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과 한국의 AAC 서비스 전달체계 비교 분석

        이근민(K. M. Rhee),임성빈(S. B. Yim),나대영(D. Y. Na)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7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1 No.2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효과적인 AAC 서비스 전달체계 수립방안 논의를 위해 미국과 한국의 AAC 서비스 전달체계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을 통해 본문에서 제안한 ‘AAC 서비스 전달체계 모델’은 현재 정부나 각 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AAC 서비스 전달체계 관련 공적급여의 방식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AAC 지원체계의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현재의 방식에서 부족한 부분을 추가·보완하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제언 및 시사점으로는 현재 공적급여에서 제한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AAC 보조기기 품목을 대폭 확대하고 전국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기기센터, 특수교육 지원센터, 발달장애인 지원센터, 언어치료실 등을 활용한 인프라 구축을 통해 사각지대가 없는 보편적인 AAC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며. 관련 협회 및 학회 차원에서 AAC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 연수 및 보수교육과 같은 인력 관리에도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AC service delivery system between Korea and U.S.A for appling effective ‘AAC service delivery system. This delivery system complement the missing part in system of the current method and narrow blind area for syste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crease suppling item of assistive communication device in public benefit and provide delivery system through construct infrastructure by assistive technology cente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developmental disorder support center, speech therapy center in each local area. Furthermore, assistive technology-related institute and academy develope training programs for human resources to delivery AAC service.

      • KCI등재후보

        장애인 보조기구의 대여, 개조 및 맞춤제작 적용을 통한 보조기구 서비스 지원 사례 연구

        이근민(G. M. Rhee),이진현(J. H. Lee),김동옥(D. O. Ki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1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5 No.1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장애특성, 환경, 활동 영역 및 보조기구를 고려하여 기존의 공적급여 전달체계를 개선함으로써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장애인보조기구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에 정부주도의 장애인보조기구의 대여, 개조, 맞춤제작을 통한 보조공학 전달체계 서비스의 주요한 부분들을 파악하였고, 이를 개선함으로써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었다. 사례 연구로 2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개선된 절차 하에 보조공학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그들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의 장벽들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보조기구 무상교부의 절차와 다른 보다 전문적인 상담, 평가 및 회의 등의 과정을 통해 대상자의 요구를 충족시킨 후 그들의 활동 영역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과정에는 상용화된 보조기구를 지원하기 전에 전문기관의 여러 가지 보조기구를 대여하여 사용하게 한 후 대상자의 환경에 가장 적합한 제품을 지원되게 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환경을 고려한 보조기구를 제작하여 제공하였다. 그 결과 장애에 적합한 보조 기구의 사용은 보조기구의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활동범위는 증가하였고, 신체적 피로 및 보호자의 의존도를 경감하는 효과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연구대상자가 제한적이어서 과학적으로 효과를 검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전문기관의 보조기구 서비스 전달체계를 통해 더욱 다양한 사례의 수집으로 그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서비스 대상자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지속적인 사후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Comprehensiv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delivery was devised to describe the full social and engineering context of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systems, applications, and provision. It is based on a detailed decomposition of the four attributes: Person, Context, Activities, and Assistive Technology. The paper commences will a brief discussion of the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the services delivery, including rental of devices, modification of manufacture goods and customized production and the use of engineering to supplement some elements of the description. The main contribution of the paper is the presentation of two case studies of different applications of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These are the identification of accessibility barriers, the analysis and synthesis of assistive technology systems and the provision of a framework tor identitying end-user requirements, providing assistive technology and assessing the associated outcomes. This case study involves the presentation of the concept of a personal assistive technology profile.

      • 장애인의 차량 탑승 시 휠체어 수납에 대한 만족도 조사

        이근민(K. M. Rhee),이진현(J. H. Lee),이수철(S. C. Lee)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09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3 No.1

        본 조사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이 차량을 탑승할 때 휠체어 수납에 대한 불편함을 파악하여, 향후 관련 제품 개발에 개념설계를 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는 수동휠체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자가 운전을 할 수 있는 장애인 50명을 대상으로 직접 면담하는 설문조사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설문에 참여한 88%의 장애인이 차량에 휠체어를 수납할 수 있는 보조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장치로써 차량 트렁크에서 로봇팔이 차량의 운전석 문까지 나와서 휠체어를 트렁크에 수납하는 방법을 가장 선호하였다. In this paper, when wheelchair user get into the vehicle, we have thorough grasp of the problems of loading wheelchair and give effect to suggest conceptual design in relation to develop manufactured goods. We choose 50 participants with disabilities who manual wheelchair or motor scooter users are able to drive own"s vehicle, and the method practice in the direct survey.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is study especially in terms of the sampling population. The 88%(n=44) of the participant replied to the driver with disabilities need assistive devices for loading manual wheelchair. They prefer a system that robot arm brings the wheelchair out of the trunk to the driver"s seat door.

