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ntact 시대의 변화되는 트렌드를 위한 리조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박상진 ( Park¸ Sangjin ),이남규 ( Lee¸ Namgyu ),김용성 ( Kim¸ Yongse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 위기 속 우리 사회의 대처는 사회적, 도시적, 건축적으로 다양한 방면의 변화를 가져다주었으며, 또 다른 형태 New normal 등장의 시발점이 되었다. 본연구는 Untact 시대의 변화되는 군중의 건축적 공간구성 관심요소와 공간을 사용하는 데 있어 심리적 안정감을 가져다줄 수 있는 새로운 요소 고찰을 통해 리조트 공간구성 유형들을 평가할 수 있는 연구 틀을 구성한다. 연구 틀을 기반으로 리조트 공간구성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리조트 공간구성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리조트의 공간구성 유형을 분류하였다. 건물의 규모, 건물의 배치, 시설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고층 일체형, 저층 일체형, 혼합형, 저층 결합형, 독채 독립형으로 총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리조트 공간구성 평가를 위한 평가요소 도출은 현시점에서 변화된 건축전 관심요소를 반영한 항목들로써 1) 물리적ᆞ심리적 접근성, 2) 공간의 개방성 3) 감염에 대한 안전성, 4) 건축물의 위급상황 시 안전성, 5)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시하여 리조트 공간구성 평가를 시행한다. (결과) Untact 시대에 변화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요소들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공간 구성을 분석한 결과 독채 독립형 > 저층 결합형 > 혼합형 > 일체형 순의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개방성, 심리적 접근성, 감염 안전성에서 높게 평가된 프라이빗한 독채 독립형 리조트를 중심으로 리조트 공간구성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또한 리조트의 객실 외 사용자들의 접촉밀도가 높은 로비, 부대시설 등의 공간들도 함께 제시한다. (결론) Untact 시대의 변화된 공간적 관심요소는 사용자 요구에 큰 영향을 끼치며 많은 제약이 뒤따르게 되었다. 리조트를 중심으로 변화될 공간구성 분석을 통해 앞으로 설계될 리조트 공간구성에 대해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변화된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한 리조트 공간구성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설계될 리조트 공간설계의 기초자료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Our society’s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led to various social, urban, and architectural changes, initiating the beginning of a “new normal.”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framework to assess the types of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To this e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new spatial components of the architecture of interest for the public in the “untact” era and new types of factors that can promote psychological comfort in using spaces. Based on the research framework,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and proposes their future directions. (Method) First,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types of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building size, building arrangements, and facilities arrangements, the types were classified into high-rise integrated design, low-rise integrated design, composite design, low-rise combination design, and independent single house design. By considering the new architectural components of interest at present, the study also derived the following five items for assessing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1) physical and psychological accessibility; 2) openness of the space; 3)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4) safety of the building in case of emergencies; and 5) convenience of users. (Results) After identifying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factors that can meet the new needs of resort hotel users in the “untact” era, independent single house design wa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followed by low-rise combination design, composite design, and integrated design, in that ord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guideline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focusing on independent single house design, which was highly evaluated in terms of openness, psychological accessibility, and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Furthermore, spaces such as the lobby, and auxiliary facilities with high contact density of users outside the resort's rooms are also presented. (Conclusions) The new architectural components of interest for the public in the “untact” era greatly affected the users’ needs, resulting in some restrictions. Focusing on resort hotels, this study analyzed different spatial composition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ort hotel construction designs. It is hoped that the guideline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proposed in this study, which considers the new consumer demands in the post-COVID era,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resort hotels to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정서장애 특수학교의 바이오필릭 관점을 통한 공간적 분석에 관한 연구 -자폐성 장애 아동을 중심으로-

