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아리랑을 활용한 초등국악가창 장단 지도법

        이상규(Sangkyu Le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2 국악교육 Vol.34 No.34

        초등학교 국악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장단교육은 특정 장단을 특정노래에만 한정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단의 다양한 역할과 장단간 상관성을 지도하기 힘들다. 그런 점에서 특정곡을 여러 장단으로 지도하는 방안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그 첫 번 째 연구로 아리랑을 활용한 초등학교 국악가창 장단지도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현재 초등학교에서 전래동요나 민요 등의 성악곡을 반주할 때 사용하는 장단은 자진모리 장단, 세마치장단, 굿거리 장단, 중중모리 장단, 엇모리 장단, 단모리 장단, 중모리 장단 등 총 7가지 장단임을 알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세마치 장단 반주에 맞춰 부르는 아리랑을 다른 6가지 장단으로도 지도하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아리랑 1절에 필요한 장단별 장단수를 기준으로 장단간 비율을 살펴보았는데, 크게 3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A형인 중모리, 중중모리, 굿거리 장단을 1로 봤을 때 B형인 엇모리 장단은 2의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C형인 세마치, 자진모리, 단모리 장단은 4의 비율로 나타나는데, 이 관계를 정리하면 A=2B=4C로 된다. 둘째, 6가지 장단에 사용되는 아리랑 가사를 붙이는 규칙은 보통빠르기의 4박자 계열, 느린 4박자와 느린 12박자 계열, 보통빠르기의 혼합10박자 계열 등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이 중 느린 4박자와 느린 12박자 계열인 A형은 중중모리, 굿거리, 중모리 장단이 해당되는데, 각 1장단에 세마치 4장단의 가사를 배치하는 규칙이 존재하였다. 혼합박자인 B형은 엇모리장단이 해당되는데, 세마치 2장단의 가사가 엇모리 1장단에 배치되고, 총 10박 중 실제로 장구를 치는 1, 3, 4, 6, 8, 9박에 가사가 붙는 규칙성이 있다. 또한 보통빠르기 4박자 계열인 C형은 자진모리와 단모리가 해당되는데, 3박자인 세마치 장단보다 1박이 증가한 관계로 각 2박에는 가사가 붙지 않는 규칙성을 가지고 있었다. Currently, general rhythm education has been issued that people cannot teach the role of various beat and between the beat of its correlations to their student since its method has limited specific beat in a specific so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s of a improving teaching method that a specific song can be taught in a different beat way. As a suggestion, this study developed a way of teaching method of method of changdan by utilizing Arirang at primary school for the first study. A result of current music text book of primary school analyses, such as transmitted children’s songs, folk songs or vocal songs, are used to accompany with Chajinmori, Semachi, Chungmori, Chungjungmori, Kutgeori, Tanmori, Eotmori, 7 beats in total. By using these research, in this paper is studied a way of guiding in 6 different rhythms that sing Arirang song and be accompanied Semachi on the song at the same time. First of all, it is calculated by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beat which is based on the number of beat that needed in first part of song Arirang. When a beat of Chungmori, Kutgeori and Chungjungmori (A type) is 1, a beat of Eotmori( B type) is 2, a beat of Semachi, Chajinmori, Tanmori (C type) are 4. If it is organised, it becomes as A=2B=4C. <Chart> The ratio of the number of beat that needs to Arirang lyrics (표 내용은 원문 참조) Subsequently, there are three type of regulation forms that are used in 6 different name of beats of Arirang lyrics and it can be summarised as follows. <Chart>A regulation of Arirang lyrics in a different of beat, which is a standard of Semachi (표 내용은 원문 참조) This research looked the guiding method that accompany on semachi beat, which might be able to teach in different beats accompaniment. It will have efficiency if it is going to apply in a music textbook that songs are marked accompaniment of Semachi rhythm.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ing to extend other types of rhythm in order to understand and utilise of correlations the various rhythms.

      • KCI등재
      • KCI등재

        압전 마이크로캔틸레버 질량센서를 이용한 정량적 알파태아단백 검출

        이상규(Sangkyu Lee),조종윤(Jongyun Cho),이열호(Yeolho Lee),전상민(Sangmin Jeon),차형준(Hyung Joon Cha),문원규(Wonkyu Moon)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1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31 No.5