      • KCI등재

        수리사업 만족도 조사에 따른 전동휠체어 적용의 고려사항 연구

        이근민(K. M. Rhee),이진현(J. H. Lee)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1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5 No.1

        본 연구는 지자체의 수리사업을 통해 수리를 받은 전동휠체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적용에 필요한 고려사항을 전달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7년 5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전동휠체어 수리를 한 대상 155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뇌병변장애인이 지체장애인보다 전동휠체어 사용 비율(n=105, 67.7%)이 높았으며, 뇌병변장애에서 뇌졸중(n=43, 27.7%)을 가지고 있는 대상이 전동휠체어를 가장 많이 사용 하였다. 전동휠체어 배터리는 대부분 50Ah 또는 55Ah를 사용하였으며(n=127, 81.9%), 사용 기간은 3년 이상이 많았다(n=37, 23.9%). 수리 횟수는 2회 받은 경우(n=43, 27.7%)가 많았으며, 이동속도는 컨트롤러 속도표시등 7~8의 빠른 속도로 주행하는 경우가 많았다(n=97, 62.6%). 수리에 필요한 비용 지불할 때 본인 부담금은 10만원 미만(n=63, 40.6%)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리 빈도가 높은 곳은 배터리 교체로 나타났으며(n=34, 17.9%), 주요 고장 원인은 소모품 교체(n=39, 25.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전동휠체어를 적용함에 있어서 배터리에 대한 적정 관리를 유지하고, 운행할때 속도를 조절에 대한 교육과 관련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기술적 연구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건강보험보험공단, 지자체, 보조기기센터에서 필요한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satisfaction survey focusing on power wheelchair users who were repaired through a repair project by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results, the purpose is to convey the considerations necessary for appli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155 people who repaired power wheelchairs from May 2017 to March 2019. As a result, people with brain lesions had a higher percentage of power wheelchairs than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n=105, 67.7%), and those with the stroke of brain lesions used power wheelchairs the most(n=43, 27.7%). The majority of power wheelchair batteries used 50Ah or 55Ah(n=127, 81.9%), and the duration of use was more than three years(n=37, 23.9%). The number of repairs was received twice(n=43, 27.7%), and the moving speed was often driven at a fast speed of 7 to 8(n=97, 62.6%). The repair status showed that the self-cost was less than 100,000 won(n=63, 40.6%) and that the battery replacement was the most frequent(n=34, 17.9%). The main cause of failure was the replacement of consumables(n=39, 25.2%). Based on these results, the application of power wheelchairs requires training on how to maintain proper management of batteries and technical research to improve relevant performance. We also discussed the necessary role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local governments, and the assistive technology centers in Korea.

      • KCI등재후보

        자율주행 탑승용 옴니 드라이브 라이더 로봇 개발에 대한 장애인과 고령자의 욕구조사

        이근민(G. M. Rhee),김동옥(D. O. Kim),이수철(S. C. Lee)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2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6 No.1

        본 연구는 장애인 그리고 비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미래형 전동스쿠터인 자율주행 탑승용 옴니 드라이브 라이더 로봇의 정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자율주행 탑승용 옴니 드라이브 로봇 개발을 하기 앞서 49명의 장애인과 고령자의 욕구 조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동스쿠터의 승하차 불편사항과 밧데리 충전문제 등의 불만족한 이유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개발 시 고려되어야할 사항으로 밧데리 충전시간과 거리, 팔 받침대, 발 받침대, 시트각도 등이 요소가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인도, 차도, 경사도, 보도블럭 등과 같은 도로환경에 주행안전에 위험을 느끼고 있으며, 이를 위해 편의기능으로 조이스틱 핸들형, 네비게이션 기능, 장애물 회피기능, 옴니 드라이브 휠, 우천 시 사용할 수 있는 자동 오픈형 덮개 등 본 연구개발과 관련한 여러 요소를 포함하여 장애인과 고령자에 맞는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development information on Omni-Wheel Drive Rider Robot, futuristic electric scooters, with autonomous driving systems that are used for people including the disabled and senior. Also, it is meaningful in suggesting alternatives to replace motorized wheelchairs or electric scooters for the future. Prior to development of Omni-Wheel Drive Rider Robot with autonomous driving systems, it surveyed 49 people, including 18 people who own electric scooters and 31 senior people who have not. The summary of the survey is as follows. First, inconveniences during riding and exiting and short mileage due and safety driving to problems of recharging batteries are the most urgent task. For these problems, the study shows that charging time of batteries, mileage, armrests, footrests, angle of a seat are the primary considerations. Second, drivers prefer joystick over steering wheels because of convenience in one-handed driving against dangers from footrest and carriageways sloping roads, paving blocks. One-handed driving can reduce driving fatigues with automatic stop systems. Moreover, the study suggests many design factors related to navigation systems, obstacle avoidance systems, omni-wheels, automatic cover-opening systems in rainy.

