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 木山藁 解題

        柳在永 전북대사학회 1990 전북사학 Vol.13 No.-

        이기경은 자 백심 호 목산(집이 전주 오목대 아래에 있었기 때문에 오목대에서 따 목산이라 함) 관향은 전의, 공릉 참봉 양재 익열의 장자로 숙종39년 정월 외가가 있던 나주 도림촌(뒤에 광산군 삼도면 도덕리로 되었다가 지금은 광주 직할시로 편입됨)에서 출생했다. 비목이 청수하고 용모 단정하였으며 총명이 비범하여 5세때부터 글을 가르쳤고 뒤에 도암 리체의문하에서 배웠으며 생진과를 거쳐 문과에 을라 내외 요직을 두루 거쳤고 동지사 서상관으로 연경에 갔다 왔으며 만년 영조가 세상을 떠나고 정조가 즉위하니 사한세자 대처분에 관련된 벽파에-가까운 인물이라 하여 함경도 지역에 류배되었다가 정조 11년 12월 독지에서 세상을 떠났다.

      • 「白蓮花」에 對한 揷疑

        柳在泳 圓光大學校 文理科大學 國語國文學科 1976 國語 國文學 硏究 Vol.3 No.-

        송강가사의 대부분이 그러하지만 특히 여기 언급한 관동별곡이 관동의 풍경을 설진했을 뿐 아니라 그 가운데 항상 우시연군하는 심정이 충일되어 있다. 노공의 월충시도 단순한 월식광경을 그린것이 아니고 월식에 대한 전설적인 이야기에다가 고은과 왕룡을 입은 무리들이 결국 나라일을 그르치게 됨을 곁들여 풍자한 우시우국의 그런 면에서 서로 상통하는 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차옥천자송고죽지운」도 간접적이나마 노공의 「소택이삼자증답시」와 유관된 것으로 보아지는 것이다. 끝으로 여기에 사족처럼 하나 더 지적해 두겠다.

      • 全羅 山川 風物 : 稼亭集을 中心으로

        柳在泳 圓光大學校 鄕土文化硏究所 1978 鄕土文化硏究 Vol.1 No.-

        가정집은 여말의 대문호 목은 이색의 부친 곡의 시문집(십이권)이다. 곡의 초명은 운, 자는 중부, 호는 가정으로 한산군리 자성의 아들로 1298년(충렬왕 24년)에 태어나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근면 독서하여 1317년(충숙왕 4년) 거자과에 합격하여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고, 1320년 가을 수재과에 합격화하여 복주(지금 안동) 사록참군이 되었고, 1326년엔 원의 정동행성에서 시행하는 향시에 합격하고 다음해 전시에도 제이갑으로 선발되어 원조의 한림국사원의 검열관으로 임명되니 그의 영예 당시로서는 비할 수 없을 만큼 희한했던 것이다. 그 뒤 본국 고려와 원의 화려한 관직을 번갈아 가면서 역임하다가 1351년(충정왕 3년) 5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그가 활동하던 시기는 충숙, 충혜, 충목, 충정왕 시기로 충숙, 충혜의 중조기를 가산해 본다면 정치적으로 안정을 잃은 시기로 여원간의 복잡한 정치, 외교사정을 알 수 있거니와 그의 시문집을 보면 여원의 귀척, 문인, 승려들과의 교분을 알 수 있고, 정치, 문화, 사회의 상호관계를 살피는데도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 地名 表記와 그 變遷의 한 考察

        柳在泳 圓光漢文學會 1991 圓光漢文學 Vol.4 No.-

        문헌에 나타난 지명 표기를 살펴 보면 원래 순수 국어지명을 우리가 문자가 없어 이웃 중국의 문자인 한자를 차용하여 표기하는 과정에서 같은 이름이라도 여러 가지로 달리 표기하였으니, 신라를 제아대, 제라대, 사라, 사로 등으로 표기한 그 일례라 하겠다. <삼국사기> 지리지를 보면 신라 경덕왕 십육년 행정구역을 개편하고 고을이름도 바꾸었는데 여기에서 보면 본래 신라 고구려 백제의 순수 국어지명이 이 때에 많이 한자어 지명으로 바꾸어졌음을 본다. 다시 말하면 경덕왕 십육년 이전의 지명은 우리 순수 국어지명을 한자의 음, 훈을 차용하여 표기한 것이고 그 이후는 한자어화한 지명이라 보아야 한다.

