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무용에서 엑스터시(ecstasy)의 테오리아(theoria)적 미적체험에 관한 연구

        윤혜성 ( Hye-sung Yun ),박미영 ( Mi-young Park ) 대한무용학회 2019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7 No.6

        This study was attempted an aesthetical approach and discussed aesthetics that was started from Aristotle. Aesthetic experiences require aesthetic subjects and aesthetic objects. Besides, to be involved into aesthetic experiences, the Greeks believed that there's an important element which is catharsis except for sensation. That represents the fact that catharsis matches to an ecstasis of dance. Catharsis in here is a kind of form that mixes together all the remains except for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leads to an artistic approach of ecstasis of dance. Thanks to this artistic approach, the art work of dance which is an external element of aesthetic experiences can be reached, leading an aesthetic subject of a dance composer to a new world. Generally a composer is only a creator, but can't be a performer. However in ecstasis in dance, a dance composer could be a creator and performer at the same time to feel his or her creation totally. The characteristic of dance that are distinctive from other art forms can be a reason why the ecstasis experience in dance could lead to an aesthetic experience. Thus, it can be said that ecstasis in dance includes an element of aesthetic experiences and also is an aesthetic experience itself due to its artistic roles.

      • KCI등재

        초·중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스포츠 도덕행동의 인과관계

        윤혜성 ( Hye-seong Yun ),임태희 ( Tae-hee Lim ),장창용 ( Chang-yong Ja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3

        목적: 초·중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그들의 스포츠 도덕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태권도 선수 222명(남자=161, 여자=61)이었고, 측정도구는 부모양육태도척도와 스포츠 도덕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활용하여 척도의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고, AMOS 21.0을 활용하여 본 연구의 선행변인과 결과변인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애정적 양육태도 요인은 상대 반사회행동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나머지 하위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둘째, 자율적 양육태도 요인은 동료 친사회행동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동료 반사회행동 요인과 상대 반사회행동 요인에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상대 친사회행동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셋째, 적대적 양육태도 요인은 동료 반사회행동 요인과 상대 반사회행동 요인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나머지 하위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가지지 못했다. 넷째, 통제적 양육태도 요인은 동료 반사회행동 요인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나머지 하위 요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가지지 못했다. 연구 모형의 적합도는 모두 좋은 지수를 나타냈다(TLI=.918, CFI=.933, RMSEA=.058, SRMR=.059). 결론: 부모양육태도는 태권도 선수의 스포츠 도덕행동에 영향을 주는 상황적 요소임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s of perceived parents` rearing attitude on moral behavior in sport among youth Taekwondo athletes. Methods: Participants were 222 Taekwondo athletes(male=161, female=61) who enroll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Measures were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 Scale(PRAS) and the Moral Behavior Scale in Sport(MBSS).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the factor of parents` affection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antisocial behavior to the opponent, but it did not statistically related to other three sub-scales of moral behavior in sport(the prosocial behavior to the opponent, prosocial behavior and antisocial behavior to the teammate). Second, parents` hostilit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antisocial behavior to the opponent and the antisocial behavior to the teammate. Third, parents` autonom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prosocial behavior to the teammate while the factor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antisocial behavior to the opponent and the antisocial behavior to the teammate. Finally, parents` control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antisocial behavior to the teammate. Model fit indices were good(TLI=.918, CFI=.933, RMSEA=.058, SRMR=.059).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parents` rearing attitude is significant situational factor on moral behavior in sport among youth Taekwondo athletes.

      • KCI등재

        무용에서 파토스적 충동과 표현

        윤혜성 ( Yun¸ Hye-sung ),박미영 ( Park¸ Mi-yo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21 한국무용연구 Vol.39 No.1

        이 연구는 파토스와 에로스의 의미와 개념을 고찰함으로써 무용에서 관객의 감정적 변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예술가의 예술적 충동과 표현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파토스의 개념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다양한 의미로 조명되고 있으나, 아리스토텔레스는 파토스를 ‘괴로움과 즐거움’의 두 대립으로 구분하고 비극과 연관하여 관객의 감정을 불러일으켜 환기시키는 것을 중요시 했다. 반면 헤겔은 파토스를 인간의 영혼을 움직이는 보편적인 ‘힘’이라고 언급했고, 벨린스끼는 파토스를 ‘살아있는 열정’으로 보았다. 무용에서 무용수는 몸과 마음의 통합을 이루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다. 몸은 파토스이며, 마음은 에로스라고 할 수 있으며, 마음은 무용수의 춤을 통하여 느끼게 되는 에로스의 욕망이고, 몸은 예술작품 속에서 무용수와 관객이 함께 지각하는 파토스의 대상이라고 할 것이다. 우리는 예술작품에서 몸(파토스)과 마음(에로스)의 통합 될 때 비로소 예술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무용수의 몸과 마음이 관객과 일치될때 예술 표현의 완전함을 경험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무용에서의 몸은 아름다움으로 승화되기 위한 에로스의 열망이며 영혼 안에 생기는 특별한 사고는 파토스가 의미하는 열정, 예술적 충동으로서의 살아있는 감정이라 할 것이다. 무용수의 창작 활동은 파토스의 힘과 열정에서 파토스적 표현과 충동으로 인간 영혼 속에 불타오르는 에로스의 욕망이며, 순수한 정신이고, 살아있는 정신적 에너지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and concept of Pathos and Eros to examine the artist's artistic impulse and expression to elicit an emotional change of the audience in dance. Aristotle divided Pathos into two oppositions of 'pain and pleasure', and especially placed importance on arousing and arousing the emotions of the audience in connection with tragedy. The body is Pathos and the mind is Eros, and the two are in line. In other words, the mind is the instinctive desire of eros felt through the dancer's dance, and the body is the instinctive desire of Pathos that the dancer and the audience perceive together in a work of art. We can improve artistic value only when the body (pathos) and mind (eros) are integrated in a work of art, and when the body and mind of the dancer and the audience are united, we experience perfection.