      • KCI등재

        청각장애학생의 영어발음학습 스마트앱 개발을 위한 교사와 학생 간 영어 교육 실태 비교연구

        이근민(Rhee Kun Min),김동옥(Kim Dong Ok),이신영(Lee Shin Young),박혜정(Park Hye Jung),최봉근(Choi Bong Geun),허서윤(Heo Seo Yoo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5 재활복지 Vol.19 No.1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의 영어발음학습 스마트앱 개발을 위해 영어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와 청각특수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영어교육의 필요성은 학생보다 교사가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필요한 이유에서는 교사와 학생 모두 취업을 위해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가장 차이가 나는 부분은 현재 하고 있는 수업 시수인데 교사는 3시간이상이 78.2%로 나타났으며, 학생은 4시간 이상이 48.3%으로 가장 높았다. 이 수업시수에 대한 만족도는 교사는 '만족' 이상이 60.8%로 나타났으며, 학생은 '만족' 이상이 15.5%로 나타나 교사와 학생들의 만족하는 수업 시수가 다름을 알 수 있다. 수업 시 가장 도움이 될 보조도구로는 컴퓨터용 학습 프로그램이 65.2%로 교사는 나타났고, 학생은 스마트 기기용 학습 프로그램으로 36.2%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은 시대의 흐름을 따라 변화되는 학습보조도구를 선택하고 있으며, 교사는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하기 편리한 컴퓨터를 선택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학습의 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학습보조도구와 교사의 지도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컴퓨터 학습에서 사용되어지는 교육용 보조도구가 필요하다. 결론으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영어학습보조구도 필요하지만 이를 활용할 수 있는 개개인의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학교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t students and English teachers at special school through a surve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wareness of teachers for the need of English education is higher than the one of students, but both of them think English education is necessary for employment. The highest difference was found in class hours. 78.2% of teachers prefer 'more than 3 hours', but 48.3% of students prefer 'more than 4 hours'. In addition, for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class hours, 60.8% of teachers said they were quite satisfied, however 15.5% of students did, which shows that there is difference in class hours that both prefer. It was found that 65.2% of teachers considered computer-based learning programs the most helpful assistive device for a class and 36.2% of students considered smart device-based learning programs the most helpful one. It means that students are more likely to choose changing learning assistive devices and teachers choose the one which is convenient for teaching a whole class. Furthermore, 37.8% of students answered that development of smart applications is necessary, but teachers didn't answer the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of them. Then, we found that development of educational assistive devices used in computer-based learning is needed to increase the motivation for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capability of teachers. In conclusion, we'd like to suggest that smart assistive devices for English learning is necessary and further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school system to support individual learning is also necessary.

      • KCI등재

        장애인 보호자 및 탑승자를 대상으로 한 장애인 복지차량 사용성 평가 연구

        이근민(Kun Min Rhee),김동옥(Dong Ok K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3

        본 연구는 17명의 장애인 보호자 및 장애인 탑승자를 대상으로 레이(Ray)의 실험 복지차량 사용 시 문제점을 예측하여 개선하기 위한 연구로써, 실험 복지차량 이용 시 18개의 주요 사용성 평가항목을 통해 실제 소비자인 장애를 고려하기 위해 장애인 보호자 및 장애인 탑승자 관점에 기초한 인간공학적 설계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레이(Ray) 실험 복지차량의 만족도와 자기 소유차량 만족도 비교에서 장애인보호자군의 자가 소유차량만족도가 3.20점보다 실험복지차량 만족도가 3.88점으로 더 높았으며, 또한 장애 탑승자군에서 장애인 자기소유차량만족도가 3.00점보다 실험 복지차량 만족도가 3.31점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 보호자 및 장애인 탑승자를 위한 실험복지차량이 이들의 장애특성에 대한 불편사항을 해소한 복지차량개발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장애인 보호자 및 장애인탑승자에게 적합한 복지차량을 개발하려면 조수석의 경우 수전 동회전업시트가 필요하거나 아니면 차량 후석 슬로프를 통해 장애인을 수․전동 휠체어 탄 상태로 휠체어잠금장치, 휠체어 안전벨트, 휠체어 안전 손잡이, 하이루프 등이 차량 설계부터 장애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셋째, 후석 슬로프의 경우 차량의 전고높이(하이루프)와 수동 및 전동휠체어의 전폭을 고려하여야 하며, 휠체어 잠금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휠체어를 안전하게 고정하여 견인할 수 있는 전동장치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동슬라이드업시트와 후석 슬로프는 휠체어 장애인과 고령자 등 대상자에 맞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anticipate problems of Ray’s disabled experiment welfare vehicles for 17 drivers with disability, improving them.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the criteria for ergonomic design based on perspective of drivers with disability by investigating 18 items of usability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degree of Ray, disabled experiment welfare vehicle, was shown to be 3.88 which is higher than normal vehicles whose degree is 3.20. This showed that the disabled experiment welfare vehicle is the one with much improvement. Second, so as to develop a welfare vehicle it needs to take into account some factors including rear slope, wheelchair locker, seat belt, safety grip, and high roof. Third, in case of rear slope, high roof and width of manual or automatic wheel chairs should be considered and motor-operated device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for safety lockers, which make a wheelchair firmly fixed. Moreover, motor-operated seat and rear slope can be chosen for either of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 KCI등재후보

