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1, 2학년 난독 고위험군 아동에 대한 개별화된 파닉스프로그램 중재효과

        원효은(Won, Hyoeun),설아영(Seol Ah-young),장우정(Jang, Woojeong),이정민(Lee, Joungmin),배소영(Pae, So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난독 고위험군 아동 26명을 대상으로 개별화된 파닉스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한 뒤, 단어유형과 음절내위치에 따라 단어 읽기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 비언어 지능검사 2판(박혜원, 2014)에서 지능지수 평균 96.69(표준편차 13.10)이고, 한국어 읽기검사(배소영 외, 2015)의 읽기지수1(해독+읽기이해)에서 평균 63.42(표준편차 11.92)이며,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한글 교육을 6개월 이상 받았고, 다른 발달장애가 없는 아동이었다. 중재는 사전평가에서 보인 대상자의 단어 읽기 특성을 심층분석하고, 개별적인 목표를 정해 1대 1 대면으로 20회기(1회기 40분, 주 2회) 제공되었다. 연구결과 중재 후에 단어 읽기 능력에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의미단어보다 무의미단어에서 더 큰 수행력 향상을 보여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파닉스 중재가 친숙하지 않거나 의미를 알지 못하는 단어를 읽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음절내위치 중에서 종성에 대해 더 큰 수행력 향상을 보여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개별적인 맞춤형 파닉스 중재가 어려움을 보이는 특정 음절내위치의 자소 읽기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대상자의 향상된 단어 읽기 수준이 여전히 또래에 비해 낮은 수행력을 보이므로, 장기간의 중재를 통해 글자와 소리가 불일치하는 단어 읽기에도 파닉스가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또한 통제집단을 포함한 파닉스 중재효과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vention effect of Korean individualized phonics program for 26 1st and 2nd graders at risk of dyslexia considering meaning availability and letter location within a syllable. The subjects performed very low ability in the reading index 1 of the standardized test of KORLA(Pae et al., 2015) and the average standard score was 63.42(SD 11.92) while they were intelligent as in the standard score of 96.69 (SD 13.10) on average in K-CTONI-2 (Park, 2014). , 63.42 (SD 11.92) on average in the KOLRA (Pae et al., 2015). All the children had reading and writing experience more than six months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had no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provided individualized 20 sessions of Korean phonics for 40 minutes twice a week. A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ability to decoding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greater improvements in nonsense-words compared to meaning words reflecting word attack abilities in reading. Phonics intervention seemed to help children read unfamiliar or unknown words. As for letter location within a syllable, greater improvement was found for the syllable-final letters compared to syllable-initial consonant letters and syllable-medial vowel letters. Althoug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word reading, many children did not achieve the peer level of reading. Further studies are in need to provide longer sessions of intervention as well as including randomized control trials.

      • KCI등재

        취학전 아동의 낱말 읽기 및 낱말 쓰기 설명요인 : 음운처리력, 철자력, 형태의미력을 중심으로

        원상은(Sangeun Won),원효은(Hyoeun Won),장우정(Woojeong Jang),이정민(Joungmin Lee),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3