      • 杯山의 名稱에 對한 考察

        柳在泳 圓光大學校 文理科大學 國語國文學科 1974 國語 國文學 硏究 Vol.1 No.-

        充分한 例證的 資料없이 漢字化한 地名을 還하여 純粹國語의 本來의 모습을 살펴보며 語 源을 파헤쳐 보는 作業은 主觀的인 獲斷에 빠질 憂感가 많다. 國語地名이 漢字化하는데는 그 表現意鬪를 잘 把壤하여 處理하여야지 그렇지 않으면 큰 過誇를 犯하기 마련이다. 益山郡誌에 나타난 杯山의 異名中 「栢山」 ,「尺山」 沃域山」 「杯山」이 우리 國語로는 같은 山名인데 그 表記意圖를 모르고 借用表記文字에 拘礙되어 그럴듯한 緣越名構으로 山名을 定義한 것이 바로 그 좋은 例다. 이러한 式으로 보면 「評(于)樂嶽」 「禹靂臺」도 같은 말의 異記로 보아지며 「聯詠山 (連珠山」도 그러하다. 山名에 二ㆍ三種의 異名은 있을 수 있다. 예전부터 그리 큰 名山으로 알려지지 않은 杯山의 異名이 7∼8種으로 헤아려진다는 것은 不合理하다. 「杯山」은 派野脚鐵이 있었기 때문에 「잣뫼」로 불리웠고 奇岩이 上層部를 構成했기 때문에「우락(우렁)바우 (대)」로도 불리웠으며 東西兩峰이 구슬을 꿰어 놓은 듯 多情한 兄弟처럼 되었기에 「聯珠山 (連珠山)」이란 名稱이 훨씬 後代에 붙게 되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설계과정(Design Process)을 통한 중학생의 문제해결 사례 연구

        유재영,최준섭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4

        이 연구는 학생들이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을 진행할 때 설계과정의 상위영역과 하위영역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이 학생들의 학습 신장에 도움이 되는가를 확인한 현장사례 연구이다. 사례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문서자료(학습활동지, 서술형 설문지, 작품 및 작품사진자료, 학생활동사진자료, 설계과정자료[스케치, 구상도, 부품도])를 살펴보았고, 질적조사(qualitative research) 방법 중에 하나인 문서자료를 의존함으써 발생할 수 있는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학생들과 면담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 값은 아래와 같다. 첫째, JH, SD팀의 학생들의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을 미시적으로 살펴본 결과 설계과정의 상위영역인 브레인스토밍, 스케치, 구상도, 부품도와 설계과정의 하위영역인 제작(실험, 관찰, 측정)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생들은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을 하기 위해 단순한 시행착오를 넘어 학습에 꼭 필요한 경험과 사고를 수반한다. 따라서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은 학습 신장에 도움이 되며 특히, 기술과 과학, 기술적 지식과 과학적 지식 습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투석기 과제는 기술과 과학, 기술적 지식과 과학적 지식의 학습신장에 도움을 주는 유용한 학습도구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field case study of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 in the course of design in order to identif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pstream and the downstream of the design process and its impact on students’ learning. The study reviewed documents prepared by students, such as activity worksheets, essay-type survey papers, works and their photos, student activity photos and other design data (sketches, conceptual drawings, part drawings), while conducting interviews with students to supplement its dependence on document review,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JH team and SD team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was thoroughly reviewed,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upstream of design process including brainstorming, sketching, conceptual drawing and part drawing and the downstream of the design process, which covers a manufacturing stage including experiment, observation and measurement, had an influence on each other. Second, in the study, the students received a task to build a catapult that meets the suggested conditions through problem-solving during the design phase. Such a problem-solving task encourages students not only to learn by trial and error but also to mobilize necessary experiences and thoughts. It was found in the study that the problem-solving activities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helped improve students’ learning and particularly affected their acquisition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knowledge. Also, the catapult task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education tool to help students learn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knowledge as well as science and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