        승마재활 치료에 대한 자폐성 장애 아동 부모의 인식도 조사

        이근민(G, M, Rhee),김소영(S, Y. Kim),권상남(S. N. Kwon)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2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6 No.1

        본 연구는 자폐성 장애 아동의 승마재활 치료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학부모의 인식은 어느 정도이며 치료효과에 대한 목적의식은 어떠한지 또한 앞으로 재활승마 치료에 대해 가지는 기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폐성 장애 아동의 부모로 1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교차분석Chi-square Analysis)을 활용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재활승마 치료에 대한 학부모의 인지도에서 재활승마에 대한 인식이 있고, 아동이 재활승마의 경험이 없으며, 6세~10세 학부모의 응답에서 재활승마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이해도에서 재활승마는 주로 말을 타는 신체운동이고, 치료와 운동을 겸비한 전문영역으로 구체적인 도움을 주는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재활승마는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교정 및 개선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재활기관에서 재활승마가 필요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기대도에서 재활승마 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요소는 치료학(작업치료, 물리치료, 언어치료) 전공자여야 한다고 나왔고, 재활승마는 개별치료, 주 2~3회가 적당하다고 하였다. This study in the treatment of autistic horse therap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affect the perception of parents is to some extent how well treatment for a sense of purpose and a horse therapy was to evaluate the expectations. As parents of autistic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estionnaire study of 100 peopl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Analysis of the frequency analysis method, Chi-square Analysis were analyzed by taking advantage of each. Parents interested in horse therapy and children who do not have the experience of riding. In addition, Parents who have children age 10-20 riding in the response was that there would be effects Understanding mainly ride horses in the horse therapy is physical exercise. And therapy and exercise that combines specific area of expertise, as is the way to help. In addition, behavior modification, and it is used as a way to improve. Expectations in the therapeutic horse therapy should be major(occupational therapy, physical therapy, speech therapy). Horse therapy is suitable for individual therapy at least for 2-3 weeks and the Confederacy.

      • KCI등재후보

        HTML5를 이용한 청각장애인의 u-Learning 기반 IT 직업 교육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이근민(K. M. Rhee),김동옥(D. O. Ki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5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9 No.3

        본 연구에서 언제어디서든 학습이 가능한 u-Learning 접근방법은 웹과 모바일기기를 상호호환 가능한 동시에, 안드로이드와 Mac OS, PC 등 모든 모바일 기기에서 호환이 용이하도록 HTML5을 이용하여 청각장애인의 IT 교육 콘텐츠(JSP, Oracle)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온라인 컴퓨터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모바일기기를 지원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플래시기반으로 제작된 콘텐츠라 각각의 모바일기기에서 호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HTML5를 활용하여 개발된 콘텐츠에서 웹과 모바일기기를 상호호환이 가능하였다. 둘째, 개발된 콘텐츠를 대상으로 FLASH와 HTML5 콘텐츠 제작 도구들의 장단점을 각각 비교해 볼 수 있었으며, HTML5를 활용하여 다양한 이벤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셋째, 청각 장애인의 u-Learning 설계 지침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에 따라 웹과 모바일 기기의 접근할 수 있는 설계 전략들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의 경우 장애유형에 따라 교육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설계지침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In this study, IT education content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u-Learning approach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focusing on allowing the user to learn from anywhere and anytime. Specifically, this study applies HTML5 to implementing IT education contents(JSP, Oracle) for the deaf because HTML5 enables the learner to access the contents through both web and mobile device on various platforms including android, Mac OS, and PC et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computer courses are mostly supposed to be compatible with diverse types of mobile devices. However, some of the contents could not be run on applications residing in web and mobile devices because the contents tend to be developed using FLASH. HTML5 is the effective way to overcome the compatibility problem. Second, FLASH and HTML5 contents authoring tools have been compared in terms of their strong and weak points by applying the developed contents to those tools.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future work would be needed in order to implement wide variety of event functions with HTML5. Lastly, design strategies enabling access through web and mobile devices have been analyzed in accordance with u-Learning design guidelines for the deaf and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guidelines. However, in the latter case, the future work regarding design guidelines needs to be conducted to improve the educational accessibility depending on the level of impair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