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공디자인과 현대도시의 특성 연구 : 교량의 공공디자인적 상징성을 중심으로

        이경아(Lee Kyungah)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1

        본 논고의 목적은 현대도시(contemporary city)와 인간 디자인 그리고 공공디자인의 소통을 연구하는 데 있다. 또한 공공디자인을 기존 디자인의 부유물이 아니라 독립된 디자인 객체로서의 가능성을 제안하는 데 있다. 공공디자인은 공공의 장소에서 공공의 이익을 위하는 디자인이다. 공공디자인은 필연적으로 공공 공간과 그 공간을 구성하는 다양한 사람들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지나면서 도시는 점점 거대해졌고 이는 곧 인간성의 상실로 이어졌다. 공공디자인은 공공의 공간에서 공공의 사람들이 공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인의 소유가 아니다. 그러기에 공공디자인은 객관적인 공간인 거리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즉 공공디자인은 주관적인 성격을 벗어났으며 소유의 그물을 벗어난 것이다. 소유의 그물을 벗어났다는 것은 함께 누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공공디자인은 인간들의 삶의 공간인 도시와 떨어져서 논할 수 없을 만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공공디자인은 공간과 사람과의 관계를 이해하며 하나가 아닌 다수를 위하며 지역성과 역사성을 고려하고 일상과 비일상을 모두 담은 디자인이어야 한다. 공공디자인은 공공 공간과 사람들 간의 교감으로 만들어내는 교감의 디자 인이다. 사람들은 공공 공간에서 재미를 느껴야 하며 꿈과 희망을 상상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공공디자인이 사람들과 교감할 수 있는 원동력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llustrate and research the contemporary city and human which is directly linked to environmental post-modern and also communicate the public design language. Also to propose the possibilities of the public design as independence object of design rather than suspended particle of design paradigms. Public design is mainly oriented by seeking the public benefit in public space. The public design is inevitably linked to public space and various people who are filling up that space. Throughout modernism and post-modernism period of time the size of urban has been enormously bigger and this phenomenon has been caused the frustration of humanity. The public design is to share with public space and public rather than it belongs to personal property. To that end public design has been dealt with one of the objective spaces known as street. Namely public design gets over the subjective characteristic and run out of possessive boundary. Running out of possessive boundary it refers to benefit the public design which can entertain all public without any subjective ownership. To satisfy the individual desires public has been coming up to the city and it reflected to the enormous size of the city as a dinosaur. We take it for granted that public design is closely related to the city because it is not worth to consider the city without public separately. Public design ne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with space and the human. It respected for majority of people rather than individual and considered regional rationality and historicity. And public design should contain the ordinary and non-ordinary life style elements. Public design is a tangible design of consensus made by public space and people together. People should have entertained themselves in public space and pursue the ideal dreams and hope in the end. That is a power of motivation to consensus in between public design and people.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온라인 공동체 상호작용과 성장과정 유형에 관한 연구

        이경아(Lee, Kyungah),김성천(Kim, Seong-Cheon),장혜림(Chang, Hae-Lim),이은정(Lee, Eunj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4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상호작용과 이를 통한 성장과정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자 포털사이트에서 운영되는 온라인 공동체의 게시글 중 총 250개를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발달장애아동 부모들은 도움이 필요하고 동질감을 갖고자 하는 인과적 조건에서 상호작용을 시작하였다. 게시자, 댓글자간의 상호작용이라는 중심현상은 각 게시자의 태도가 개방적인가, 폐쇄적인가라는 맥락적 조건과 게시자와 댓글자가 상대방을 존중하고 친밀하게 대화하는가, 일방적이고 평가적 대화인가라는 중재적 조건에 따라 주고받음이 활발해지기도 하고 숨어버리는 양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상호작용의 중심전략으로는 의지다짐, 구체정보, 공감과 지지라는 세 개의 범주에 7개의 하위범주가 포함되었다. 건강한 성장을 이룬 발달장애 부모들은 자기 수용과 강한 유대감을 가지게 되고, 부정적 철수를 하게 되는 부모들은 신세한탄을 하거나 숨어버리는 결과를 보인다. 부모성장 과정은 세 개의 상호작용 모형인 ‘의지다짐’, ‘구체정보’, ‘공감과 위로’ 모형을 통하여 설명되었고 부모성장을 위한 지원으로 경험자를 통한 신뢰와 격려 제공, 지속적인 상호작용 격려하기 그리고 비공식적 지원체계와 공식적 지원체계의 협력적 보완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growth of parental empowerment of the family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in an online parent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250 posts were selected from a web-forum of an online-community(internet CAFE) for pati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Korean portal site. In addition, the selected pos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s with high risk children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short answers, self-addressing, and discussion type interactions under the causal condition in which the subject parents were in need of help and sympathy.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focus event, which is the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posters of the original threads and replies, included the moderating conditions based on whether the conversation was respectful, friendly, or for general evaluation, as well as the contextual condition of exclusive attitudes. The strategies of the interactions were composed of two categories of self-reflections and sharing through a human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se interactions were either further interactions (sharing) or shying away. With regard to the process of reinforcing the collective empowerment of the family, the 'determination,' 'tips,' and 'empathy' models were used for the explanation of the process. Lastly, we discovered that trust, support, continuous interactions, specific and practical information, as well as provision of diversified perspectives through collective experiences are necessary to achieve such improvement of collective family empowerment.

