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파괴 성분 분석을 통한 은제금도금 유물 연구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발견 <금강경판(金剛經板)>을 중심으로

        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0 동원학술논문집 Vol.11 No.-

        도금기법은 표면장식기법 중 가장 이른 시기부터 널리 사용되었고, 삼국시대 불상이나 이식 등에서 많은 예를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청동소지 위에 금을 도금하는 경우가 가장 많고 청동에 금도금하는 기법은 현재까지 연구된 금속공예기법들 중에서 가장 많은 과학적인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은에 금도금한 유물(금은제)에 대한 연구 성과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금동제 유물의 수량이 월등히 많은 이유도 있겠지만 또 다른 원인으로는 금은제 유물을 금제 유물로 종종 오인했기 때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같이 금은제를 금제로 오인한 대표적인 유물은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에서 발견된 <금강경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에서 발견된 <금강경판>에 대한 비파괴 성분분석을 통하여 지금까지 금제로 알려진 바와는 다르게 은제금도금 유물이라는 결과를 도출하게 된 과정을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또한 필자가 확인한 은제금도금 유물의 분석 결과와 기 발표된 문헌자료에서 은제금도금 유물의 가능성을 보이는 자료들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우리나라 은제금도금 유물에 대한 시대 및 용도 등에 대한 내력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금속공예기법 중 은제금도금 기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This study describes in detail how the sutra plaque which was thought to be gold, turns out to be gilt-silver through non-destructive material identification. The sutra plaque constitutes a double layer structure, which is a common feature of gilt-silver objects. It thus enables conservators to analyze the specific materials of the relics through non-destructive analysis. By combining data analysis of gilt-silver relics and records showing possible gilt-silver relic produ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is technique began to be used in Korea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continued throughout the Unified Silla, Goryeo and Joseon period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partial gilding seemed to have been used for aesthetic effects. By the Unified Silla period gilt-silver relics became more diverse and the technique, evident in the animal and plant designs on sarira reliquary and Pyeongtal mirrors, was used for decorative reasons. In the Goryeo period, together with inlay and repoussé craft, gilt-silver techniques gained popularity, as seen on sarira reliquary and daily products. In the Joseon period it appears that partial gilding on the ornaments such as rings and hairpins was popular. Although small in quantity, the technique also applied to the Buddhist artworks, such as gilt-silver Buddhist statu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비파괴 자외-가시 및 형광 분광 분석법을 이용한 황색계 전통염료 분석

        유혜선,윤은영,김유란 국립중앙박물관 2010 박물관보존과학 Vol.11 No.-

        본고는 우리나라 황색계 염재인 울금, 황벽, 황련, 치자, 괴화로 염색한 직물편에 대한 비파괴 자외-가시광 분광 분석 및 3차원 형광 분광 분석 내용이다. 직물이나 매염제 종류에 따라서 각 염재의 분석결과에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직물 2종류(견과 면)와 매염방법 3가지(무매염, 백반, 철)로 염색한 직물시편을 제작하였다. 이 염색 직물편에 대한 자외-가시 분광반사 스펙트럼 측정 결과, 울금, 황벽, 황련으로 염색한 경우 직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무매염과 백반매염한 시편의 결과가 유사한 반면 철매염한 시편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치자로 염색한 경우 직물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였으나 매염제에는 영향을 받지않았다. 반면에 괴화로 염색한 경우 직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매염제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3차원 형광 스펙트럼 측정 결과 울금, 황벽, 황련으로 염색한 직물편은 직물과 매염제에 관계없이 고유한 형광 스펙트럼으로 나타났으나 치자의 경우 직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인 반면 괴화의 경우는 직물의 종류에는 관계가 없었으나 매염제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This is the analysis of material dyed with Korean yellow dyes such as tumeric, amur cork tree, goldthread, gardenia, and the flowers of sophora japonica using nondestructive ultraviolet-visible and fluorescence spectrophotometry.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ype of fabric or mordant influences analysis results, test fabrics were made using two types of fabric(silk and cotton) and dyed using three different mordants(no mordant, alum, iron). After analysis with UV-Vis reflectance spectrum on the dyed fabric, when the fabric was dyed with tumeric, amur cork tree and goldthread, the results were similar with no mordant and alum mordant, whereas there was a difference with an iron mordant. Also when the fabric was dyed using gardenia, different fabrics brought different resul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ults with mordants. On the other hand, when the fabric was dyed using the flowers of sophora japonica, there was no difference with fabrics but with mordants. After analysis with 3D-fluorescence spectrum, fabrics dyed with tumeric, amur cork tree and goldthread showed their own fluorescent spectrum with no regard to fabric and mordant; but with gardenia, there were differences with different fabrics whereas with the flowers of sophora japonica, there were differences with mordants.

