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선형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자아효능감과 행복에 관한 종단연구

        원효헌 ( Hyoheon Won ),장재혁 ( Jaehyuck Jang ),서원석 ( Wonsuk Suh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시기부터 대학생시기까지 자아효능감과 행복의 변화 궤적을 살펴보고 종단적 관련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한국교육고용패널Ⅱ(KEEPⅡ)의 1차년도부터 4차년도까지 7,307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내용: 도출된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자아효능감은 무변화, 선형변화, 비선형변화를 가정한 모형 중 비선형변화를 가정한 모형이 자아효능감의 변화궤적을 가장 적합하게 설명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행복은 무변화, 선형변화, 비선형변화를 가정한 모형 중 비선형변화를 가정한 모형이 행복의 변화궤적을 적절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고2시기의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고2시기 행복과 비선형변화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효능감의 선형변화는 행복의 선형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도출한 연구결과를 근간으로 본 연구는 자아효능감이 행복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를 규명하는데 의의가 있었으며, 시기별로 자아효능감의 양상을 파악해 대학생의 행복증진을 위한 정책적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self-efficacy and happiness from high school to college and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7,307 university’s students from the 1st to 4th years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Ⅱ (KEEPⅡ) were us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among the models that assumed the self-efficacy of university's students explained the change trajectory of self-efficacy most appropriately in the model assuming non-linear change. Second, among the models that assumed non-linear change properly explained the change trajectory of happiness for college students. Third, the higher the self-efficacy in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the more significan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and non-linear changes in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The linear change in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inear change of happine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examining the longitudinal effects of self-efficacy on happiness,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come a basic policy data for improving the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by identifying the aspects of self-efficacy.

      • KCI등재

        성취평가제의 대학입학전형 활용 실제 탐색 : 학생부교과전형을 중심으로

        신윤범(Yunbeom Shin),원효헌(Hyoheon W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3

        본 연구는 2022학년도 대입전형의 진로선택과목을 시작으로 향후 모든 선택과목에 전면 시행되는 성취평가제를 대학입학전형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대학의 설립유형, 모집정원, 권역을 기준으로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73개 대학의 2022학년도 수시모집요강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성취평가제 반영요소 활용의 경우 성취도 70개 대학(95.9%), 이수단위 29개 대학(39.7%), 분포비율 5개 대학(6.8%), 원점수 4개 대학(5.5%), 과목평균 2개 대학(2.7%), 수강자 수 2개 대학(2.7%)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취평가제 반영방법은 ‘성취도 환산 후 일반화’ 37개 대학(50.7%), ‘성취도 환산 후 가산점’ 21개 대학(28.8%), ‘성취도 환산 후 가중치’ 4개 대학(5.5%)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포비율’ 3개(4.1%), ‘기타’ 3개(4.1%), ‘원점수(2.7%)’, ‘정성평가(2.7%)’ 각각 2개 대학, ‘단위수(1.4%)’ 1개 대학도 조사되었다. 대표적인 권역별 특징으로는 수도권 대학이 비수도권에 비해 다양한 반영요소 및 반영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드러나 서로 양분되는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trend of establishment type, recruitment quota, and region on how to use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which will be fully implemented in all future elective courses, starting with the 2022 university admission course. To this end, 73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analyzed occasional recruitment guidelines for the 2022 school year, followed by 70 “achievement” (95.9%), 29 “unit numbers” (39.7%), 5 “distribution ratios” (6.8%), 4 “original scores” (5.5%), 2 “subject averages” (2.7%) and 2 “the number of students” (2.7%). In the case of the method of reflecting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37 generalizations (50.7%) after achievement conversion, 21 additional points after achievement conversion (28.8%), and 4 weights after achievement conversion (5.5%). In addition, 3 “distribution ratios” (4.1%), 3 “others” (4.1%), 2 “original scores” (2.7%), 2 “qualitative evaluations” (2.7%), and 1 “unit number” (1.4%) were also surveyed. As a representative feature of each region,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found to use various reflective elements and reflective methods compared to non-metropolitan areas, showing a tendency to be divided into two.

