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레젠테이션에 나타나는 복합양식 문식성 실행 양상 분석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슬라이드를 중심으로-

        백혜선 ( Hye Sun Paik ),이규만 ( Kew Man Lee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6 No.-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프레젠테이션의 슬라이드에 나타나는 복합양식 문식성 실행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독서프레젠 테이션 대회에 참여한 중학교 8팀, 고등학교 7팀의 슬라이드 생산 과정, 슬라이드 파일, 프레젠테이션 동영상, 설문조사의 자료를 수집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프레젠테이션의 슬라이드에서는 문자의 이미지화, 내용의 구조화, 문자와 이미지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특히 내용의 구조화에서는 글머리 기호 사용, 시각 자료 활용, 애니메이션 효과의 복합 양식 문식성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표현하고 있었다. 이 결과는 프레젠테이션이 학생들에게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복합양식 문식성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프레젠테이션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의미를 표현하는 복합양식 문식성 실행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Korean adolescents` presentation through observing designing slides. A total of eight middle school teams and seven high school teams qualified for this competition. The size of each team varied from five to six students. We discovered the following multimodality patterns when students practiced their presentation: 1) the visualization of the text by using typography(word arts), 2) the structuralization of the contents in slides by using bulleted lists, graphics(smart arts), and animation, 3) interaction image and text. Slideware, such as PowerPoint and Prezi, a represents a form of cutting-edge technology that generates exciting opportunities for writing and speaking. Through presentation, students are able to produce various multimodal text, including text, images, and video. The study provide empirical accounts of adolescents` presentation.

      • KCI등재

        국어 교과서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발표하기` 단원의 매체 및 복합양식성 교육 내용 분석

        백혜선 ( Paik Hye-sun ),이규만 ( Lee Kew-man ),박소희 ( Park So-hee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7 청람어문교육 Vol.0 No.61

        이 연구는 `매체 및 복합양식성`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국어 교과서가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세명의 연구자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14종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매체 자료 활용하여 발표하기` 단원들을 질적 내용 분석 방식으로 비교 하였다. 14종의 교과서에 대한 개방 코딩과 협의를 반복하여 9가지 분석 기준을 제시하였다. 9가지 분석 기준을 횡적 교차 분석을 통해 `매체 자료의 개념 및 종류`, `매체 자료 활용의 이유와 효과`, `매체 자료의 제작과정`, `매체 자료 이용 윤리`,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발표하기에 대한 평가`의 다섯 항목으로 재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에서 매체 자료를 부정확하게 정의하는 오류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부적절한 학습 내용이 제시된 교과서도 있었다. 부정확한 해석을 막기 위해, 새로운 개념이나 중요한 개념은 교육과정에서 자세히 소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여러 교과서에서 매체 자료의 적절한 활용, 제작, 이용 윤리에 대한 교육 내용이 실제성이 부족하였고, 의사소통 변화를 고려한 내용 제시가 필요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발표하기와 크게 다르지 않아 매체 자료를 활용한 발표하기에 어울리는 새로운 평가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standard about presentations with media resources into units in 14 middle-school Korean textbooks. To analyze a total of 14 units, first, each author conducted conventional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n two different units(a total of six units). Second, nine criteria were drawn through additional open coding of eight units and discussion of individual analyses. Third, each researcher chose three to four categories and reviewed all fourteen units. Finally, any conflicting opinion was resolved through discussion and nine criteria were collapsed into five categories: (a) the definitions and types of media and media resources, (b) rationales and effects of using media resources, (c) the process of multimodal text design, (d) ethics for use of media and Internet resources, and (e) evaluation of a presentation with media production. The result shows that a number of textbooks misinterpreted the concept of media, which was caused by vague description in the national standard. The misinterpretation, in some cases, caused inappropriate directions in the textbooks. In addition, the analysis shows a lack of concrete content or methods for learning, practicing, and evaluating in most of the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