        Objectives: It has been known that Korean preschoolers are actively engaged in reading and writing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tent of Korean children’s word reading and word writing abilities by phonological, orthographic, and morpho-semantic abilities. Methods: Seventy 5- to 6-year-old children wer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nd their average of IQ score was 100. Each child read and wrote 14 two-syllable words and 14 two-syllable nonsense words and the accuracy was scored at grapheme level.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were measured by phonological awareness (PA), rapid automized naming (RAN), phonological memory (PM); whereas letter knowledge (LK) and copying skills were measured for orthographic abilities, and morphological awareness (MA), vocabulary, story grammar recalling for morpho-semantic abiliti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SS 23.0. Results: LK, RAN, PM, and MA explained 57.2 percent of word reading while LK, RAN, PM, and copying explained 65.1 percent of nonsense word reading. LK, copying, MA explained 66.7 percent of word writing while copying, PA, and LK explained 59.1 percent of nonsense word writing. Conclusion: Given that RAN and PM explained word and nonsense word reading, and PA explained nonsense word writing,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seemed to be involved in early literacy actively. Korean children seemed to be in partial to full alphabetic stage before formal elementary education. Most interestingly, the dual-route word reading model differentiating lexical and non-lexical route could be applied to Korean children’s early reading developmen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plore early identification of developmental dyslexia from the kindergarten level. 배경 및 목적: 국내 유치원시기 아동은 초기 문해 발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취학전 아동을 대상으로 낱말 읽기 및 낱말 쓰기 능력에 대해 음운처리력, 철자력, 형태의미력이 어떤 설명력을 갖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지능 평균이 100인 7세 반 아동 70명을 대상으로 자소와 음소가 일치하는 2음절 낱말 14개와 무의미 낱말 14개를 읽고 쓰도록 한 후, 자소 기준으로 채점하였다. 초기 문해력 설명 변인으로 음운처리력에서는 음운인식, 빠른이름대기, 음운기억, 철자력에서는 자소 지식, 복사기술, 그리고 형태의미력에서는 형태소인식, 어휘, 이야기문법 회상을 측정하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의미 낱말 읽기는 자소 지식, 빠른이름대기, 음운기억, 형태소인식력이 57.2%, 무의미 낱말읽기는 자소 지식, 빠른이름대기, 음운기억, 복사기술이 65.1% 설명하였다. 의미 낱말 쓰기는 자소 지식, 복사기술, 형태소인식력이 66.7%를, 무의미 낱말 쓰기는 복사기술, 음운인식, 자소 지식이 59.1% 설명하였다. 논의 및 결론: 낱말 및 무의미 낱말 읽기에 있어 빠른이름대기와 음운기억력이, 무의미 쓰기에 있어 음운인식력이 설명력을 갖는 것은 음운처리력이 초기 문해력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지지한다. 철자력이 높은 설명력을 갖는 것은 한국의 취학전 아동들이 자소와 음소의 대응관계를 활발하게 탐색하고 습득해가는 음성음운 단계에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의미를 기반으로 하는 형태소인식력이 의미 낱말 읽기와 쓰기에 설명력이 있고, 음운처리력이 의미 낱말 및 무의미 낱말 읽기 모두에 설명력을 갖는 것은 이중경로모형이 한국아동에게도 적용됨을 시사한다. 후속연구를 통해 유치원 단계에서부터 발달성 난독아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담화모드와 담화유형을 고려해서 본 초등 고학년 발달성 난독 학생의 담화 이해력

        이정민(Joungmin Lee),장우정(Woojeong Jang),원효은(Hyoeun Won),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2

        배경 및 목적: 초등 고학년 발달성 난독 학생의 담화 이해력을 담화모드와 담화유형을 고려하여 살피고자 한다. 담화모드는 읽기모드와 듣기모드로, 담화유형은 이야기담화와 설명담화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방법: 초등 5-6학년인 발달성 난독 학생 16명과 학년일치 일반 학생 16명을 대상으로 담화 이해력을 측정하였다. 발달성 난독 학생은 이야기담화과 설명담화를 읽거나 듣고 총 32개의 질문에 써서 답하도록 하였다. 각 담화는 3문단으로 구성하였으며, 평균 문장 수는 19개, 평균 어절 수는 188.75개였다. 담화유형과 담화모드는 순서 효과가 배제되도록 진행하였다. 결과: 일반 학생(t=7.720, p<.001)과 발달성 난독 학생(t=9.879, p<.001) 모두 읽기모드보다 듣기모드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발달성 난독 학생은 이야기담화보다 설명담화에서 수행력이 듣기(t=5.000, p<.001)와 읽기(t=8.125, p<.001) 모두에서 낮은 반면, 일반 학생은 담화유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담화모드, 담화유형을 함께 고려하여 발달성 난독 학생의 담화 이해력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발달성 난독 학생은 담화모드와 담화유형이 모두 담화 이해력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일반 학생은 담화모드가 담화 이해력에 영향을 끼치나 담화유형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한국어에 DIER 모델의 글 유형을 고려한 확장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Korean developmental dyslexic upper grade children’s text comprehension abilities were investigated considering the mode of texts (reading vs listening) as well as the type of texts (narrative vs expository). Methods: Sixteen 5th to 6th grader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D) and grade and cognition-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participated in 4 text comprehension tasks. Each child responded to 32 questions, 8 in each text, tapping comprehension of texts counterbalancing the effect of mode and type of texts. Results: First, children with DD performed lower than TD children in text comprehension, reflecting developmental dyslexic Korean children’s performance cross linguistically even with the high orthographic transparency of Hangeul. Second, children with DD performed better in the mode of reading compared to the mode of listening, which was the same as the TD children. Third, the effect of type of text was meaningful to only children with DD, while TD children’s performance between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 was not different. Conclusion: Korean upper grade children with DD seemed to rely heavily on the mode of reading in comprehending texts similarly to their grade-matched children, while children with DD had greater difficulties in comprehending the expository texts both in reading and listening modes compared to the narrative texts. Each child with DD’s developmental level of the type and mode of texts needs to be considered to support his/her text comprehension abilities. Further studies need to be extended to the Korean language considering the type of texts with the DIER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