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화 지역에서 GIS를 이용한 지하수 질산성질소 분포 영향요인 분석

        원종석,우남칠,김윤종,Won J.S.,Woo N.C.,Kim Y.J.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 자원환경지질 Vol.37 No.6

        도시화가 진행되는 소유역(성내-고덕천 유역)에 대하여 지하수 질산성질소의 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들의 오염기여도에 대한 상대적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영향요인으로는 토지이용도, 하수관 거리, 포장율, 녹지율 등을 고려하였다. 공간분석 결과, 토지이용도 중에서 도시화 지역과 경작지 등에서는 서로 상이한 질산성질소 분포가 나타났으며, 이는 도시화 지역에서는 하수관으로, 경작지에서는 비료성분으로 인하여 질산성질소 분포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지시한다. 지하수 관정에서 하수관까지의 거리가 $60\~75m$ 정도 지점까지는 거리의 증가에 따라 질산성질소 농도가 감소한다. 특히 도시화 지역 내에서 하수관거리와 질산성질소 농도가 음의 상관도를 보이며, 이는 하수관이 질산성질소의 주 오염원임을 의미한다. 또한, 도시화 지역 질산성질소 농도와 포장율이 음의 상관도를 보이는 것도 질산성질소의 오염물질이 지표면에 기인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결과적으로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지역에서는 하수관의 설치와 유지관리 및 토지이용형태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오염예방에 중요함을 의미한다.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and their relative significance on spatial distribution of $NO_3-N$ in urban ground water, spati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GIS and statistical approaches in the Seongnae-Koduk watersheds, where rapid urbanization has been proceeded. Several factors were considered including land-use type, distance to sewage lines, the ratio of impervious surface, and the ratio of green area. The spatial distribution of $NO_3-N$ in the land-use types shows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crop field possibly due to the sewage networks in urban areas and the agrochemical uses in crop field. Nitrate concentrations in ground water were decreased with the distance to sewage lines to approximately 60-75 m. Concentrations of nitrate and distances to sewage lin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dicating that the nitrate contamination was induced from the sewage system and specially significant in urban areas. The negative correlation of the ratio of impervious surface to the nitrate concentration in urban areas also suggested that the source materials of nitrate are introduced from the surface. Consequently, in areas of urbanization processes, systematic management of past-and-present land-use types and sewage systems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 preventing ground water from nitrate contamination.

      • KCI등재

        도시화 지역에서 GIS를 이용한 지하수 질산성질소 분포 영향요인 분석

        원종석(J.S. Won):우남칠(N.C. Woo):김윤종(Y.J. Kim)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 자원환경지질 Vol.37 No.6

        도시화가 진행되는 소유역(성내-고덕천 유역)에 대하여 지하수 질산성질소의 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들의 오염기여도에 대한 상대적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영향요인으로는 토지이용도, 하수관 거리, 포장율, 녹지율 등을 고려하였다. 공간분석 결과, 토지이용도 중에서 도시화 지역과 경작지 등에서는 서로 상이한 질산성질소 분포가 나타났으며, 이는 도시화 지역에서는 하수관으로, 경작지에서는 비료성분으로 인하여 질산성질소 분포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지시한다. 지하수 관정에서 하수관까지의 거리가 60∼75m 정도 지점까지는 거리의 증가에 따라 질산성질소 농도가 감소한다. 특히 도시화 지역 내에서 하수관 거리와 질산성질소 농도가 음의 상관도를 보이며, 이는 하수관이 질산성질소의 주 오염원임을 의미한다. 또한, 도시화 지역 질산성질소 농도와 포장율이 음의 상관도를 보이는 것도 질산성질소의 오염물질이 지표면에 기인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결과적으로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지역에서는 하수관의 설치와 유지관리 및 토지이용형태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지하수의 질산성질소 오염예방에 중요함을 의미한다.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and their relative significance on spatial distribution of NO₃-N in urban ground water, spati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GIS and statistical approaches in the Seongnae-Koduk watersheds, where rapid urbanization has been proceeded. Several factors were considered including land-use type, distance to sewage lines, the ratio of impervious surface, and the ratio of green area. The spatial distribution of NO₃-N in the land-use types shows differences between urban and crop field possibly due to the sewage networks in urban areas and the agrochemical uses in crop field. Nitrate concentrations in ground water were decreased with the distance to sewage lines to approximately 60-75 m. Concentrations of nitrate and distances to sewage lin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dicating that the nitrate contamination was induced from the sewage system and specially significant in urban areas. The negative correlation of the ratio of impervious surface to the nitrate concentration in urban areas also suggested that the source materials of nitrate are introduced from the surface. Consequently, in areas of urbanization processes, systematic management of past-and-present land-use types and sewage systems a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 preventing ground water from nitrate cont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