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対照研究に関する一考察

        Lee, Duck-Young(이덕영) 한국일본어학회 2016 日本語學硏究 Vol.0 No.47

        외국어학습에 있어서 학습자의 모어가 학습대상인 목표언어와 어떤 점이 어느 정도 상이한가 하는 점은, 그 언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학습자가 자주 틀릴 수 있는 경향은 물론, 학습내용, 학습의 초점 등의 커리큐럼을 구성하는 과정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 교사가, 학습자의 취약한 사항을 예측할 수 있다면 수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보다 효율적인 외국어학습을 염두에 두고, 두 언어이상상이점을 명확히 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는 언어의 대조연구에 관하여, 그것이 제창되어진 배경과 그 후의 변천, 그리고 이후의 전망에 대해 고찰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언어의 대조연구는, 넓은 의미로는 언어학의 한 분야로 대조언어학을 칭하고, 좁은 의미로는 언어학의 특정항목 혹은 범주를 비교하는 대조분석을 칭하는데, 위에서 언급한대로 한편으로는 외국어교육이라는 측면과 관련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언어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즉, (응용)언어학의 발전 혹은 연구경향의 변천에 따라 대조연구의 경향도 변하는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조연구의 가까운 미래에 대해 한마디로 간략히 언급하자면, 급격히 발전한 IT를 이용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손쉽게 구축하고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은 대단히 매력적인 점으로, 이미 언어학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대조연구에도 서서히 대량의 데이터 혹은 코퍼스를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앞으로도 이 경향은 계속되리라고 생각된다. At a setting of the foreign(or second) language education, understanding(dis)similarities between a target language and the students’ mother tongue is not only useful for predicting the tendencies of errors that the students may typically make, but the degree of such(dis)similarities(i.e. how far and in what aspects the two language are different each other) would greatly influence the contents and approaches of a curriculum. If a teacher understands such(dis)similarities he/she would be able to manage his/her courses more effectively by preparing teaching materials and conducting classes in the way to avoid students’ typical errors. Contrastive study of linguistics aims to clarify the(dis)similarities between two languages in connection with the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detail the background of contrastive study, its development and changes, and future prospect. Contrastive study may, from a macro perspective, indicate a sub-discipline of linguistics as in Contrastive Linguistics, while it may, from a micro perspective, indicate a variety of investigations at various units/levels of linguistics as in contrastive analysis. Further, It has two aspects. One is its close relation with foreign language learning, as noted above. The other is its close connection with linguistics, that is, the research trend of contrastive study has changed along with those in(applied) linguistics. In this regar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n approach based on a large size of data or corpus is already a strong trend in linguistics, and that this trend is also appearing in contrastiv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such a trend will continue and further be expanded in contrastive studies in future.

      • KCI등재

        文化と言語の接点:韓日両言語における指示表現を中心に

        Lee, Duck-Young(이덕영) 한국일본어학회 2014 日本語學硏究 Vol.0 No.42

        지시는 우리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행하는 여러가지 과제와 활동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의 하나로 (Goodwin and Cekaite, 2013), 화용론에 있어서 ‘체면과 정중’이라는 차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Mauri and Sanso, 2011). Brown and Levinson (1987) 의 용어를 빌리자면, 지시표현은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로 청자에게 화자의 의지를 강요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지시표현의 사용은 그 사회구성원들 이 다른 구성원들과 대인관계를 맺고 유지하는데 있어서 중요시되는 규칙이나 관습을 민감하게 반영한다. 언어는 지시행위를 행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학적 스트라테지를 채택하는데, 그것은 대체로 다른 언어의 스트라테지와는 다른 면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대조언어학적 그리고 이문화연구의 관점에서 현대 한국어와 일본어의 지시표현을 탐구하여, 그 결과를 기반으로 언어와 문화와의 관계의 일면을 명확히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간단히 정리하자면, 지시표현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한일양언어의 특징을 대조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한국어의 지시표현은 한국사회의 상하관계를 중시하는 부분이, 일본어의 지시표현은 상하관계와 동시에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일본사회의 일면이 특징적으로 잘 나타나는 언어행위임을 명확히 했다. Directives constitute a very basic way in which tasks and activities of everyday life get organised (Goodwin and Cekaite, 2013), and have strict connection with the pragmatic dimensions of face and politeness (Mauri and Sanso, 2011). Directives are ‘face threatening act’, in Brown and Levinson’s (1987) terms, and have the ability to impose the speaker’s will upon the hearer. The use of directives thus sensitively reflects the way of interacting with other members of the society. A language often adopts various linguistic strategies (grammatical markers and constructions) to perform these acts in different ways from those in other languages.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plore the use of directive strategies in modern Korean and Japanese from the cross-linguistic and cross-cultural point of view, and shed light on some aspect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culture. By taking a closer look at special characteristics in the use of directives in Korean and Japanese, the study has confirmed the basic, but very important schema that languages adopt different linguistic strategies under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t rules and norms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different cultures. To be more specific, the study has revealed that in adopting directives strategies, the Korean culture tends to rely more on the ‘hierarchic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ereas the Japanese culture tends to rely more on ‘consideration for others’ as well a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 KCI등재

        TV 드라마에서의 인명 사용에 관한 한일언어 비교연구 -풀 네임을 중심으로-

        이덕영(Lee, Duck-Young) 한국일본어학회 2020 日本語學硏究 Vol.0 No.66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use of person names, in particular that of full names, in modern Korean and Japanese. A person name is often the first appellation for many people, which is given when they are born or even before their birth, as a label to uniquely identify themselves within the social community they belong to. It is perhaps the most essential form of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the use of which is indispensable to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everyday human interactions. Researches on person address terms have so far overwhelmingly focused on personal pronouns and kinship terms, and the use of person names, particularly of full names, have been neglected in the current Korean-Japanese cultural and linguistic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fills a gap of previous studies, and explores the use of full names in Korean and Japanese. Based on an analysis of data drawn from three series of Japanese TV dramas and their remake versions of Korean dramas, it characterises Korean being “full name oriented” and Japanese being “family name oriented”. Furthermore, it proposes two functions, ‘formal identification’ and ‘emphasis of emotions’, for full names. Significantly, Japanese lacks the ‘emphasis of emotions’ function and it is a main cause for an extremely low frequency rate of full names in Japanese.

      • 종방향 활동체결구를 사용한 당산철교 장대레일화 사례

        이덕영(Lee Duck Young),공선용(Kong Sun Yong),권순섭(Kwon Soon Sub),김은(Kim Eun) 한국철도학회 2003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 No.-

        DangSan Bridge of Seoul Subway No 2 was rebuilt by safety reason. From Dec 1996 to Dec 1999 we were in charge of permanent way design of this rebuilt project. Especially we applied maintenance free system on the bridge by Cologne Egg alternativel(ALT1) base plate and CWR(Continuous Welded Rail) by ZLR(Zero Longitudinal Restraint) for 125m(south approach section), 120m long(north approach section). This thesis generally introduce for CWR by ZLR which was first adapted CWR system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