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에서의 시청자 참여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은혜정(Eun, Hye Chung),이수영(Lee, Soo Young),김동우(Kim, Dong Woo)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 방송환경에서 강력한 인기를 모았던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 그 중에서도 특히 음악 오디션 프로그램에 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중 오디션 포맷은 특히 시청자들의 투표를 통한 직접적인 참여가 인기의 커다란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연구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보다 실질적으로 먼저 음악오디션 프로그램 만이 갖는 시청동기를 알아보고, 음악오디션 프로그램에서 활용되고 있는 시청자들의 참여에 있어, 검색, 추천, 투표 등 각각의 행위 유형이 시청 동기 및 시청자들의 성향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오디션 프로그램 시청의 이용 동기로 평가참여의 즐거움, 음악감상, 오디션심사관심의 세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음악오디션 프로그램 이용 행위 중 검색행위에 가장많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이용 동기 중에서 평가참여의 즐거움, 음악감상 그리고 오디션 시청 플랫폼 수의 순이었으며, 추천행위에는 평가참여의 즐거움, 음악감상, 혁신성, 그리고 SNS 이용시간 순이었다. 또한 투표행위에는 평가참여의 즐거움, 음악감상, 오디션심사관심, SNS 이용시간, 오디션프로그램 시청시간, SNS 이용 빈도 순이었다. For the past several years reality television has dominated mainstream television programming and it is even more true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music audition reality programmes, since this particular format introduced the simultaneous vote-in by audience. This vote-in system is the main drive for its popularity and it open up the new possibility to participate to the program and its content by audience. A survey administered reveal that there are three distinctive motives for watching music audition programmes: interest for evaluation, listening to good music and interest in judging. Searching information activity, recommendation activity and vote-in activity are three activity factors and all related to the motivation of interest for evaluation . Understandably, motivation of listening to good music positively relates to searching information and recommendation activities but negatively relates to voting activity. For the recommendation activity, not only interest for evaluation and listening to good music factors affect but also innovative characteristic of audience and SNS usage time play the important roles. Apart from all three motive factors, SNS usage time and its frequency, as well as audition programme watching duration affect to the vote-in activity.

      • KCI등재
      • KCI등재

        라디오 방송서비스의 상호작용성 인식에 대한 비교 연구 -EBS 이용자와 제작자를 중심으로

        은혜정 ( Hye Chung Eun ),김광재 ( Gwang Jae Kim ),강신규 ( Sin Kyu Ka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2 언론과학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라디오 이용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상호작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상호작용성에 대한 인식이 방송 제작진들의 상호작용성 인식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제작자와 이용자 간 인식 차이가 발생하는 지점을 찾고, 그 이유를 밝힘으로써 라디오 방송이 지향해야 할 상호작용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EBS 라디오 이용자와 제작진에 대한 초점집단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와 제작자 모두 라디오 방송에 있어 기술적 차원의 상호작용성 보다 인지적 차원의 상호작용성에 더 무게중심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용자와 제작자간 상호작용적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크게 달리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미디어를 통한 상호작용적 서비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이 서로 다르게 존재함을 보여주는 대목으로 해석됐다. 셋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대해 제작자 그룹의 경우``제작자-이용자 간``, 이용자 그룹의 경우 ``이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이 보다 필요하다고 응답, 상호작용적 미디어 서비스의 형태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살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전통적 매체인 라디오 방송의 상호작용성 유형을 구체화하고, 이용자-콘텐츠 간 상호작용성이라는 새로운 차원의 상호작용성 유형을 추출해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ived interactivity between radio users and its program producers. Radio, once considered traditionally old medium, is now revived with a vengeance when it introduced the converged service with Internet. Interactivity has been the part of inherent characteristics of radio due to its program format as well as its contents. However, after Internet radio service was introduced, interactivity with its users becomes limitless. However, at the same time, nurturing and participating in its interactivity entail a sense of fatigue to both of users and producer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answers for following questions through focused group interviews among users and producers: 1) what is the perceived interactivity of radio users 2) what is the perceived interactivity of radio program producers 3) and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se two answers, where the differences lie. As a result, both groups more cherish perceived interactivity than technological side. However, while producer group perceives interactivity between users and programs, user group demand more interactivity between users themselves. This study contributes to widen the concept of interactivity and to extract new form of interactivity between users and media contents.

