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교과전공 운영에 대한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

        이병혁 ( Byoung Hyuk Lee ),박경옥 ( Kyoung Ock Par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예비 중등특수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표시과목 취득을 위한 교과전공의 대한 인식 및 기대효과, 그리고 개선요구 등을 탐색하여 더 유능한 특수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은 개인적 관심에 따라 다양한 교과전공을 선택하고 있었다. 하지만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교과들이 다수 선택되었으며, 수학, 과학 등은 거의 선택되지 않았다. 둘째,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의 교과전공 수업에 대한 기대효과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교육과정과 관련된 기대효과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은 현 교과전공 체제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는 교과전공을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있는 전체 교과들로 대체하는 방안을 가장 선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과전공이 일반교육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괴리가 심하다는 데 근본적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특수교육에서의 교과교육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에 적절한 교과전공, 특수교사 양성체제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cognition, expectation, and needs for the improvement on subject major to receive the indication subject in the part of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n = 270), and then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building the more eff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chose diverse subject majors based on their personal preference. However, they picked subject majors that had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hereas they rarely chose math and science. Second,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ctation on the outcomes of subject major class was generally low, especially expectation in the curriculum was lower. Third,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quired the changes in the current system of subject major. As an alternative, it was preferred for them to supplant the current system with the system offering lessons on the whole subjects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 was more likely that it was because the regular education base subject majors were not suitable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ence, it will be necessary to build the identity of subject educ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first, and based on that, proper subject major system, and then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would be designed.

      • KCI등재

        자유표면 유동 시뮬레이션을 위한 고정확도 수치도식의 검토

        박종천(JONG-CHUN PARK),이병혁(BYOUNG-HYUK LEE),김정후(JEUNG-HU KIM) 한국해양공학회 2006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0 No.4

        Numerical schemes for spacing and time are tested to accurately simulate the wave propagation. The tested numerical schemesinclude 2nd-order central differencing, 1-order upwind scheme, 2nd-order Leith scheme, 3rd-order MUSCLE, QUICK and QUICKEST schemes in spacing and the Euler and 4th-order Runge-Kutta(R-K) schemes in time. It is seen that more accurate results are expected when the higher-order schemes, especially the schemes combined with a TVD control limiter, are used for solving the wave equation. The 3rd-order upwind scheme with limiter and the 4th-order R-K scheme in time are finally applied to the wave-making simulation in a digital wave tank.

      • KCI등재

        부모가 인식하는 개별화교육 지원팀 회의 운영 실태 및 변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 분석

        박경옥 ( Kyoung Ock Park ),이병혁 ( Byoung Hyuk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4

        이 연구는 개별화교육 지원팀 회의에 대해 부모가 인식하는 운영의 실태와 변인에 따른부모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향후 개별화교육 지원팀 회의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장애인 부모회 소속 부모 141명이었고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별화교육 지원팀 운영 실태는 개별화교육 지원팀 회의 안내 기간은 충분하였지만 회의개최시간은 부모편의보다는 학교행정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녀에 대한 개별화교육목표, 지도방법에 대해 부모의 인지정도는 조금 아는 정도였고, 목표 달성을 위해 가정에서의 부모 노력정도는 그다지 높지 않은 편이었다. 둘째, 개별화교육 지원팀회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상호존중태도, 의 사결정에의 참여와 성과, 그리고 협력적 파트너십 등이었다. 마지막으로 ‘참여와 성과’ 영역에서 개별화교육 지원팀회의 만족도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자녀와 보내는 시간 및 주관적 소득 수준(가정변인), 자녀의 재학기관(학생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이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다루었다.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running IEP team meetings efficiently by analyzing both parents`` recognition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EP team meetings and the differences of parents`` satisfaction based on variables. Survey was implemented, and the subjects were 141 parents who belonged to the parents’ associ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could see that notification about the IEP team meeting was early enough to ensure participation, but the time for holding meeting was based on the school administration, rather than convenience of parents. Also, the subjects knew goals and objective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their child and teaching methods a little bit. Moreover,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make that much effort to achieve their child’s goals and objectives in home. Second,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on the parents satisfaction for the IEP team meetings were mutual respect among team members,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and outcomes for the IEP team meetings, and cooperative partnership. Finally, there was differences for the parents`` satisfaction in the area of ‘participation and outcomes’. Especially, among the variables, shared time with child and SES of home variables, and type of educational placement of student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ich led to in-depth discussion.

      • KCI등재
      • 중대형 차량의 로드노이즈 개선

        임지민(Ji Min Lim),이문석(Moon Seok Lee),이병혁(Byoung Hyuk Lee),이민섭(Min Sup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12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2 No.5

        The mechanism of a tire cavity noise in the sense of a tire source is introduced, and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to a vehicle body is also examined to improve a cavity noise effectively. The multiple coherence analysis(MCA) to identify the contribution of a front and rear suspension roughly, and the transfer path analysis(TPA) to check a weak system is accomplished experimentally. The solutions for low cavity noise are drawn from technical analyses, and adopted to the medium size sedan for verifi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특수학급 교사의 수학과 교수효능감과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

        박경옥,이병혁 국립특수교육원 2009 특수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ath teaching efficacy and perception for their own math class of special class teachers. While subjects(n = 158) showed above-average math teaching efficacy,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outcome expectancy. The shorter subjects' career was, the higher the outcome expectancy was, and the longer subjects' career was, the higher the teaching efficacy belief was. And the more serious children' disability was, the higher the teaching efficacy belief was. The subjects who took a course on the math education at university revealed higher mean on the math teaching efficacy. Teachers who had long career, were in charge of children with serious disability, and took a course on the math education perceived their own math class more positively. The higher teachers' math teaching efficacy was, the more positively teachers perceived their own math class. It was also revealed that teachers had few opportunities to expand their competence on the math education both in the past and in the present. Authentic pr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ositively influence on math teaching efficacy and math class itself. Hence it is critical to discuss the system that promotes special teachers' math teaching efficacy by offering them actual chances to get pr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이 연구는 초등특수학급 교사 158명을 대상으로 수학과 교수효능감과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수학교육에 있어 보통 이상의 교수효능감을 지니고 있었으나 결과에 대한 기대와 개인 교수능력에 대한 신념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경력에 따라 결과에 대한 기대는 교육경력이 적을수록 개인 교수능력에 대한 신념은 교육경력이 많을수록 높은 평균점수를 보였으며 장애정도에 따라서는 개인 교수능력에 대한 신념은 장애정도가 중할수록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고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의 수학교과에 대한 학문적 배경에 따른 교수효능감에서는 대학에서 수학교육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교사집단이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수학급 교사의 수학수업에 대한 인식에서도 교육경력이 높을수록, 장애 정도가 중할수록, 수학교육에 대한 직전교육을 받은 집단이 높은 평균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학과 교수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자신의 수학수업을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교사들에게 수학교육에 대한 전현직교육이 매우 부족함 또한 알 수 있었다. 충실한 전현직교육은 수학과 교수효능감 및 실제 수학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특수교사들에게 장애아동들의 수학과 교육에 필요한 전현직 연수의 기회를 강화하여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