        김태현 ( Kim Taehyeon ),김용성 ( Kim Yongseong ),이남규 ( Lee Namg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생산가능 노동력의 감소와 자폐성 장애 인구의 급증으로 인해, 특수학교에서는 장애 학생들이 사회에 적응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훈련을 더욱 요구받게 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장애학생들의 취업률은 5%대로 낮은 수준이며, 사회조직 속에 적응하며 업무적 역량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사회성 증진 관점에서의 특수학교 공간 재정비에 대하여 분석하며, 사회성 증진과 자연과의 관계를 입증한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바이오필리아 이론의 적용 가능성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 모집단 설정은 자폐성 장애 아동을 관리하는 정서장애 특수학교 3곳으로 설정하였고, 자폐아동과 사회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상관관계 및 효용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교 시설에 대해 분석틀을 작성한다. 분석틀 작성의 핵심적 내용은 자폐성 장애 아동의 사회성 장애 유형과 선행연구에서 분석된 특수학교시설 설계원칙, 자폐아동의 오감자극과 사회성의 상관관계이며, 세 가지의 항목을 종합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정서장애 특수학교에서는 사회성 증진관점에서의 공간이 정도 수준으로 고려되었는지에 대하여 파악하고, 사회성 증진에 대하여 효용성이 입증된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의 대응점을 도출한다. (결과) 밀알학교와 경진학교, 정애학교를 대상으로 교실, 복도, 외부공간, 공용공간, 위계를 분석항목으로 시설 답사 및 현황 분석을 진행하였다. 교실의 경우 노출콘크리트의 사용으로 흡음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거나, 도로의 인접으로 소음에 취약하다고 분석되었으며, 시각추구현상을 유발시키는 직접등의 사용이나, 옹벽의 인접 및 중복도 배치로 인한 자연채광의 불균형 문제가 나타났다. 복도 및 로비공간에서 역시 이런 실내 조도의 불균형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교실과 복도에서 공통적으로 단색 및 강렬한 원색의 사용이나 복잡한 패턴의 사용 등 색상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외부공간은 둘레길, 화단, 텃밭 등의 외부공간이 전체적으로 정비 상태가 불량하였다. 또한 도심지에 위치하여 인근 녹지와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좁은 교사면적으로 인해 외부 체험공간의 면적이 없거나 부족하였다. 또한, 1990년대에 지어진 특수학교의 경우는 당시의 일반적인 학교건축 양식을 따라 설계되었기에 수평적 위계구성으로 보기에 어려움이 존재하다. (결론) 현황조사 결과 교사환경 및 외부환경에선 사회성 증진을 위한 공간적 고려가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애드워드 윌슨, 캘러트, 윌리엄 브라우닝 등의 학자들이 분류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의 분류체계와 바이오필릭과 사회성 증진에 대한 효용성을 연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간적 대응점을 제안하며, 본 연구는 국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되었기에, 추가적으로 국 내외의 사례를 분석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need for special schools to help disabled students adapt to society and increase their employment rate. It aims to analyze how reorganizing special school spaces can enhance social skills and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biophilia theory, which suggest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social skills, by looking at previous studies. (Method) The research population was set to three special schools for emotional disorders that manage children with autism, and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of autism and social skill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special school facilities was developed. The core contents of the analytical framework were the types of social disorders in children with autism, design principles of special school facilities analyz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stimulation in children with autism and their social skills. Through analysis, the degree to which spatial considerations for enhancing social skills were taken into account in special schools for emotional disorders was determined, and corresponding elements of biophilic design that have proven to be effective for enhancing social skills were derived. (Results) We conducted a facility survey and status analysis focusing on classrooms, corridors, outdoor spaces, common areas, and hierarchy for Milal School, Gyeongjin School, and Jeongae School. In terms of classrooms, inadequate consideration was given to sound absorption due to the use of exposed concrete, and noise vulnerability due to proximity to roads was analyzed. In addition, there were issues with the imbalance of natural lighting due to the use of direct lighting that induces visual seeking behavior or the placement of adjacent and overlapping walls. In corridors and lobby spaces, we also found an imbalance of indoor lighting, and a lack of consideration for color such as the use of solid or intense primary colors, or complex patterns in both classrooms and corridors. The external spaces, including perimeter paths, flower beds, and vegetable gardens, were poorly maintained overall. Moreover, because they were located in urban areas, there was a lack of connection with nearby green areas, and the limited teacher area resulted in insufficient or no external experiential spaces. Furthermore, for special schools built in the 1990s, it is difficult to view them as having a horizontal hierarchy structure as they were designed following the typical architectural style of general schools at that time. (Conclusions) The study found that special schools lack spatial consideration for promoting socialization in the teacher and external environment, and proposes biophilic design solutions to address this issue based on previous research. Further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is needed to expand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건축통합계획에 관한 연구 -3기 신도시 설계공모 당선작 분석을 중심으로-