        비표지 방식의 압전 마이크로캔틸레버 질량센서를 이용하여 간세포암의 혈청표지물질인 알파태아 단백(alpha fetoprotein, AFP)을 정상 농도인 10 ng/ml까지 정량적으로 검출하였다. 압전 마이크로캔틸레버 질량센서는 캔틸레버의 질량변화에 의하여 센서의 공진주파수가 변화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센서에 붙은 물질의 질량을 측정하며, 센서의 공진주파수는 컨덕턴스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측정한다. 제작된 센서는 공진 주파수가 약 1.34 ㎒, 질량 민감도가 약 175 ㎐z/pg이며 단백질이 붙을 때 캔틸레버의 표면 스트레스 변화에 대한 센서의 공진 주파수 변화를 줄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질량센서로써 신뢰도를 높였다. ‘Dipand dry’ 방법으로 캔틸레버의 프로브 영역을 시약과 반응시켜서 AFP 항체를 고정화하고 AFP 항원을 검출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10 ng/ml과 50 ng/ml농도의 항원에서 10분간 항원-항체 면역반응을 시켰을 때 센서에 검출된 항원의 질량이 각각 6.02 pg과 10.67 pg이다. Alpha fetoprotein(AFP), which is serological marker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was quantitatively measured by its normal concentration, 10 ng/ml, with a label-free piezoelectric microcantilever mass sensor. The principle of detection is based on changes in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piezoelectric microcantilever before and after target molecules are attached to it, and its resonant frequency is measured electrically using a conductance spectrum. The resonant frequency of the developed sensor is approximately 1.34 ㎒ and the mass sensitivity is approximately 175 ㎐/pg. The sensor has high reliability as mass sensor by reducing the effect of surface stress on resonant frequency due to attached proteins. ‘Dip and dry’ technique was used to react the sensor with reagents for immobilizing AFP antibody on the sensor and detecting AFP antigen. The measured mass of the detected AFP antigen was 6.02 pg at the concentration of 10 ng/ml, and 10.67 pg at 50 ng/ml when the immunoreaction time was 10 min.

      • 『진주류씨족보』의 간행과 그 성격

        이상규 ( Lee Sangkyu ) 한국계보연구회 2018 한국계보연구 Vol.8 No.-

        진주류씨는 고려 말에 생겨난 본관이다. 이 본관은 문화류씨에서 분파되었는데, 그러한 사실이 기록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구전으로 전해졌기 때문에 세종 연간의 『문화류씨영락보가첩』, 명종 연간의 『문화류씨가정보』에도 상대 기록이 또다른 진주유씨 가계와 혼동이 된 채로 기재되었다. 선조 연간에 류사규는 안간공파보를 편성하면서 토성파와 이봉파의 상대 계보에 대하여 의문스러운 점을 지적하였다. 인조 연간에 류시정은 이봉파와 토성파가 분관된 현실을 인정하고 별도로 족보 편성할 것을 주장하였다. 1세대 뒤에 영광군사파 9대손 류동량은 진주 류씨가 관직자를 많이 배출한 명족임을 드러내 계보를 입증하려고 하였다. 이봉파 진주류씨의 초간보는 1756년에 진사 류필복이 주도하여 간행되었다. 초간보 속에 「보계변증록」이 들어 있어 이봉/토성의 분파 문제와 상대 기록을 수집하고 변증하는 데 심혈을 기울인 사실이 남김없이 수록되었다. The Jinju Ryu family originated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is clan was an offshoot of the Munhwa Ryu family. However, this is not based on factual records, but was passed down orally and therefore, it is mixed up with another Jinju Yu family in the Chronicles of Sejong ‘Munhywa Ryu-ssi Yeongnakbogacheop’ and the Chronicles of Myeongjong ‘Munhwa Ryu-ssi Gajeongbo’. In the Chronicles of Seonjo, Ryu Sa-gyu pointed out some discrepancies in the family tree of the Toseong clan and Ibong clan while compiling the Anganggong clan family tree. In the Chronicles of Injo, Ryu Shi-jeong accepted the fact that the Ibong clan and Toseong clan separated and claimed that the family tree should be compiled separately. Yeonggwanggunsa clan 9<sup>th</sup> generation Ryu Dong-ryang attempted to substantiate the family tree showing that the Jinju Ryu clan was a prestigious family that had many senior government officials. The initial family tree of the Ibong clan Jinju Ryu family was published by Jinsa Ryu Pil-bok in 1756. The initial family tree contains the ‘bogye-byeonjeungrok’ clearly showing that efforts were made to collect and demonstrate the issues of the separation of the Ibong and Toseong clans and their records.

      • KCI등재

        경량 연자성 소재의 군 시설물 적용 시 방사선 차폐효과 분석

        이상규(Sangkyu Lee),이상민(Sangmin Lee),최경준(Gyoungjun Choi),이병학(Byounghwak Lee) 한국방사선학회 202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경량 연자성 소재의 방사선 차폐 효과를 분석하여 군사시설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자성 물질은 EMP 차폐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물질이 방사선 차폐에도 효과적이라면 군 방호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차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s-137 및 Co-60 선원을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중성자 차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onte Carlo N-Particle (MCNP)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연자성 소재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감마선과 중성자의 선형 감쇠 법칙에 의한 차폐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연자성 소재를 군사용 구조물 등에 적용할 경우에 방사선 차폐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adiation shielding effect of soft magnetic material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to the military facilities. The soft magnetic material is known to be effective in shielding EMP. If this material is also effective in radiation shielding, it is expected that it has a lot of applicability in military protection. In particular, this material contains boron, so it will be effective in shielding neutrons. In this resear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Cs-137 and Co-60 sources to check the gamma ray shielding effect. In addition, the Monte Carlo N-Particle(MCNP) modeling was applied to evaluate the gamma ray and neutron shielding effect of a military command tent. As a result, as the soft magnetic thickness increased, the shielding performance improved according the linear attenuation law of gamma ray and neutron. Therefore, this research verified that the application of soft magnetic material for military purposes in radiation shielding would be eff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