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반응력 및 지하수위 변화가 지하철구조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정지승(Jeeseung Chung),이선길(Sungil Lee),이규영(Gyuyoung Lee),정해욱(Haewook Jung),김홍주(Hongjoo Kim)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5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6 No.9

        최근 도심지에서는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반침하 및 싱크홀이 다수 발생함에 따라 안정된 지하수위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의 지하수위 및 유효응력의 변화가 지하철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버스환승센터 조성 구간 부지 하부로 통과하는 지하철구조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지하철구조물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수행된 연계해석 및 구조해석 결과 지하수위 저하에 따른 구조물의 안정성은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이 도심지 터파기 시공 전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지반거동 및 인접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검토하고 예측하여 효율적인 공사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cently, land subsidence and sinkhole are generated due to a change in the groundwater level in the city. For this reason, the necessity for management of stable underground water level is on the rise.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for the underground structure that passes through the lower of bus transfer center construction site to examine the influence on the stability for underground structures to changes in the groundwater level and effective stress, the coupled finite element analysis and structur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stability for underground structure. It is to secure stability for underground structures according to underground water level declines. In this way, effective construction management will be made by previewing and forecasting the influence on the ground behavior and adjacent structures due to changes in the groundwater level.

      • KCI등재

        기존 건물 철거 및 신축 공사에 따른 지하철터널 거동특성 연구

        정지승(Jeeseung Chung),이규영(Kyuyoung Lee),김용수(Yongsoo Kim),이선길(Sungil Lee)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4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5 No.10

        최근 도심재개발사업의 증가로 기존 건물 철거 후 신축공사를 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는 신축공사에 따른 인접굴착이 지하철 터널에 미치는 영향 검토에 국한되어 왔다. 이에 따라 기존 주차장 건물을 철거한 후 신축공사가 이루어지는 OO건물 신축사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상부 건물 철거 등으로 인한 하중제하 및 하중재하에 따른 지하철 터널에 미치는 영향 검토를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은 기존 건물 철거를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MIDAS/GTS를 사용하여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터널 변위 및 부재력 결과 분석을 통해 기존 건물 철거가 지하철 터널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존 건물 철거를 고려하는 경우가 고려하지 않는 경우보다 지하철 터널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 increasing of redevelopment project causes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after demolition of old buildings. However, the researches have been largely confirmed to analysis of behaviour characteristics of existing subway tunnel due to adjacent excavation which constructing new building so far. Accordingly, The OO Building which will be built after demolishing existing parking lot is selected as a subject of stud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n existing subway tunnel due to loading and unloading caused by demolition of upper buildings. The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MIDAS/GTS program. Two cases for the numerical analysis were analyzed. The one is considering demolition of old buildings and the other is not considering i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n existing subway tunnel caused by demolition of upper building by analyzing numerical analysis results for tunnel displacement and lining stress.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s of considering the demolition of old buildings are larger than those of no considering it.

      • KCI등재

        근접시공에 따른 정거장구조물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정지승(Jeeseung Chung),김만화(Manhwa Kim),이선길(Sungil Lee),김홍주(Hongjoo Kim),신영완(Youngwan Shi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6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7 No.11

        최근 지하공간을 활용한 도시의 기반시설 확충으로 인하여 시설물 상호 간의 근접시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근접시공으로 인한 시설물의 안정성과 관련된 민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접시공으로 인한 정거장구조물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김포도시철도 터널이 계획된 노선 상부의 지하철 5호선 김포공항역 정거장구조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거장구조물의 안전영역 평가 및 굴착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검토와 수치해석을 통한 상세검토를 수행하였으며, 손상도 평가, 궤도틀림 및 구조검토 결과 근접시공에 따른 정거장구조물의 안정성은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근접시공시 인접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검토하는 경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it has been made many adjacent construction of inter-facility by the expansion of urban infrastructure facilities using the underground space. The complaints relating to the stability of the facility by adjacent construction is common.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for the subway line 5 Gimpo airport station structure in the upper Gimpo urban railway to determin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djacent construction. It was performed evaluation of the safety zone and excavation method for station structure. And after a review of damage evaluation, track irregularities and structural calculation by using a numerical analysis, stability of the station structure according to adjacent construction was evaluated to be secur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in advance if you need to review the effects of nearby structure according to adjacent construction.

      • 전환부궤도시스템의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김광우(Kwangwoo Kim),최정열(Jungyoul Choi),김충언(Choongeon Kim),이선길(Sungil Lee),박용걸(Yonggul Park) 한국철도학회 2013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1

        본 논문의 목적은 철도교량 단부 궤도의 성능개선을 위해 개발된 전환부 궤도시스템에 대한 정·동적 거동특성 및 요구조건을 수치해석 및 실내시험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속철도 궤도설계기준을 바탕으로 설계된 전환부 궤도시스템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고, 동특성(고유진동수 및 감쇠비)을 실험적으로 산출하여 관련기준과 비교함으로써, 전환부 궤도시스템의 정·동적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본 연구에서 적용한 전환부 궤도시스템은 국내 철도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정·동적 구조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a structural behavior for transition track system of railway bridge deck end.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behavior of transition track such as the variation in static and dynamic displacements and dynamic properties (acceleration, natural frequency and damping ratio) was assessed by performing loading test using actual vehicle impact loading.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static and dynamic behavior of transition track system is expected to satisfy the actual vehicle impact loading, and therefore it is inferred that the structural capacity and safety of transition track system is 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