        권민 ( Kweon Min ),김용성 ( Kim Youngsung ),이남규 ( Lee Namg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1990년대의 1기 신도시 건설이 완료되고 2000년대 초에 시작된 2기 신도시 건설도 마무리되고 있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 서울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급등하며 대량 공급을 통한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3기 신도시가 추진되었다. 3기 신도시는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공급확대라는 점에서 기존 1, 2기 신도시와 추진 목적이 유사하지만, 기존 발생했던 신도시의 문제들이 재발하지 않도록 자족성 강화, 교육환경 조성, 교통 접근성 제고, 거버넌스를 통한 개발추진 등을 핵심목표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선제적 대응방안과 지속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3기 신도시는 지속적으로 지역을 선정하여 추진 중이며, 남양주 왕숙1ᆞ2 등 6개의 신도시의 구상이 설정되었다. 도시건축통합계획을 적용한 3기 신도시 당선작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건축통합계획의 방향성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우선 1ᆞ2기 신도시를 바탕으로 달라진 도시설계 패러다임을 분석하여 도시설계 전제 조건을 논의하며, 3기 신도시에 대한 계획 및 목적과 당선안의 도시ᆞ건축 공간구성의 주요계획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 분석의 대상은 설계공모 당선작 6곳의 계획수립과정에서 도출된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건축통합설계에 대한 설계 방식의 의의를 도출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건축통합계획이 기존 신도시 계획과 다른 차별점과 세부요소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당선작이 시사하는 도시건축통합계획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체적 공간계획과 복합화를 위해 세밀한 지구단위계획을 조성한 토지이용계획을 제시한다. 둘째. 기존 신도시와 다르게 지자체가 시행자로 참여하여 협력적 거버넌스가 활성화되고 미래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도시공간을 제시한다. 셋째, 도시 내 주요 공간을 입체화하여 광역교통을 통합하고 선 교통 후 개발 체계를 제시한다. 또한 자율주행 및 스마트모빌리티를 사용할 수 있는 도시공간을 구성한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도시건축통합계획은 1ᆞ2기 신도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책적, 기술적 차별성을 가지고 사회변화에 부합하는 미래형 도시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지역의 특성과 토지 현황을 세밀하게 반영하고 복합적으로 계획된 부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건축통합계획의 의의를 파악하고 법적, 제도적 내용과 가이드라인과 같은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new cities were completed in the 1990s and the 2000s, respectively. In late 2010, due to the rise in housing pric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building of a third new city was announced. It has the same goal as the existing new cities, which was to expand the supply of housing to ensure stability in the housing market. However, it differs from them through its goals to strengthen self-sufficiency,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improve traffic access, and promote development through governance. Eventually, six regions were selected for the third new city, including Namyangju Wangsuk and Incheon Gyeyang. The plan and design of the third new city is based on the winning work submitted by Integrated Plan in Architecture & Urban. (Method) First, we discussed the different urban design conditions between the existing new cities and the third new city and explained the plans and purposes of the third new city.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x plans that were submitted to the design contest, including the significance of the winning design by Integrated Plan in Architecture & Urban. (Results)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isting new cities and the third new city. Three findings were identified from an analysis of the winning design by Integrated Plan in Architecture & Urban. First, a land use plan that creates a district unit plan for three-dimensional space planning and compounding was presented. Second, unlike in the past, local governance participates in cooperative governance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future environment. Third, it integrates wide-area transportation in the city and presents a post-transportation development system. It also constructs an urban space where autonomous driving and smart mobility can be used.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the design plan by Integrated Plan in Architecture & Urban revealed a futuristic city that can exercise policy and technological differenti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new cities to address social chang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land status were reflected in detail and planned in a complex manner. This study has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the design plan by Integrated Plan in Architecture & Urban and has also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such as legal and institutional contents and guidelines.

