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능인과 그의 時代: 大衆이라는 大前提와 橫斷의 論理

        이광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3

        Before passing away at a young age, Kim Neung-in was a multi-talented and active artist, working as a children’s author, playwright, and popular lyricist. This article presupposes his occupational variation served to deepen his initial agenda. In other words, Kim Neung-in emphasized that expanding contact with the “popularity” was a prerequisite of social movement. This position aligns with the spirit of the 1930s, the golden age of popular culture. Having participat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ovement and cultivating a sense of social consciousness during his school days, Kim Neung-in advanced to a more serious practice through proletarian children’s literature activities. Though he felt limited by the deterioration of the objective situation, the artist tried to overcome this hindrance through playwriting. Kim Neung-in’s interest in theater first developed through his activities in the Yeon-jeon drama circle. He then worked as a playwright in the popular theater company, shinmudae, and sought ways to communicate with the popular culture. In addition, he acted as an intermediate mediator, suggesting ways to connect the popular theater group to the proletarian theater movement group, who were considering agitation and propaganda for the people, and demanding improvement of the popular theater by referring to new drama discourse. Kim Neung-in then worked as a popular lyricist, overseeing the planning of a record company. The record distribution busines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the discovery of shinminyo (new folk song) are examples of what he expected from the technology medium of the record. He wanted to revive songs like “Chosun Color” and “Locality,” which were able to enter a more stable archive through records and a spread effect could also be expected. As such, Kim Neung-in’s practice is noteworthy in that it crosses borders and cannot be contained— either by the dichotomy of the popular and the elite or the logic of black-and-white class conflict. 이광욱, 2022, 김능인과 그의 시대: 대중이라는 대전제와 횡단의 논리, 어문연구, 195 : 199~245 김능인은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지만, 아동문학가, 극작가, 대중작사가로 활동하면서 다방면으로 활약한 인물이었다. 이 글은 김능인이 보여 준 경험의 이행 경로에 주목하면서, 그가 견지했던 최초의 문제의식이 심화되어 가는 과정을 파악하고자 했다. 즉, 김능인은 대중과의 접점을 확대하는 것이 사회운동의 대전제라고 보았으며, 이는 대중문화의 전성기를 맞이한 1930년대의 시대정신과 조응하고 있다는 것이다. 학창시절 문자보급운동에 참여하며 사회의식을 함양한 그는 프롤레타리아 아동문학 활동을 통해 본격적인 실천의 길로 나아간다. 그러나 객관적 정세의 악화 때문에 한계를 느낀 김능인은 연극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했다. 연전 연극부 활동을 통해 연극에 관심을 갖게 된 그는 대중극단 신무대에서 극작가로 활동하며 대중과의 소통 방안을 모색해 나갔다. 또한 그는 대중화 방안을 고민하던 프롤레타리아 연극운동 진영에 대중극단과의 연계 방안을 제안하는가 하면, 신극 담론을 참조하여 대중극단의 개선을 요구하는 등 중간적 매개자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대중작사가로 활동하게 된 그는 레코드 회사의 음반기획을 총괄했는데, 조선어 독본 음반 보급 사업이나 ‘신민요’ 발굴 사업은 그가 레코드라는 기술매체에 기대했던 바를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그가 되살리고자 했던 ‘조선색’과 ‘향토미’는 레코드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아카이브 속에 진입할 수 있었으며, 전방위적인 확산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김능인의 실천은 대중과 엘리트의 이분법, 계급갈등에 기반한 흑백논리로 모두 재단할 수 없는 지점들을 횡단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KCI등재

        카프 演劇大衆化論의 展開와 宋影 諷刺劇의 媒體美學

        이광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Song Young gradually began to create a satirical comedy in which he comicize the bourgeois, breaking away from the early works that staging a consciousness of proletarian. I tried to emphasize that satiric comedies must have been recognized as a self-renewal way to combine the two principles of genre recognition and proletarian literature movement, which he maintained. Also, when the KAPF leadership, which had been engaged in the play as a method of propaganda and agitation, finally sought to maintain the legal struggle line, Song young could not help awaring of the conditions for staging. As talkie began to be shown in colonial chosun, the movie gradually came out of the medium hybridity of the silent movie era and became a fully technology-replicating medium. In line with this, the play begins to establish its own character as a "human media." In this regard, the elements of the slapstick comedy and exaggerated appearance that Song Young showed in a satirical comedy were devices that highlight the existence of the human body. And the use of drama space to play the sound of proletarian's footstep was an effective technique to find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stage. 이광욱, 2018. 카프 연극대중화론의 전개와 송영 풍자극의 매체미학, 어문연구, 180 : 285~317 송영이 견지했던 극작술의 두 가지 원칙은 장르에 대한 인식과 계급문예운동의 방법론이었다. 본고는 자기 갱신을 추구하던 송영이 풍자극으로의 작풍 전환을 통해 이러한 두 가지 원칙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내는 데 성공했음을 강조하고자 했다. 또한 선전․선동의 방법론으로서 연극에 착목해왔던 카프 지도부가 끝내 합법투쟁 노선을 유지하고자 했을 때, 송영은 당대 극장환경의 조건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으리라고 보았다. 식민지 조선에서 발성영화가 상영되기 시작하면서 영화는 매체적 혼종성을 드러내던 무성영화기의 관습으로부터 벗어나 완전한 기술복제 매체로서의 조건을 갖추게 되었고, 이에 발맞추어 연극은 ‘인간매체’로서의 속성을 고유한 성격으로 확립해나가기 시작한다. 이렇게 볼 때 송영이 풍자극에서 보여주었던 슬랩스틱코미디의 요소와 과장된 외양 묘사 등은 인간 육체의 현존성을 부각시키는 장치였으며, ‘노동자의 발소리’를 들려주는 드라마공간의 활용은 관객과 무대 사이의 적극적 상호작용을 모색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법이었다.

