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릉 정동진 지역 단구 고토양층의 특징과 퇴적 환경

        이선복,이용일,임현수,Yi, Seon-Bok,Lee, Yong-Il,Lim, Hyun-Soo 한국제4기학회 2009 제사기학회지 Vol.23 No.1

        정동진 지역 단구를 피복하고 있는 고토양층은 배수가 잘 되지만 주기적으로 물에 잠기는 환경에서 형성되었다고 추정된다. 4.5m에 달하는 퇴적단면에서는 모두 6개의 층이 관찰된다. 고토양의 입자는 주로 점토 및 실트 크기이나 부분적으로 모래 크기 입자의 우점 구간이 있다.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장석, 운모와 녹니석이다. 고토양의 지화학적 조성은 전 층에 걸쳐 큰 차이가 없으나 화학적 풍화지수는 깊이에 따른 변화를 보여준다. 대자율의 변화는 토양층의 변화와 일치하는 양상이다. 고토양층의 상부 50cm에는 토양쐐기 층이 발달해 있고, 이 층준에서는 약 25,000년 전 분출한 AT 화산재 입자가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고토양층 하부의 사력층에서는 약 11만년의 OSL 연대가 얻어졌다. Paleosol layers lying on top of the terrace in Jeongdongjin area appear to have been deposited under generally well-drained condition with periodic waterlogging. From a 4.5m-long profile observed, a total of 6 stratigraphic units were identified. Grain-size analysis indicates the dominance of silty and clay materials with some portions with high sand content. Major mineralogical elements are quartz, feldspar, mica and chlorite. Geo-chemical composition shows little change throughout the stratigraphy with some fluctuation in chemical weathering index. Marked increase in magnetic susceptibility is recognizable where stratigraphic unit changes. Soil- wedge layer is developed around 50cm below the surface with concentration of grains of AT tephra (c. 25,000 BP). An OSL date of c. 110,000 BP was obtained from a sand layer lying below the paleosol.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천 삼거리 유적지 흑요석제 석기에 대한 산지 추정

        이선복(Seonbok Yi),좌용주(Yong-Joo Jwa),진미은(Mi-Eun Jin),길영우(Youngwoo Kil) 한국암석학회 2019 암석학회지 Vol.28 No.4

        우리나라 선사시대 유적지 중 하나인 연천 삼거리에서 출토된 흑요석제 석기에 대한 산지를 유추해 보았다. 삼거리 흑요석제 석기에 포함된 미세결정 중 산화광물과 휘석은 연정 내지 포이킬리틱 조직을 보이며, 휘석의 미세결정은 그 조성이 헤덴버자이트 내지 오자이트의 조성을 가진다. 기질에 대한 주성분 산화물의 함량에서 삼거리 흑요석제 석기는 좁은 범위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며 SiO₂ 함량이 73.8~75.5 wt.%의 산성의 유문암 조성을 나타낸다. 기질의 희토류원소 함량 역시 일정하며 뚜렷한 Eu 음의 이상을 보인다. 삼거리 흑요석제 석기의 이러한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징을 우리나라 주변 흑요석 대표 산지인 백두산과 일본규슈의 흑요석과 비교해 보았을 때, 흑요석제 석기의 원석이 백두산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We estimated the provenance of the obsidian artifacts from Samgeori site at Yeoncheon, one of the prehistoric sites in South Korea. Pyroxene microlites are of hedenbergite to augite compositions, and intergrown and/or overgrown with Fe-oxides showing poikilitic texture. Major oxides contents for the matrix of the obsidian artifacts exhibit a narrow compositional range, especially SiO₂ contents being 73.0~75.5 wt.% of acidic rhyolitic composition. Also, rare earth element (REE) contents are relatively constant in the obsidian artifacts, and the chondrite-normalized REE patterns show a strong Eu negative anomaly. Thes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features of the Samgeori obsidian artifacts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both the Baekdusan obsidians and Japanese Kyushu obsidians which have been thought to be two major obsidian provenances around South Korea. It is suggested that the Samgeori obsidian artifacts were possibly originated from the Baekdusan obsidians.

      • KCI등재

        남한지역 고구려 보루 유적 편년에 대한 대안적 접근

        이선복(Yi, Seonbok),김준규(Kim, Junkyu)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2 No.-

        이 논문에서는 남한지역 고구려 보루 편년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 편년 수립의 대안으로서 방사성탄소연대를 활용하고자 한다. 그 동안 관련 유적의 편년은 문헌에 기록된 역사적 정황을 주요근거로 삼아 보루가 사용되었으리라 추정되는 기간을 한정한 후, 토기 편년을 보조적 근거로 채택해 설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어떤 보루이건 그 축조와 사용에서 폐기에 이르는 정황은 어디에도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일종의 특수한 생활 유적으로서의 고구려 보루의 편년을 위해서는 다양한 고고학적 맥락을 검토해야 한다. 나아가 토기 편년의 응용도 관련유적의 편년에서 일정한 한계를 안고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몇몇 문제는 보다 적극적인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치의 활용을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 방사상탄소연대 활용을 통한 유적 편년 수립을 위해서는 적절한 연구전략의 바탕 위에서 편년에 필요한 시료를 채집하여 정밀도가 높은 결과를 얻어야 한다. 무등리 유적에서 얻은 방사성탄소연대에 대한 평가는 무등리 제1보루는 6세기 후반부터, 제2보루는 이보다 앞선 5세기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해준다. Chronology of the Goguryeo fortresses in South Korea has been proposed by many mainly on the basis of historical records and pottery analysis but with dubious results. Historical records seldom provide information detailed enough to understand the life history of individual fortress sites. Reliance on the literature has more often than not been limiting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remains. Also, variabilities in the assemblage composition of the Goguryeo potteries are yet to be fully appreciated, a situation exacerbated by the complex nature of the fortress sites itself. To address these problems, we suggest more vigorous adoption of the results of radiocarbon dating. They are often shunned by researchers but reliable dates can be obtained only when sampling, dating and interpretation are made within a coherent framework of appropriate research strategy and with an adoption of high-precision dating, Analysis of radiocarbon dates from the Mudeung-ri Fortress No. 1 and No. 2 demonstrates that they prove valuable to establish chronological framework of the Guguryeo fortress sites. It appears that the Mudeung-ri Fortress No. 1 could had been occupied from the latter part of the 6<SUP>th</SUP> century CE while the latter could have been used from the 5th century CE.

      • KCI등재
      • KCI등재
      • Aspects of Middie-Upper Palaeolithic Transition in Northeast Asia

        이선복 ( Yi Seon-bok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2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15 No.-

        While the patterning in the assemblage composition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is only vaguely understood in Northeast Asia, Korean evidenc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the stone tool industry around ca. 75,000 and 40,000 bp, which might serve as temporal boundaries for an adoption of the three-stage scheme of the regional palaeolithic. While the 'Middle Palaolithic' may be characterized with the appearance of Mousterian-like elements in more northerly locales, their distribution is limited. To the south, the period might be characterized with heavier, less formalized, and more or less 'expedient' pieces made on 'resilient' raw materials. Nevertheless, Upper Pleistocene assemblages may show continuity in their composition through tim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morphological refinement of stone tools decrease markedly with the beginning of the Upper Palaeolithic, during which lithic manufacture was done with the same kinds of technological complexity and sophistication as one may observe at other parts of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