      • KCI등재

        공동주택 단위세대의 스마트팜 활성화를 위한 3차원적 결합방안에 관한 연구

        김준성 ( Kim Junsung ),김용성 ( Kim Youngsung ),이남규 ( Lee Namg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21세기 말 연평균 기온이 최대 5℃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이상기온으로 인한 자연재해의 증가와 생태계의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연평균 기온이 5℃ 상승함에 따라 벼 수확량의 25% 감소 여름 감자 수확량 30% 이상 감소, 가을 감자 수확량 10% 이상 감소하며 배와 같은 다양한 과수의 주 재배지가 변경되는 등 농작물의 생산성 감소가 예측되어 우리의 식량안보는 지속적으로 위협을 받게될 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스마트팜이 주목받고 있지만 모든 환경을 제어하는 스마트팜은 작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어 기존 연구에서는 단위세대에서 남향에 스마트팜을 배치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이는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인 주거공간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단순한 2차원적 결합 방법으로 주거공간의 특성과 스마트팜의 형태적 특성을 고려한 단위 세대의 3차원적 결합 방법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자한다. (연구방법) 가정에서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며 소비자의 부담을 줄이며 스마트팜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며 이 제안에서의 스마트팜 구동 방식을 토대로 현재 일반 시장에서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국민임대주택 평면 유형에 스마트팜 적용이 가능한 단위세대의 2차원적 공간을 분석한 후 3차원적 결합 방안에 대해 제안하며 스마트팜이 단위세대에 적용되었을 경우 스마트팜의 하루 평균 생산량(g) 및 일 평균 공급 인 수(명)을 계산하여 단위세대에 스마트팜이 결합 되었을 경우 실제 식량 생산량을 검증하고자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소비를 최대한 절약하며 일반 단위세대에서 스마트팜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가정용 type A, 가정용 type B 두 가지 방법으로 제안하였으며 가정용 type A, 가정용 type B 방식에서의 스마트팜 구동 방법의 특성을 토대로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국민 임대주택 평면 유형 36m2, 46m2, 59m2을 기준으로 스마트팜을 실 적용을 진행했으며 각 유형별로 스마트팜이 적용되었을 경우 스마트팜의 생산량 및 식량 공급 가능 인수를 계산하여 일반 단위세대에서의 스마트팜이 안정적으로 식량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 이는 기존의 단순한 2차원적인 스마트팜의 도입 방법이 아닌 주거공간이라는 단위세대의 특징과 수직적인 형태로 만들어지는 스마트팜의 형태적 특성을 고려한 방법으로 단위세대에서의 스마트팜 적용 방법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미래의 식량위기, 식량안보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중 하나로 연구적 가치를 지니며 패시브 하우스 건축기법이 함께 연구되어 활용될 경우 추후 활용성에 대한 가치는 더욱 높아질 수 있어 이는 연구가 필요한 분야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global warming,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at the end of the 21st century is expected to rise by 5°C on the earth where we live, and it is predicted that natural disasters and changes in the ecosystem will occur due to abnormal temperature. Due to such global warming, as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rises by 5°C, the rice yield decreased by 25%, the summer potato yield decreased by 30% or more, the autumn potato yield decreased by more than 10%, and the main planting sites for various fruit trees such as pears were changed. A decline is predicted and our food security will continue to be threatened. Smart farm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this, but smart farms that control all environments consume a lot of energy in the process of growing crops. These prior studies are a simple two-dimensional combination method that does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paces, which are spaces where people liv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 study on the three-dimensional combination method of unit househol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pace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mart farms. (Method) Based on the smart farm driving method in this proposal, it proposes a three-dimensional combination plan after analyzing the two-dimensional space of the most popular unit household in the general market, and calculates the average daily production (g) and daily supply of smart farms. (Results) Therefore, in this study, two methods of household type A and household type B were proposed to save energy consumption as much as possible and use the smart farm in a unit household.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farm operation method in the household type A and household type B methods Based on this, smart farms were actually applied based on the national rental housing flat types 36m2, 46m2, and 59m2 of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smart farm for general unit households can produce food stably. (Conclusions) This is not a simple two-dimensional smart farm introduction method, but a guideline on how to apply i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unit households such as residential space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vertical smart farm. This study is valuable as one of the ways to respond to future food crises and food security. If we study and utilize passive house construction technology together, it is an area that needs research as it can further increase its future utility value.