      • KCI등재

        인맥연결 형 네트워크 유형에 대한 사례분석

        김준호(Jun Ho Kim),은혜정(Hye Chung Eu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8 No.4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들이 정치영역, 문화영역, 나아가 경제영역 등 사회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초기의 개별 국가를 대상으로 서비스가 제공되던 형태에서 국제적인 서비스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경우로 한국의 ‘싸이월드’와 미국에서 시작된 ‘페이스북’을 들 수 있는데, 이 둘의 발전과정에는 서로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싸이월드는 국내에서의 성공을 모델삼아 해외로 진출하여 현지화 전략을 구사했으나, 현재는 대부분의 해외 사업을 접고 철수한 상태이다. 반면 사회적 인맥연결형 서비스라는 같은 범주에 포함되는 미국의 페이스북은 전 세계 회원 수 8억 명을 돌파하면서 지금 이 순간에도 지속적으로 회원 수를 늘려가고 있다는 데 본 논문의 의문이 시작되었다. 한쪽의 부진과, 또 다른 한쪽의 성공으로 이끈 차이는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이를 Web1.0에서 Web2.0으로의 인터넷 가상공간의 진화와 이를 반영하는 네트워크 형태의 변화에 대처하는 각각의 방식에서 그 차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틀인 네트워크 형태분석의 틀을 적용하여, Web1.0 시대의 수직적 네트워크가 Web2.0에서는 수평적인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는 환경에서 일방적으로 ‘보여주는’ 구조가 강한 폐쇄적이고 수직적인 싸이월드와, 상호간에 소통을 훨씬 자유롭게 만든 개방적이며 수평적인 페이스북 구조의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차이점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각각의 네트워크 유형론을 중심으로 RSS 기술의 적용 및 API 개방을 통한 개방성 유무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구조 내에서의 의사소통의 구조 분석을 통해 정보의 흐름이 하나의 초점집단을 통한 중앙집권적 위계 구조 혹은 참여 구성원 각각으로 분권되어 있는 수평적 구조인지의 여부로 네트워크를 비교하는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Social network services have been expanding their influences on various sectors of society, such as culture, economics, and more saliently, on politics. Moreover, some of influential services go beyond the domestic to international scape. Cyworld of Korea and Facebook of America are two good examples. However, these two services have some similarities as well as differences. Recently Facebook announced that the number of its users became just over 800,000,000 and even at this time of writing, its number may be increasing. Meanwhile, Cyworld, still going powerful in Korea, in particular among teenagers, has experienced great difficulties to expand its business to other countries and as a result, most of international branches have been closed its services nowadays. Cyworld, once renowned the first ever SNS which went global, faces with the crisis of its identity and business strategie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of network structure made to destine these two services for different paths, and both researchers have tried to find its answers from the architecture of two network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Cyworld network showed rather rigid and closed and, it has hierarchical structure. Meanwhile, Facebook enjoys openness through adaptation of RSS strategy as well as opening of API and in its structure of communication, it shows more horizontal character.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수용자의 능동성에 관한 연구

        이수영(Soo-Young Lee),은혜정(Hye-Chung Eun)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6 No.-

        본 연구는 PPV 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두 개 집단으로 나누어 이들의 능동성 정도를 비교하고, PPV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능동성 정도가 PPV 이용을 예측할 수 있는지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능동성을 선택적 행동과 참여적 행동의 두 개의 하부 개념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PPV 이용집단의 특성을 보면, 이들은 비이용 집단에 비해서 위성방송을 이용하기 위해서 선택적 행동을 많이 하는 사람들이다. 한편 PPV 이용 정도를 가장 많이 예측할 수 있는 능동성 변인은 참여적 행동이었다. In the era of digital media, one of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s the activity what audience play. This characteristic can be particularly demonstrated in the case of PPV(Pay-Per-View) use. Since this service is related with payment by audience according to each behaviour of their own media use. In doing so, this pap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pattern in PPV use. In particular, the study tries to predict from the result that which trait of characteristic can explain the adoption of PPV. The analytical result shows that PPV users ate much more active in gathering information as well as achieving the diversity in terms of program choice compared to non PPV users. At the same time, PPV users are prone to be unsatisfied against the other media and naturally willing to adopt the new media. PPV users are much more keen to use toward age related programme classification system in order to protect their children from inappropriate programmes. The variable of participational behaviour is the most relevant variable to predict the degree of PPV use, however, it fails to predict to distinguish the PPV users group from non PPV users group. It maybe given as a conclusion that PPV users ate much more active in not only choosing their own program they like to watch but also planning ahead for maximising their pleasure from viewing.

      • KCI등재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연구: 의사사회 상호작용 요인, 플로우 그리고 시청만족도를 중심으로

        조준상 ( Jun Sang Jo ),은혜정 ( Hye Chung Eu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리얼리티 TV와 버라이어티 쇼를 접목시킨 한국의 예능ㆍ오락 프로그램을 ‘한국형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이라고 정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초기의 해외 리얼리티 포맷 프로그램이 여과 없이 들어왔던 것과는 달리, 이제는 현지화와 지역성의 반영을 통해서 한국형 리얼리티 프로그램으로서의 입지를 굳히며 이러한 형태의 프로그램들이 많이 편성되어 제2의 리얼리티 프로그램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해외의 리얼리티 TV와 차별화를 보이는 국내의 리얼리티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국내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특성을 살펴보고, 해외 서바이벌 포맷과는 달리, 배제보다는 동일시와 연대감, 동일한 인물의 지속적인 출연과 같은 특성으로 인해 시청자들이 출연진들에게 느끼는 의사사회상호작용은 더욱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한 플로우와 시청만족도와의 관계 역시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rean reality TV shows’, are not easy to define. Some call them as reality entertainment shows or reality variety shows. They are in the same family with other typical korean entertainment programms since these all like to cast no one but celebrities. However, these formats are different from previous korean entertainment shows because these celebrities have to play allegedly without fixed scripts. In this sense, these are non-scripted reality show without severe survival competition. Korean reality TV shows prefer heavily depending on the casting characters and each of casting members is already established figure from representation through mass media. This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Korean reality TV shows attracts the attention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parasocial interaction is cautiously adapted to the study in due to its explanative power between audience and casting characters, here, celebrities. Demographic variables are shown as important since younger generation experience more active parasocial interaction meanwhile, female audience experience more affective parasocial interaction. All three parasocial interactive factors(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ural) are positively affect to the ``flow`` experience of korean reality tv shows and more importantly both of parasocial interaction as well as flow experience are powerful variables to explain audienc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