      • KCI등재후보

        법천리출토 생선뼈에 대한 잔존지방산 분석(2)

        유혜선,정영주 국립중앙박물관 2000 박물관보존과학 Vol.2 No.-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residual fatty acid of the unidentified 26 fish bone samples which were excavated from Bupchon-ri in Wonju, Kangwon provi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ish kind by comparing the residual fatty acid analysis with the reference data of croaker, shark, herring and weakfish. Fatty acid was separated by gas chromatography and distribution pattern was analyzed by calculating composition of each sampl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one of multivariat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understand fatty acid distribution data. 江原道 原州市 富論面 法泉里古境(4號境)에서 출토된 생선뼈 중 종류를 확인 할 수 없었던 생선뼈 26점에 대한 잔존지방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앞서 분류한 4종류의 생선(조기, 상어, 준치, 민어)뼈에 대한 잔존 지방산 분석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어류종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가스크로마토그라피(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지방산을 분리하였고, 각각의 含量을 계산하여 시료별 지방산 분포패턴을 확인하였다. 지방산분포 데이터의 해석을 위해서 多變數分類法 중 주성분분석법을 이용하였다.

      • KCI등재후보

        고고자료의 잔존지방분석을 위한 현생시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1)

        유혜선,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2003 박물관보존과학 Vol.4 No.-

        고고 자료의 생물학적 원천을 파악하여 고대 사람들의 생활양식 등에 관한 정보를 알아내기 위하여 잔존지방분석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현생생물의 잔존지방분석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생시료인 소와 개의 일부를 채취하여 잔존지방분석을 실시하여 추후 수행될 고고 자료 분석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The residual lipid analysis has been used for finding ou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fe style of ancient peopl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t must be precedented by building a database of residual lipid analysis of the present creatures. In this study, we performed residual lipid analysis of a cow and a dog, which were the present samples. We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primary reference for the future analysis of archaeological materials.

      • KCI등재후보

        안압지 금동판불의 과학적 분석

        유혜선,박학수,신용비 국립중앙박물관 2007 박물관보존과학 Vol.8 No.-

        경주 안압지에서 출토된 10점의 금동제 판불에 대한 과학적 분석 결과이다. 우선 X-선 형광분석(XRF)기를 이용하여 판불의 성분을 확인하였고, X-선회절분석기(XRD)를 사용하여 판불 표면을 덮고 있는 부식물의 종류를 규명하였다. 그리고 실체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EM/EDS)을 이용하여 판불의 미세부분 및 도금 층 조사를 수행하였고, 판불의 내부 상태 조사를 위하여 X-선 투과 촬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안압지 판불의 재질은 구리(86~95%)와 주석(4~12%)이 주성분인 Cu-Sn 이원계 청동합금제이며, 금이 도금된 금동제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금동판불의 붉은색 부식물은 산화구리(cuprite, Cu₂O), 검은색 부식물에서는 황화구리(chalcocite, Cu₂S)가 검출되었다. 현미경을 통한 미세 구조 관찰 결과 밀랍주조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도금층의 두께가 불균일하며, 바탕의 패인 부분을 메운 것으로 보아 아말감도금 기법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수은이 검출되지 않은 점은 의문으로 남는다. 마지막으로 X-선 투과 조사로 주조과정에서 발생한 기공으로 추정되는 작은 원형의 반점들이 존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This is about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 10 items of the gilt-bronze Panbul excavated from Anapji, Gyeongju. First, the composition of the Panbul was confirmed, using X-ray fluorescence spectrometer (XRF), and the patinas covering the surface of the Panbul were analyzed, using X-ray diffractometer (XRD). And the micro structures and gilt layer of the Panbul were investigated, using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ith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SEM/EDS), 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ternal conditions of the Panbul, X-radiography was conducted. As the result, it is found out that the material of the Panbul excavated from Anapji was the bronze of copper (86~95%) and tin (4~12%), and coated with gold. And cuprite (Cu₂O) was detected from red patina of the gilt-bronze Panbul, and chalcocite(Cu₂S) also was detected from the black patina. As the result of the observation of the micro structure through microscope, it is estimated that it was manufactured, using the wax molding method, and,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thickness of gilt layer was not even, and that the groove had been filled, it was presumed that the amalgam coating method had been used, but some questions still remain, because mercury was not detected. Lastly, through the X-radiography, it was observed that the tiny round spots existed, which was presumed to have been generated during the casting.