      • KCI등재

        피부에 스미는 어둠―이승희, 『숨겨진 극장-식민지 흥행장의 치안과 통속』 (소명출판, 2021)

        이광욱 한국극예술학회 2022 한국극예술연구 Vol.- No.75

        『숨겨진 극장』은 검열 및 제도사의 맥락에서 한국 근대연극사를 재구성한다. 저자는 1부에서 식민지기 극장을 둘러싼 검열과 제도의 정착 및 이행 방향을 개관한다. 이어 2부에서는 극장이라는 실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진 실천의 정치적 맥락에 주목하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제도와 실천의 길항작용 속에서 그것이 텍스트에 남긴 흔적에 관심을 기울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저자는 검열이 곧 식민지기 극장문화사에 대한 전면적 재배치를 요구하는 맥락이라 강조한다. 또한 기존의 연극사 서술에서 ‘미달한 근대성’의 징표로 평가절하되어 온 신파의 미적 특질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국민연극이 열어젖힌 역설적 가능성에 대한 재해석 역시 한국 근대연극사가 새롭게 착목해야 할 문제들을 설득력있게 제기하고 있는 대목들이다. 『숨겨진 극장』은 검열 및 제도라는 맥락이 텍스트 분석으로 되돌아가는 환류작용을 역동적이고 흥미롭게 그려냈다는 점에서 눈여겨봐야 할 저작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生命力’ 思想의 批判的 受容과 東學革命의 意味 -金祐鎭의 「산돼지」 硏究-

        이광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2 No.2

        This essay mainly studies meaning of ‘dong-hak' motif expressed in Wild Boar written by Kim Woo-Jin. Until now, Wild boar have got a lot of attention as a literary expression case of the ‘dong-hak' revolution. But it has been devalued because of flaws exposing the trivialism. As the bio- graphic study coupled with the suicide of Kim has become the mainstream of study, the theme of Wild Boar has explained in the same frame like a maternal complex, too. But this essay attempts highlight that expressing of ‘dong-hak' in wild boar was closely related with Kim's fundamental philosophic aim. This essay, futhermore, tries to prove that Kim not only agreed with the philosophy of life force derived from Shaw, but also wanted to treat the limitation of his thought, and puts Kim's critical mind side by side with the theory of the Cheondogyo philosopher like Lee Don- Hwa. In such manners, this essay emphasizes that Kim had a attention to the motif of ‘dong-hak' revolution as a historical evidence for connection of individual’s internal life force and social revolution, and tried to suggest the way forward for young people of Chosun through spiritual inheritance of the radical revolution which was differed from the discourse of the grad- ual improvement. So, Wild Boar is the drama that extended social vision more than auto-biological features of wrecked ship, and placed on the area of specific historical vision of cho-sun connected with the universal phi- losophy expressed by shaw. 본고는 金祐鎭의 「산돼지」에 나타난 동학 모티프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했다. 지금껏 「산돼지」는 東學革命의 文學的 形象化 事例로서 주목받아왔으나 그 의미는 瑣末主義的 한계를 드러낸 것 이상으로 평가되지 못했다. 또한 그의 죽음과 결부된 전기적 연구가 김우진 연구의 주류를 형성하게 되면서, 「산돼지」 역시 ‘母性 콤플렉스’와 같은 문제틀로 해명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고는 「산돼지」에서 東學을 다루는 방식이 김우진의 근본적인 사상적 지향과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강조하고자 했다. 더 나아가 그가 버나드 쇼의 生命力 思想에 共鳴하면서도 그 한계를 논의하고자 했음을 밝히는 한편, 김우진의 문제의식을 이돈화와 같은 天道敎 思想家의 思想과 同軌에 놓고 바라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본고는 김우진이 個人의 內的 生命力과 사회적 혁명이 긴밀히 관련되는 歷史的 典據로서 東學革命에 주목하고 있었으며, 漸進主義的 改良論과는 차별화되는 急進的 革命의 繼承을 통해 ‘조선 청년’이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자 했음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