      • KCI등재후보

        스포츠 도덕행동 척도 타당성 검증: 중학교 태권도 선수들을 중심으로

        장창용 ( Jang Chang-yong ),윤혜성 ( Yun Hye-seong ),배준수 ( Bae Jun-su ) 국기원 2016 국기원태권도연구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도덕행동 척도를 우리나라 중학교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대회에 참여한 중학교 태권도 선수 289명의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34명을 제외하고 남은 255명(남자=207, 여자=48)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 통계, 상관 분석, 신뢰도 분석이 이루어졌다. 스포츠 도덕행동척도는 4요인(동료친사회행동, 상대친사회 행동, 동료반사회 행동, 상대반사회 행동),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4요인의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스포츠 도덕행동 척도는 중학교 태권도 선수들에게 적용 가능한 모델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모델 적합도 지수들은 전반적으로 만족할만한 적합도를 보여주었다(Х<sup>2</sup>=426.87, SRMR=.067, CFI=.908, RMSEA=.079).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스포츠 도덕행동 척도는 한국 태권도 겨루기 종목선수들의 도덕행동을 평가하기에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한 측정도구로 규명되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lidation of moral behavior scale in sport for Taekwondo athletes enrolled in middle school of Korea. Participants were 255 athletes (male=207, female=48).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liability. Furth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if the model was fit. Measure was moral behavior scale in sport, consisting of four factors(team prosocial, opponent prosocial, team antisocial, & opponemt antisocial behavior) with 20 items. The outcome revealed that the original scale was reasonable model for Taekwondo athletes. Specifically, model fit indices were good(x2=426.87, SRMR=.067, CFI=.908, RMSEA=.079).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ral behavior scale in sport w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assess moral behavior in Taekwondo.

      • KCI등재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치마.저고리에 관한 연구

        심화진(Hwa Jin Shim),윤혜성(Hye Seong Yun) 한국복식학회 2000 服飾 Vol.50 No.2

        The major findings of basic women wear in genre painting were ; 1. Due to the influence of Shill-Hak (practical science) philosophy, Jeogori became shorter and a tighter fit came to be the norm. 2,. The shortening of the Jeogori influenced a longer Chima with a wider span providing comfort in movement or at work. The end of the skirt was often held by one hand to the waist adding to comfort. This was called the Go-dul-chima(Lifted Chima). 3. Because the Geo-dul-chima exposed a portion of one underwear at the bottom of the dress this influenced the irnamentation' of underpants and underskits. 4. Collars or lapels came in the form of Dang-ko, Kal, Mok-pan and Ban-Mokpan. Among there Dang-ko style collars were the most common which allows us to conclude that this was the most popular. 5. The most commonly used colors for Jeogori were white (39.8%) and jade(18.3%) . The most commonly used colors for CHima were deep blue(34.4%) and jade(20.4%) . The lower Chima used the darkercolors to give stability to the overall costume. 6. Clothing had the function of differentiating the classes. Only the Yang-ban were allowed to wear the Samhijang Jeogori and the Gob-Chima(double layered Chima) and the knotting of the Chima to the left. But the painting show that these rules were not adhered to in the strictest manner. With the bases of these types of chima and Jeogori can look at the characteristical beauty of the ordinary women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First is the beauty which comes from mystery of those parts of body which can not be seen. A sense of subtle and sensual beauty as well as that coming from the enlargement of reduction of the upper body, narrow waist and abundant lower body parts creating an ideal silhouette of sexual charm. An expression of emotion through clothing by those who lived during those times.