      • KCI등재

        태양광 패널을 적용한 아파트 외부 형태 분석에 관한 연구

        고현우 ( Ko Hyeonwoo ),김용성 ( Kim Youngsung ),이남규 ( Lee Namg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건물 부문에서의 배출되는 탄소 배출량이 전체의 38%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면서 건축물의 탄소 절감이 필연적인 문제로 대두되며 이에 따른 해결책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 분야를 활용하였고 적은 공간, 적은 비용 등을 장점으로 삼아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 태양광 발전이 건물 부문에 일반적이며 대중적으로 활용되었다. 건물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47.2%로 가장 많이 배출되는 주거건물 중 63.2%를 차지하는 아파트 건물을 중심으로 태양광 패널을 활용한 추진된 정책은 에너지 생산량은 총 4만5487TOE로 이는 원전 1기의 한 해 생산량인 200만TOE의 2.3% 수준에 불과하며, 설치 건수는 32만 3909건으로 목표로 내세웠던 100만가구의 3분 1에 그치고 디자인의 획일화, 도시미관을 저해 등의 문제를 발생시켰다. 또한,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결과, 2020년 이후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할것으로 예측된다. (연구방법) 전제 주택의 62.3%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아파트 건물에서 아파트 분포 유형 중 47.3%의 탑상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화된 유형을 범위로써 설정하고 국내외 태양광 패널을 적용한 사례분석을 토대로 차별화된 시스템을 파악하고 국내의 아파트의 외부형태와 사례분석을 통하여 태양광 패널이 적용 가능한 부위를 도출한다. 도출된 부위 이외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여 에너지 발전량을 계산하여 이산화탄소 절감량을 검증하고자 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 태양광 패널 활용한 국내외 사례를 통하여 에너지 절감이라는 효과는 공통적인 이점이 확인되었지만 국외의 사례의 경우 국내의 사례보다 다양한 디자인적 방식을 활용하였고 국내의 사례는 지붕, 벽, 베란다에 국한되어 건축 디자인적측면을 고려하였다는 활용했다고는 보기 힘들다. 이에 제안된 태양광 디자인요소 방안은 기존 태양광 패널을 활용한 대표적인 정책인 미니태양광 발전소와 비교하였을 때 최소 5배 정도의 수치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표준 아파트 모델에 한정하여 적용하였기에 아파트의 규모에 따라 적용 가능한 면적이 증가하고 수용가능한 가구수가 증가된다면 에너지 발전량, 이산화탄소 절감, 사회적비용이 더욱 높은 결과의 수치를 보여질것으로 예상된다. (결론) 이는 기존에 활용되었던 태양광 패널을 단순 부착과 설치 방법이 아닌 우리나라의 아파트 주거공간과 외부 형태적 특징을 고려한 방법으로 탄소 배출의 절감과 에너지 발전 측면에서 아파트 건축의 획일화된 디자인과 기능적인 부분을 고려한 새로운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적 가치를 지니며 패시브 건축기법을 방법을 함께 적용된 방안과 안전성을 실험한 시공방안연구와 함께 진행된다면 이번 연구는 활용될 가치는 더욱 높아질 수 있을것으로 보여진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carbon emissions from the building sector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of 38% of the total carbon emissions, carbon reduction in buildings has emerged as an inevitable problem. Taking advantage of small space and low cost, solar power generation among new and renewable energy fields has been commonly and popularly used in the building sector. The policy promoted the use of solar panels centered on apartment buildings, which accounted for 63.2% of residential buildings that emit 47.2% of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buildings, generated a total energy production of 45,487 TOE, which is the year of the first nuclear power plant. It is only 2.3% of the production of 2 million TOE,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s is 323,909, which is only one-third of the 1 million households set as the target, causing problems, such as uniform design and hindering the aesthetics of the city. Additionally, as a result of the forecas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building sector, it has been predicted that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building sector will continue to increase after 2020. (Method) In apartment buildings, which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62.3 %) of all housing units, the most common and universal type was set as the range, centering on 47.3% of apartment distribution types. A differentiated system was developed based on case studies applying domestic and foreign solar panels. Identify and derive areas where solar panels can be applied through an external shape and case analysis of domestic apartments. In addition to the derived areas, we proposed a new design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energy generation and verify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reduction. (Results) In this study, a common advantage of energy-saving was confirmed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s using solar panels, but in case of overseas cases, various design methods were used compared to domestic cases. It is difficult to say whether it was used in consideration of architectural design aspects. It confirmed that proposed PV design element method differs at least five times compared to the mini PV power plant, which is a representative policy using existing PV panels. Because this is limited to the standard apartment model, if the applicable area increas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partment and the number of accommodating households increases, energy generation, carbon dioxide reduction, and social cost are expected to show higher results. (Conclusions) This is not a simple attachment and installation method of solar panels that has been used in the past, but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residential space and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partments. It has a research value because it proposes a new method for consid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