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듀이에서 경험의 의미 - 듀이의 『경험으로서 예술』을 중심으로

        이선이 ( Lee Sun-i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감성연구 Vol.0 No.15

        이 글은 확실성/불확실성·리듬, 인식/사건, 고정/성장의 세 가지 측면에서 듀이 `경험` 개념과 전통적 경험 개념의 차이를 드러냄으로써 듀이의 미적 경험의 성격을 밝히는 데 집중한다. 듀이가 말하는 `경험`은 근대의 경험론자들의 주객이원론적이며 본질주의적이고 탈맥락적인 경험의 개념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경험은 유기체적 존재인 인간이 환경과 교호작용한 결과로 감각, 지각, 관념을 모두 포괄한다. 듀이는 일상세계로 되돌아가서 경험의 외연을 넓히고, 미적 경험의 가능성이 일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봄으로써 경험의 내포적 의미를 확장시킨다. 일상적 경험이 하나의 경험으로 발전하면서 그 질성이 고양될 때 경험은 심미적 경험이 된다. 전통적인 경험은 확실성을 추구함으로써 체계적 경험을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경험을 통한 성장은 불가능하다. 기존의 경험 개념을 탈피하여, 심미적인 것으로 경험을 이해할 때 우리는 삶의 세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질성적 사고를 통해 세계를 심미적으로 경험할 때 인간의 경험은 성장할 수 있다. The philosophical tradition in the West, the notion of experienceis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stantialist dichotomy in which the way of mind`s experiencing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body`s. Within the perspective, although mind and body are one function of a human being, there is no possible way for those two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no contact point between mind and body, the dualistic perspective only maintains radical conflicts between objectivism and relativism, essentialism and anti-essentialism; it is no longer admitted as a productive methodology. In the dualistic perspective, experience is a thing of certainty and objectivity. Contrary to these viewpoints, however, J. Dewey defines experience in a comprehensive sense by saying that `Experience: everything that makes us of human being.` In Dewey, our experience does not consist of isolated elements from body and mind respectively; rather it is a continual activity in which we understand one experience from corporal/physical strata on the one hand and from mental/abstract strata on the other hand. Maintaining the dualistic perspective, rationalism and empiricism define experience with a single standard: either that of body or of mind. In contrast to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experience, Dewey defines experience as a thing that makes us of human being and converts the absolute/universal understanding of experience to naturalistic/metaphoric one. I think that what one needs is not only overcoming the dichotomy in western philosophy, but also understanding the knowledge as activity of expressing the human vitality in the interdependence with human persons and the world. In this paper, by examining the notion of experience, I shall remark the meaning of experience as an activity that shows human vitality. When experience is approached to the organic viewpoint to expand rich experience of human beings, one may describe human beings more richly.

      • KCI등재

        자원 교환이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봉(Lee Yeo-Bong),김현주(Kim Hyun-Ju),이선이(Lee Sun-I)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4

        본 연구는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 간 현재 시점에서의 자원교환이 관계만족감 및 관계의 질에 관한 평가에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관찰하였다. 자원이론과 교환이론의 틀에 입각하여, 6 영역으로 구분된 자원들 각각의 교환이 서로 어떻게 유사하고 어떻게 상이하게 모ㆍ자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각 자원영역들의 교환이 관계만족도 및 관계의 질과 연관되는데 있어서 어머니의 경우와 청소년 자녀의 경우는 어떻게 유사하고 어떻게 상이한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5대 광역도시에서 균등하게 표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6 영역 모두에서 그리고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 모두의 경우에, 자원을 ‘받는’ 것과 관계에 관한 평가는 정적인 연관성을 보인다. 또한 약간의 예외를 제외하면 해당 자원을 받는 것에 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 역시 관계에 관한 평가와 정적인 연관성을 보인다. 그러나 이와 같이 큰 그림은 일치하더라도 개별 자원영역들이 관계만족도 및 관계의 질에 연관되는 세부적 모습까지 동일한 것은 아니고, 동일영역의 자원이라고 해도 어머니와 자녀의 경우가 완벽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어머니와 청소년간의 관계에 보다 밀접히 연관되는 것은 애정, 정보, 지위 등의 비물질적 자원이다. 또한 자원수혜와 자원에 대한 중요성 인식 간의 교호작용이 종속변수인 관계만족감과 관계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는 정보와 지위 등 상징성이 강한 자원들 뿐 아니라 애정, 그리고 서비스조차도 각각 다르게 해석하고 다르게 받아들일 수 있음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부부 및 친구 등의 관계와 달리, 발달단계가 상이하고 소유한 자원과 상대방에 대한 기대가 다른 청소년 자녀와 어머니 관계가 지닌 특수성 때문인 것으로 추론된다. This study focuses on how the immediate exchange between adolescent and mother is related with the relationship evaluation. Based on the two theoretical backgrounds, exchange theory and resource theory, it investigates two research questions. One is what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among 6 resource classes - love, status, information, money, goods, and service - are in their effects on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The other is what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mothers and adolescents are in the way that the resource exchanges affect on the relationship evaluation. We analysed the data evenly collected in Seoul and 5 big cities in S. Korea.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ordinary least square regression technique are employed. Despite all these particularities of the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receiving resources in all the 6 classes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receiving them show mostly posi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evaluation. Non-material resources such as love, information, and status are mo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mother-adolescent relationship. Mothers and adolescents interpret differently on less-material resources - such as information, status, love, and sometimes service, - and therefore produce different relationship evaluations each other.

      • KCI등재

        자녀의 성적이 어머니와 자녀의 교환관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주(Kim Hyun-Ju),이선이(Lee Sun-I),여봉(Lee Yeo-Bo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0 한국청소년연구 Vol.21 No.4

        자녀의 성적이 어머니와 자녀간 교환관계와 만족도에 어떤 인과적 관계를 형성하는지 검증하였다. 교환이론과 자원이론에 근거하여 부모자녀간 교환되는 6개 영역의 자원교환의 실태가 어머니와 자녀의 형평성인지수준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갈등수준과 만족도 수준에 각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본연구모형의 검증과 함께 성적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5대 광역시를 표본으로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 450명과, 청소년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EQS에 의해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교환이론의 이론적 모형은 어머니보다는 자녀를 설명하는데 더 적합하였다. 성적 또한 자녀집단에서만 교환관계와 인과관계가 형성되고, 갈등수준과 만족도에도 자녀집단에서만 영향을 미쳤다. 자녀들은 자신의 성적이 나쁘면 어머니로부터 자원을 적게 받는다고 생각하였다. 자녀의 성별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아들의 성적은 영향이 없지만 딸의 성적은 어머니의 교환 관계와 관련이 있었다. Basing our current study around exchange theory and resource theory, we developed a model of mother-child relational satisfaction. The model is made up of causal relations in which the pattern of resource exchanges affects the perception of the level of equity, and the equity level influences both the conflict and the satisfaction level. In addition to this model, we examined the causal direc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n the exchange relationship. The data used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450 adolescent children and 450 mothers from a nationwide sample. The EQS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exchange model was better suited to the child than the mother.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had an influence on the exchange and also on the conflict and satisfaction level in the sample group of children. The responses of the children indicated that they receive less from their mother if their academic achievement level was low. When we compared sons and daughters, daughter's achievement levels tended to have an effect on the exchange patt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