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건강불평등 영향요인 분석: 주관적 건강상태와 비만여부를 중심으로

        이자형 ( Ja Hyeong Lee ),이기혜 ( Ki Hye Yi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주관적 건강상태와 비만 여부를 중심으로 중학생의 건강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분석데이터의 위계적 속성을 고려하여, 중학생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비만여부를 분석하기 위해서 각각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과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 분석 (HGLM: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생 개인수준에서는 게임시간이 적을수록, 수면시간이 많을수록, 또래지지가 강할수록 자신의 건강상태를 양호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비만가능성도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에는 운동시간과 자존감도 정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만여부와 관련하여 남학생인 경우에,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을수록 비만에 해당할 확률이 해당하지 않을 확률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 수준에서는 학교평균 또래지지가 높을수록 학생들이 자신의 건강상태가 더 양호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건강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학교차원의 교육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Using the 3rd wav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2013), this study investigates determinants of Korean adolescents`` self-rated health condition and obesity. Findings of this empirical analysis suggest that less hours of game, more hours of sleep, and a higher level of peer supports are associated positively with students`` self-rated health condition but negatively with their odds of obesity. Secondly, in relation to students`` self-rated health condition, students with more sports hours and a higher level of self-esteem also tend to report better health condition. Thirdly, the odds of obesity are significantly higher for students from a lower household income, less hours of sleep, and a lower academic achievement. Boys also have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obesity compared with girls. Finally, schools with higher mean peer supports show a higher level of self-rated health condition.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school policies to reduce students`` health inequality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가정배경과 학교적응을 중심으로 한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시간 결정요인 분석

        황나영(Hwang Na-Young),이자형(Lee Ja-Hyeong),이기혜(Yi Ki-Hy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연구 Vol.23 No.1

        한국사회에서 적지 않은 청소년들이 장시간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 하지만 청소년들을 노동시장으로 밀어내고 있는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 패널 조사(Korea Youth Panel Survey: KYPS)데이터를 사용하여 아르바이트 시간을 결정하는 요인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주요 변인으로 가계소득, 부모학력, 가정 내 사회자본, 학교부적응, 교육포부, 학업성취, 주당 아르바이트 시간 등을 설정하고 이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교육포부, 학업성취, 가구의 소득, 가정 내 사회자 본, 학교 부적응 순으로 이들 요인들이 청소년의 노동시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학력은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시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가정내 사회자본, 교육포부, 학업성취 등의 다양한 매개를 통해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시간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시간은 가정배경 그리고 학교환경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Despite the fact that many South Korean adolescents ? approximately one third of them ? have part?time jobs,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investigating the factors that push adolescents into the labor market. In this study, we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terminants of working hours of these youth using data harvested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aspirations of students, their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household income, social capital within their family, and degrees of school disengagement have a direct impact on the working hours of adolescents. Parental education attainment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working hours of children, however, it does appear to affect them through a variety of other mediators such as social capital, educational aspirations, and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working hours of teenagers are deeply associated with family background and degrees of school engage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