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례 : 신장 ; Icodextrin과 포비돈액 반응으로 진단한 복막 투석액의 흉강 누출 1예

        유현승 ( Hyun Sung Yoo ),남현경 ( Hyun Kyung Nam ),안원석 ( Won Seok An ),김성은 ( Seung Eun Kim ),김기현 ( Ki Hyun Kim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6

        복막투석액의 흉강 누출은 복막투석 환자에서 그다지 흔하지 않은 비감염성 합병증이다. 보통 조영제를 사용하는 복강 전산화단층촬영으로 비교적 쉽게 진단할 수 있다. 저자들은 조영제 사용 복강 전산화단층촬영으로 진단할 수 없었던 복막투석액의 흉강 누출을 icodextrin과 포비돈액의 화학적 변색 반응으로 진단하여 화학적 흉막 유착술로 치료한 경험1예를 보고한다. 본 증례를 통해 복강 전산화단층활영 등의 방사선 검사에서 음성 소견이라도 복막투석 환자의 흉강 누출 가능성을 배제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흉강누출이 의심되나 방사선 검사에서 증거를 찾기 어려운 경우 icodextrin과 포비돈액의 화학적 변색 반응을 이용한 진단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Hydrothorax occurs as a complication of peritoneal dialysis in about 2% of cases. When a pleural effusion occurs, the effusion should be analyzed as part of the differential diagnosis. A hydrothorax due to peritoneal dialysate leakage can be suspected based on higher glucose and lower protein content compared with serum. Computed tomography (CT) peritoneography, peritoneal scinti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peritoneography are safe, accurate, and reliable methods for diagnosing hydrothorax. Here, we report a case of hydrothorax associated with dialysate leakage that could not be confirmed using standard CT peritoneography. We confirmed the leakage by observing the change in color to black in a test that involved adding povidone-iodine to the pleural fluid obtained by thoracentesis after a cycle of peritoneal dialysis with icodextrin solution. We propose using the icodextrin-povidone reaction as a test for hydrothorax caused by dialysate leakage. (Korean J Med 77:775-779, 2009)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무 블록의 마찰에너지 해석

        유현승(Hyun-Seung Yoo),김두만(Doo-man Kim),이상주(Sang-ju Lee),고범진(Bum-jin Ko) 한국항공우주학회 2007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5 No.7

        고무 블록의 마찰에너지에 관한 연구는 고무 마모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이자 마찰과 마모의 관계를 규정짓는 중요한 연구이며, 지금까지의 마모 이론은 대부분 마찰에너지에 근거하여 전개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I 대부분이 실험이나 유한요소 해석에 기초한 연구이며, 해석적 방법에 의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방법을 이용하여 재료 물성, 블록의 형상, 수직 및 전단하중, 블록 이동 속도의 함수로 표현되는 마찰에너지를 해석적으로 구하고 그 결과를 시험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마모 특성 해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The analysis of the frictional energy of the rubber block with contact to the surface is necessary to study the wear for rubber. It is important to define the relationship of the frictional energy and wear, as the most theory of the wear of rubber product is based on the frictional energy of rubber block. To predict the life of the rubber block, the most of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the use of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r the actual experiments which need the many time and expensive costs. Therefore, this research is achieved the successful results of the analysis to the frictional energy by analytic method. This frictional energy is function of the material properties, the shape of block, the vertical and horizontal load and the block moving speed. The analytic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test results of this paper which can b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friction behavior for the wear estimation of the rubber products.

      • KCI등재

        골관절염 환자의 연골조직에서 TRAIL과 그 수용체 발현에 관한 연구

        이상엽 ( Sang Yeob Lee ),구정모 ( Jeong Mo Koo ),유현승 ( Hyun Seung Yoo ),김영훈 ( Young Hoon Kim ),김자원 ( Ja Won Kim ),이재훈 ( Jae Hoon Lee ),홍현종 ( Hyun Jong Hong ),김혜인 ( Hye In Kim ),박수경 ( Su Kyung Park ),이성원 ( S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3