      • KCI등재

        고교학점제 관련 학교 요인이 핵심역량 분류에 미치는 영향: 일반고 -직업계고 비교를 중심으로

        신윤범(Yunbeom Shin),원효헌(Hyoheon W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24 교육평가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을 앞둔 시점에서 관련 학교 요인이 학생들의 핵심역량 분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일반고와 직업계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핵심역량에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한 결과 일반고와 직업계고 모두에서 ‘핵심역량 최상위’, ‘핵심역량 상위’, ‘핵심역량 중위’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해당 프로파일별 4가지의 하위 역량들의 수준이 모두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 요인이 핵심역량 프로파일 구분에 미치는 영향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핵심역량 중위집단을 준거로 일반고와 직업계고 모두에서 상위 집단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관측된 변수는 ‘선택과목 진로 연관성’, ‘수업방식(상호작용)’, ‘학생의견 반영정도’, ‘읍면지역’ 4개 변수로 도출되었고, 두 집단 모두에서 영향력이 가장 높은 변수는 ‘수업방식(상호작용)’으로 도출되었다. ‘수업방식(개별화)’, ‘선택과목 미개설 경험 없음’, ‘중소도시’, ‘사립’ 변수의 경우 일반고에서만 집단 구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고, ‘대도시’는 직업계고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회귀값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chool factors on students’ categoris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leading up to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study’s conclusions are summarised based on the main findings. The results of the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showed that both general and vocational upper secondary school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core competence profiles, namely ‘top core competence’, ‘upper core competence’ and ‘middle core competence’, and that the levels of the four sub-competences in each profile were simila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bles tha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the top group in both general and vocational upper secondary schools based on the middle group of core competences were ‘relevance of elective courses to careers’, ‘teaching method (interaction)’, ‘degree of reflection of students’ opinions’ and ‘city and region’, an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both groups was ‘teaching method (interaction)’. For the variables ‘teaching method (individualised)’, ‘no experience with optional courses’, ‘small and medium-sized town’ and ‘private school’, only general secondary school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group classification, while ‘large tow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gression value only for vocational schools.

      • KCI등재

        학습자중심수업이 학습 동기, 학교행복감을 매개로 고등학생의 창의적 사고역량과 자기관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조분석

        신윤범(Yunbeom Shin),이자형(Jahyeong Lee),원효헌(Hyoheon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중심수업이 학습 동기, 학교행복감을 매개로 고등학생의 창의적 사고역량과 자기관리역량에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전후와 COVID-19 전후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 1차 2,307명, 4차 2,338명, 5차 2,344명의 고등학생 데이터를 대상으로 Amos 22.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및 SPSS 25.0을 활용한 기술통계, 차이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매개변수가 2개로 각 경로의 영향력 검증을 위해 팬텀변수를 활용한 매개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전후 차이 분석 결과, 개정 교육과정 적용 후 고1(2019) 학생들이 적용 이전 고1(2016) 학생들보다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COVID-19 전후 분석에서는 코로나 이전(2019년 고1)보다 코로나 이후(2020년 고2)에 자기관리역량은 상승, 학습자중심수업은 하락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연구모형의 매개경로를 검증한 결과 학습자중심수업과 창의적 사고역량에서 학습 동기와 학교행복감은 모든 연차에서 완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학습자중심수업과 자기관리역량에서는 4차년도는 완전매개효과, 1차와 5차년도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COVID-19 이후에는 모든 매개경로의 영향력이 COVID-19 이전보다 일괄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COVID-19의 영향력과 고교 현장에서의 학습 동기 및 학교행복감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learner-centered classes on creative thinking and self-management competencies through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happiness was compared and analyzed,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before and after COVID-19. Methods To this e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difference analysis were conducted on high school student data in the 1st, 4th, and 5th years of the BELS(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mediating path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two parameter paths, respectively.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students (2019)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all variables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2016) before the application. In the pre- and post-COVID-19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elf-management competency increased and learner-centered classes decreased after COVID (2020 high school 2) compared to before COVID (2019 high school 1),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maining variables. Nex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path of the research model,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happiness in learner-centered classes and creative thinking competencies were found to have complete mediating effects in all years, an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learner-centered classes and self-management competencies. In particular, after COVID-19, the influence of all mediated routes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COVID-19.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OVID-19, the importance of learning motivation and school happiness in the high schoo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