      • KCI등재

        중환자실과 응급실 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경아(Lee, Kyungah),김화순(Kim, HwaSoon),이영휘(Lee, Young Whee),함옥경(Ham, Ok Kyung) 기본간호학회 2012 기본간호학회지 Vol.1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knowledge, attitude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and to identify predicting factors of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in ICU and ER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28 ICU and ER nurses working in one of three university hospitals and one general hospital. Collected data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features related to infection risk, and knowledge, attitude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For the final analysis, 218 questionnaires were used. Results: Within the previous one year, 103 (47.3%) nurses experienced pricking injury from syringe needles or other sharp materials, 111 (50.9%) nurses reported exposure to patients" blood and body fluid. In general, the scores for knowledge, attitude and compliance were all high. Compliance scores for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urses in emergenc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knowledge, attitude,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Attitude and work place wer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o increase nurse"s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continuous efforts to enhance positive attitudes and at the same time, improve work environments and use individualized approaches based on the work units are needed.

      • KCI등재

        맥락적 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디자인프로세스 모델의 문제해결에 관한 연구-충주 자유시장 활성화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박준홍 ( Junhong Park ),이경아 ( Kyungah Lee ),송연호 ( Yeonho So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3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적은 ‘맥락적 이해’를 기반으로 한 디자인프로세스 모델을 연구하는데 있다. 또한 이를 활용한 사례연구로서 충주시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전통시장인 자유시장의 활성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의 개념을 고찰하여 그 의미에 포함되어 있는 맥락적 연구의 중요성과 그 본질을 파악하였다. 둘째, 다양한 디자인 프로세스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들 사이에 공통적인 개념이 있음을 인지하고 그 원리와 개념을 논의하였다. 셋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디자인의 핵심 본질인 맥락을 이해하고 파악 할 수 있는 ‘맥락적 이해’ 라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자인 프로세스의 새 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맥락적 연구를 통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을 충주 자유시장 활성화 전략 프로젝트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충주지역의 전통시장인 자유시장의 사례를 통해 문제해결 과정에서 맥락적 이해와 파악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디자인 프로세스의 활용을 통해 논리적이고 일관성 있는 맥락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논의 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같은 논의를 통해 맥락을 도출하는 연구가 디자인과 디자인프로세스에 있어 핵심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사례로 연구 하였다는 것과 자유시장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전통시장을 디자인적으로 연구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디자인프로세스 모델을 통해 방법론화 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하지만 다양한 사례에 적용 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해결 방법(Tool)들을 적용하지 못한 것에 본 연구의 한계를 찾을 수 있으며,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보다 심도 있게 발전시키도록 하겠다.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design process model based on ‘contextual comprehension.’ Additionally, it proposed activation strategy of Jayu Market which is the oldest and biggest traditional market in Chungju as a case study.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reviewed the concept of design and identified importance and nature of contextual study included in the meaning of design. Second, it discussed principle and concept recognizing that there is a common concept among processes through the analysis of diverse design processes. Third, a new model of design process including the stage of 'Contextual Understanding' to understand and identify the context which is the core nature of design was proposed. Finally, design process model through contextual study was applied to Chungju Jayu Market Activation Strategy Establishment Project. The meaning of this study lies in that this study shows that a study inducing context can be a core in design and design process through these discussions and through a case study and it developed a methodology through design process model so that it could be used as basic materials not only for Jayu Market but also for various types of traditional market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is study because it did not apply diverse problem solving tools that can be applied in various cases. It is hoped that the following up study 'A Study on Contextual Design Process for Return to the Farm and Rural Areas' can develop it in depth.

      • KCI등재

        상상력과 디자인의 개념연구와 사례조사

        안수지(Ahn Soojee),이경아(Lee Kyungah)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4

        디자인은 디자이너와 사용자의 상상력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상상력이란 그 실체가 분명치 않고 개념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지 않았으나 최근에 와선 상상력이야 말로 기술과 문화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며 논리적 사고행위로 인식되어 각계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인간의 상상력이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실로 다양하겠지만 그 중에서도 디자인은 상상력을 무시하고는 그 의미와 존재 목적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상상력의 개념과 역사 그리고 상상을 통한 이미지 중심의 인간사고에 대해 고찰한 후 디자인의 개념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여성과 실버세대의 대두를 통해 디자인이 나아갈 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는 기존의 고정관념과 사고방식이 아닌 새로운 대상과 그에 합당한 디자인 방법론을 전개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문화와 사회적 경험을 토대로 한 상상력을 디자인에 반영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상상력이 원형이 된 여러 디자인 사례를 알아보고 인간의 상상력을 통해 마지막으로 최근 사회적 패러다임화이 되고 있는 여성 인간의 삶이 어떻게 바뀌고 진화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자 한다. 상상력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해와 이를 통해 디자인사고의 전환을 어떻게 형성해 나갈 수 있는지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Design is the consequence of the imagination by the designer and user. Imaginative power has been understood by conceptual principal and its entity was quite ambiguous. Up until now its importance has not been embossed but presently imaginative power is regarded as driving force of developing a culture and technology as well as it is recognized as a logical thinking behavior. The research on imagination has working actively in various fields. Imaginative power of human being has been influenced on various type of filed. However it cannot find the reason for being without the imagination especially in design. To this end there are two major purposes on this paper that first purpose is sorting and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imagination and its power of the image creates ability. Moreover another point is about knowing the relationship in between imagination and design and adapts imagination to real design. In addition it talks about the characteristic of woman and silver generation who are becomes a social icon and paradigm in these days and its new kinds of fields additionally. Final purpose is seeking for how that imagination builds up the new paradigm of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