      • KCI등재

        몽골 도르릭나르스 흉노 무덤 2~4호분 출토 청동 및 금제 유물 분석

        유혜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2 보존과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몽골 도르릭나르스 유적 2호, 3호 및 4호분에서 출토된 청동제 및 금제 유물에 대한 과학적 분석 결과로부터 각 유적 출토품의 특징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몽골의 흉노무덤인 도르릭나르스 유적 2호, 3호 및 4호분은 비교적 소형이고, 도굴 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유물이 다양하게 출토되었다. 특히 출토 유물에는 중국계 유물과 북방계 유물이 공존하고 있어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먼저 청동 용기류의 경우 중국제인 한경이나 일산살꼭지의 성분 조성과는 달리 주석에 비하여 납의 함유량이 높은 특징을 보였는데, 특히 2호의 청동쟁반, 청동등잔 그리고 4호의 청동솥의 경우는 주석이 1wt% 정도로 적게 함유되어 있어 Cu-Pb의 2원계 합금 조성을 보였다. 금제품의 경우는 2호분 장식품의 제작에 비교적 높은 순도의 금이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금제 누금 장식의 금 알갱이의 접합에는 금과 구리를 합금한 금땜이 사용되었거나 확산접합(말라카이트나 산화구리 화합물 가루를 사용함)에 의하여 접합했을 가능성이 높았다. 향후 몽골지역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흉노 무덤 출토품에 대한 과학적 조사 및 분석이 더 많이 진행된다면 흉노 문화에 대한 더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 KCI등재후보

        신석기시대 주칠토기의 과학적 분석(2)

        유혜선,장성윤 국립중앙박물관 2000 박물관보존과학 Vol.2 No.-

        본 연구는 동남해안 및 도서지방의 신석기시대 주칠토기 23점에 대한 과학적 분석의 일환으로서 먼저 태토성분, 소성온도, 안료성분 및 안료두께를 분석한 데에 이어 태토성분에 대한 통계적인 고찰 및 경도분석을 통한 안료성분의 역할을 보강하여 재정리한 것이다. 유도결합플라즈마분광기(ICP-AES)와 엑스선형광분석기(XRF)를 사용하여 태토의 성분분석을 실시하였고, 이 분석결과에 대한 다변량해석(PCA : 주성분분석법)을 수행한 결과, 토기의 태토는 범방, 욕지도, 나머지 지역의 3개 군으로 분류되었다. 또 태토와 안료의 경도를 토기 표면으로부터 깊이별로 측정한 결과, 산화철이 다량 포함된 안료층의 경도가 태토층보다 높았고 이를 통해 산화철이 고온소성시 경도를 크게 하는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안료층의 경도가 태토층 보다 높은 것은 안료층도 소성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토기성형시 안료를 먼저 바른 후 토기가 구워졌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a part of scientific analysis of the 23 Neolithic red earthenwares excavated from southeastern coast and islands. We analyzed earthenware through statistical method and hardness analysis of clay, following the analysis of clay composition, its firing temperature, pigment composition and its thickness. Clay composition was analyzed by using ICP-AES and XRF, and the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ne of multivariate methods) was used for classification. As a result, clay of the earthenware was classified into 3 groups(Bumbang, Youkjido and other sites). In addition, hardness analysis of pigment and clay based on the depth of earthenware surface showed that pigment layer containing lots of Fe₂O₃ had higher hardness than clay part,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Fe₂O₃ contributes to raising hardness in case of high temperature firing. The fact that pigment hardness is higher than that of clay part implies that pigment was applied before fi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