        목적: 연골세포의 자멸은 골관절염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자멸을 유도하는 다양한 인자들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 TRAIL은 연골세포의 자멸을 유도하여 골관절염의 병인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골관절염 환자의 연골조직에서 TRAIL 발현 여부를 관찰하고 골관절염의 병인으로서 TRAIL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2월부터 2006년 2월까지 본원을 방문하여 무릎 관절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은 골관절염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인공관절치환술 후 제거되는 환자의 무릎 관절 부분을 수합하여 4% PFA에 24시간 처리하여 고정한 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술 받은 환자 25명 중 20명에게서 수술직전, 관절액을 미리 채취한 뒤 변성을 막기 위하여 즉시 -70℃에 보관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또한 골관절염의 병력이 없었던 7명의 부검 예에서 관절액을 채취하여 실험의 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 추출된 표본은 면역조직화학 검사와 면역형광 염색, 그리고 ELISA 법을 이용하여 TRAIL의 발현 정도와 활성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골관절염 환자 25명 전원의 관절연골에서 TRAIL과 그 사멸 수용체가 발현되었다. 사멸 수용체 중 DR4와 DR5가 발현되는 위치가 모두 TRAIL이 발현되는 위치와 동일하여 이들 사멸 수용체의 발현과 TRAIL의 발현이 연골세포의 자멸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골관절염 환자 20명 중 4명의 관절액에서 TRAIL의 발현이 확인되었으며 환자군에서 발현양은 약 80~120 ㎍/ppm 사이였고, 대조군에서는 TRAIL 발현이 0~2 ㎍/ppm으로 골관절염 환자의 관절액에서 TRAIL 발현양이 높았다. 결론: 골관절염 환자의 연골조직에서 TRAIL과 TRAIL 수용체가 발현되며 이는 최근 골관절염의 주된 병인으로 생각되고 있는 연골세포의 자멸을 유도하는 중요한 인자로서 생각된다. 향후 골관절염 환자에서 TRAIL 발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TRAIL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The apoptosis of chondrocytes is assumed to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osteoarthritis (OA), and the TNF related apoptosis inducing ligand (TRAIL) is thought to have a pivotal role in the apoptosis of chondrocytes.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TRAIL and its receptors in human osteoarthritic cartilages. Methods: Human OA cartilage tissues were obtained from the medial side of the cartilage in the knee joints of 25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y, and the normal human cartilages of the knee joint were obtained at autopsy from seven young adults who had no history of joint diseases. The expressions of TRAIL and the death receptor were analyzed by immunohistochemistry or immunofluorscent staining. The concentration of TRAIL in the synovial fluid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ults: TRAIL and its receptors were expressed in the OA cartilage, but not in the normal cartilage. TUNEL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TRAIL on the serial sections showed that most TRAIL positive cells were TUNEL positive. The OA joint fluid contained concentrations of TRAIL that were readily detectable (80 and 120 ㎍/ppm in the synovial fluid of each, respectively). However, the synovial fluid of the knee joint obtained at autopsy from the seven young adults contained low concentrations of detectable TRAIL (0~2 ㎍/ppm). Conclusions: Thes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TRAIL and its receptors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human OA. A better understanding of TRAIL-induced apoptosis in chondrocytes might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therapeutic strategy for OA.

      • KCI등재후보

        증례 : 신장 ;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에서 발생한 급성 신부전증

        남현경 ( Hyun Kyung Nam ),유현승 ( Hyun Seung Yoo ),안원석 ( Won Suk An ),김성은 ( Seong Eun Kim ),김성현 ( Sung Hyun Kim ),나서희 ( Seo Hee Rha ),윤성국 ( Seong Kuk Yoon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7 No.5S

        저자들은 PNH 진단 후 2년간 경구 스테로이드로 조절하던 중 상기도 감염과 동시에 용혈 발작과 단백뇨를 동반한 급성 신부전이 발생, 신생검과 신장 자기공명촬영을 통해 혈철소 침착을 확인하였으나 다른 만성적 신손상 소견 없이 급성 세뇨관 괴사 소견만을 보였던 환자에서 급성 신부전회복 후 골수 이식을 시행하여 치료하고 신기능을 정상으로 유지하였던 경험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PNH) is an acquired chronic hemolytic anemia characterized by persistent intravascular hemolysis. The kidneys are subject to acute failure or chronic injury in association with ischemia, intravascular hemolysis, and he-mosiderin deposition; however the pathogenesis of renal failure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In Korea, there has been 1 case of acute renal failure with PNH demonstrated by MRI and a kidney biopsy. A 39-year-old female patient with PNH who received low dose oral prednisolone for 2 years developed oliguric acute renal failure after 2 days of fever and sore throat. The serum LDH level was elevated, and indirect bilirubinemia was noted. A renal biopsy showed features of acute tubular necrosis and hemosiderosis.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characteristic features of renal hemosiderosis. There was no evidence of either renal vein thrombosis or cortical infarct. Her renal function became stabilized with hemodialysis and intravenous fluid, and she recovered 4 weeks later. (Korean J Med 77:S1231-S1236, 2009)

      • KCI등재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의 특별한 합병증 1예보고 칼날의 고관절 내로의 관통

        장세앙 ( Se Ang Jang ),조영호 ( Young Ho Cho ),변영수 ( Young Soo Byun ),조훈식 ( Hun Sik Cho ),최성 ( Sung Choi ),유현승 ( Hyun Seong Yoo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4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은 근위 대퇴골의 전자부 골절 시 고정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구이다. 저자들은 골절부의 내반 혹은 회전 불안정성이 없이 나선형 칼날이 대퇴골 두를 통하여 고관절 내로 관통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The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PFNA) is a useful device to fix 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proximal femur. We report a case of postoperative penetration of the helical blade through the femoral head into the hip joint without any sign of rotational or varus instability in the fra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