유속이 빠른 지점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은 수서곤충이 94%로 대부분이었고 하루살이목 17종(30%), 강도래목과 파리목이 12종(21%)을 차지하였다. 두 지역을 비교해 보면 수온, 수심, 유폭, 유속, 서식처길이, 하상구조는 유사하였다. 열목어 개체군의 크기는 명개리집단이 높았고 열목어가 집중적으로 서식하는 지점의 하상구조는 명개리집단의 경우 자갈과 모래의 비율이 높은 반면에 월정사집단은 암반과 큰돌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열목어의 난·자치어를 포식할 것으로 추정되는 동소 경쟁종도 월정사집단에서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열목어개체군 크기는 서식처의 하상구조와 동소 경쟁어종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후보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참갈겨니의 전장-체중 상관관계 -소백산, 속리산, 가야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이승록 ( Seung Rok Lee ),박세권 ( Se Kwon Park ),주현수 ( Hyun Soo Joo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3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실시한 2012년 국립공원 공원자원모니터링 사업에 의해 수행된 결과이다. 본 연구 수행에 있어서 현장조사 및 자료정리에 많은 도움을 주신 윤창호 박사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현장출입 및 모니터링에 도움을 주신 소백산국립공원의 서상원 님, 속리산국립공원의 김용훈 님, 가야산국립공원의 전세근님께 감사드립니다.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Zacco koreanus were investigated at 4 stations in three National Parks of Korea from April to October 2012. Total length ranged 47mm~160 mm and weight ranged 0.50~41.50 g. Parameter b values in length-weight relationships ranged 2.883~ 3.497, which represent favorable conditions for habitation. Condition factor (K) had the range from 0.689 to 1.012. In relationships with sympatric fishes,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b) revealed inver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s. It is suggested that these differences resulted from the various factors including sympatric fishes, water temperature, seasonal changes, and surveyed stations.

      • KCI등재

        산림바이오매스에너지에 관한 과학적 근거에 따른 통설적 접근

        이승록(Seung-Rok Lee),한규성(Gyu-Seong Ha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4 신재생에너지 Vol.20 No.1

        Addressing climate change necessitates evidence-based policies grounded in science. The use of forest biomass for energy production is based on a broad scientific consensus at the international level. However, some environmental groups in South Korea are opposing this system of energy production.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s aim to reduce unnecessary confusion and foster an atmosphere conducive to meaningful evidence-based policies. We have classified the issue into eight categories: biological carbon cycle, carbon debt, nature-based solutions, air emissions, cascading principles and sustainability certification, forest environmental impacts, climate change litigation, and the behavior of environmental groups and public perception. Consequently, the following key points were derived: (1) the actions of some environmental groups seem to follow a similar pattern to denialist behavior that denies climate change and climate science; (2) the quality of evidence for campaigns that oppose the use of forest biomass for energy production is low, with a tendency to overgeneralize information, high uncertainty, and difficulty in finding new claims.; (3) most of the public believes that forest biomass energy is necessary, and the governments of major countries are aware of its importance. Significantly, Forest biomass for energy is based on an overwhelming level of scientific consensus recognized internationally.

      • KCI등재후보

        설악산국립공원의 어류상

        이승록(Seung-Rok Lee),조용성(Yong-Sung Cho),이동운(Dong-Won Lee) 국립공원연구원 2011 국립공원연구지 Vol.2 No.4

        2010년 4월부터 11월까지 설악산국립공원 42개 조사지점의 담수어류상을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2,822개체였으며 12과 27속 35종으로 확인되었다. 황어, 은어, 한둑중개, 꾹저구, 밀어, 검정망둑을 제외하고 모두 일차담수어였다. 한국고유종은 쉬리, 돌상어, 어름치, 배가사리, 가는돌고기, 금강모치, 참갈겨니, 참종개, 새코미꾸리, 미유기, 눈동자개, 퉁가리, 꺽지의 13종이었다. 우점종은 참갈겨니(25.97%)였고 아우점종은 금강모치(20.06%)였다. 법정보호종은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II급 돌상어, 가는돌고기, 잔가시고기, 가시고기, 한둑중개의 5종이었다. 문화재청 지정천연기념물은 어름치 1종이었다. The fauna of freshwater fish were investigated from April, 2010 to November, 2010 at forty-two stations in Seoraksan National Park. During the surveyed period, Collected fishes were 2,822 individuals and were identified to 35 species of 27 genera belonging to 12 families. All fish were primary freshwater fishes, except for Tribolodon hakonensis, Plecoglossus altivelis, Cottus hangiongensis, Gymnogobius urotaenia, Rhinogobius brunneus, Tridentiger obscurus. The endemic species of Korea were 13 species: Coreoleuciscus splendidus, Gobiobotia brevibarba, Hemibarbus mylodon,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Pseudopungtungia tenuicorpa, Rhynchocypris kumgangensis, Zacco koreanus, Iksookimia koreensi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Silurus microdorsalis, Pseudobagrus koreanus, Liobagrus andersoni and Coreoperca herzi. 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25.97%) and subdominant species was Rhynchocypris kumgangensis (20.06%). Endangered species (Level II) were 5 species: Gobiobotia brevibarba, Pseudopungtungia tenuicorpa, Pungitius kaibarae, Pungitius sinensis and Cottus hangiongensis. Natural mounment species was 1 species: Hemibarbus mylodon.

      • KCI등재후보

        소백산국립공원의 어류상

        이승록(Seung-Rok Lee)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4

        2008년 5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소백산국립공원 9개 조사지점에 담수어류상을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2,172개체)는 6목 12과 17종으로 확인되었고, 빙어와 밀어를 제외하고 모두 일차담수어였다. 우점종은 참갈겨니(39.8%)였고 아우점종은 금강모치(31.1%), 버들치(12.4%)였다. 한국고유종은 쉬리, 금강모치, 참갈겨니, 참종개, 새코미꾸리, 미유기, 자가사리, 퉁가리, 둑중개, 꺽지, 동사리를 포함해서 11종이 확인되었으며, 법정보호종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II급 둑중개가 출현하였다. The fauna of freshwater fish were investigated from May, 2008 to October, 2009 at nine stites in Sobaeksan National Park. As a result, it has been turned out there are total 6 orders, 12 families, 17 Species. All fish were primary freshwater fishes, except for Hypomesus nipponensis and Rhinogobius brunneus. 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39.8%)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Rhynchocypris kumgangensis(31.1%), R. oxycephalus(12.4%). The endemic species of korea were identified as 11 species: Coreoleuciscus splendidus, R. kumgangensis, Z. koreanus, Iksookimia koreensi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Silurus microdorsalis, Liobagrus mediadiposalis, L. andersoni, Cottus koreanus, Coreoperca herzi and Odontobutis platycephala. Also, it has been found that endangered species (Level II) designated by the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s C. korean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