      • KCI등재

        교육복지사의 경험에서 본 교육소외계층 지원사업의 개선과제 -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정기섭 ( Chung Kiseob ),손미란 ( Son Miran ),윤혜성 ( Yun Hyes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1990년대 말 외환위기(IMF) 이후 계층 간 교육격차 해소는 한국사회의 주요한 이슈가 되었다. 이 연구는 교육소외계층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부가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교육복지정책 중 성공적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천시의 초등학교에 배치되어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육복지사 5명을 대상으로 집단면담(FGI)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교육복지사들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복지에 대한 인식, 소통의 어려움, 교육복지사업 운영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언급하였고, 이것은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3개의 상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교육소외계층 지원사업의 개선점으로 다음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교육복지사의 교육을 통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 보다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멘토링, 슈퍼비전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복지에 대한 관련 당사자들의 이해가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기관 복지담당자 간의 교육복지의 개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법 규정에 의한 지원대상의 사각지대에 있는 교육소외계층 학생 발굴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At the end of 1990s, which was the age of financial crisis, education gap among classes became a salient issue of Korean society.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examined problems and solutions of national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for marginalized class, which was evaluated as a successful project among national welfare policies. This study conducted FGI (focus group interview) of five school social workers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 who are working on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As a result, the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welfare priority project positively. In spite of this positive evaluation, there were three problems such as `awareness of educational welfare`,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of educational welfare project`. To solve the problems, solutions can be suggested. First, standard curriculum for educating educational worker and mentoring and supervision for developing them are needed. Second, they need to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welfare and develop their competency.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cept of educational welfare among teachers, parents and social workers. Fourth, welfare system has to focus on educationally alienated class in the blind spot and develop personal competencies of school social worker.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태권도 경기 종목에 따른 대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귀인 탐색

        장창용 ( Jang Chang-yong ),임태희 ( Lim Tae-hee ),윤혜성 ( Yun Hye-seong ) 국기원 2017 국기원태권도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경기 종목에 따른 태권도 선수들의 귀인 유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태권도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총 63명(겨루기 39명, 품새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는 연구 참여자들이 태권도 경기에서의 승리와 패배 경험에 대하여 개방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수집된 원자료는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6개의 하위 요인으로 범주화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겨루기 종목과 품새 종목 집단의 귀인유형 성공요소 탐색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노력, 운, 컨디션 순으로 동일하게 높은 빈도를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귀인유형 실패요소 탐색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노력부족, 컨디션 난조 순으로 동일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셋째, 성공과 실패 귀인요소를 인과성-안정성 요인에 따라 범주화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내적-불안정 요인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반면 품새 선수들은 외적-안정성 요인인 상대의 실력 요소에서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냈고, 겨루기 선수들은 내적-안정 요인인 자신의 실력, 신체조건 요소에서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냈다. 넷째, 통제성에 대한 빈도 분석 결과, 두 종목 선수들은 통제불가능 요소보다는 통제가능한 요소들을 성공과 실패의 귀인요소로 더 두드러지게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ttributional trait of Taekwondo athletes by two competition types of Taekwondo. Participants were 63 collegiate Taekwondo athletes(39 in Kyorugi and 24 in Poomsae). Data were collected using opened questionnaire based on winning and losing experience in Taekwondo competition. Collected raw data were classified into six sub-scale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frequency analysis, both Kyorugi and Poomsae group revealed the same attributional types on success; effort, luck, and condition in order. Second, both Kyorugi and Poomsae group showed the same attributional types on failure; lack of effort and condition in order. Third, based on the causality-stability factor of attribution theory, internal-unstable factors were the most prominent on both success and failure. External-stable factors were the lowest frequency in Poomsae group while internal-stable factors were the lowest frequency in Kyorugi group. Finally, the frequency of control factor under controllability was much more remarkable than that of out of control factor in both groups.

      • KCI등재

        Rest의 도덕행동모형을 적용한 태권도인성 교육

        장창용 ( Jang Chang-yong ),임태희 ( Lim Tae-hee ),배준수 ( Bae Jun-su ),윤혜성 ( Yun Hye-seong ) 국기원 2017 국기원태권도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인성 교육을 위해 Rest의 도덕행동모형의 적용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태권도인성 관련 선행연구와 Rest의 도덕행동모형 고찰을 통해서 태권도인성 교육을 위한 도덕행동모형의 적용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지도자의 관점에서 올바른 인성교육 실천 전략을 도덕행동모형에 적용하였다. 둘째, 수련생의 관점에서 태권도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수련생들의 다양한 행동을 도덕행동모형에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Rest의 도덕행동모형은 태권도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촉진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뿐만 아니라 방향 제시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나아가 태권도 현장에서 Rest의 도덕행동모형의 당위성과 적용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The study was to explore Rest`s model of moral action for Taekwondo character education. The study was composed of three sections; literature reviews on research related to Taekwondo character and on Rest`s model of moral action, and implications of Rest`s model for Taekwondo character education. Specifically, character education strategies were presented based on Rest`s model from masters` and children`s point of view, respectively. In conclusion, Rest`s model of moral action appeared to be a theoretical guideline to foster Taekwondo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Further, the justification and applications of Rest`s model of moral action in Taekwondo setting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