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경리 『토지』와 조정래 『아리랑』에 등장하는 민중연대

        우수영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58

        이 연구의 목적은 박경리의 『토지』와 조정래의 『아리랑』에 등장하는 민중연대의 고찰을 통해 동학의 함의를 파악하는 데 있다. 먼저 본 글에서는 민중의 본성을 ‘생명성’으로 규정하였다. 생명 파괴로부터 가장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피해를 받는 자가 ‘민중’인 것이며 생명의 실상을 집단적이고 적극적으로 인식ㆍ실천하는 자가 ‘민중’이다. 단지 신분적인 측면에서의 민중,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민중의 의미와는 차별적인 생명성에 바탕을 두고, 두 작품에서의 민중연대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토지』에서는 윤보, 관수, 김환과 같은 실질적인 동학을 지휘하는 민중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와 맞선 편에는 최치수, 조준구 같은 반민중적인 세력들이 등장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분구도를 통합하는 인물로는 최서희에서 김서희로 존재 이동한 ‘서희’가 존재하고 있다. 그는 동학 잔당과 조선 젊은이의 생명성을 담보하는 민중연대에 동참하고 있으며 동학은 전조선적 생명 운동으로 나아가게 된다. 마침내 대립적 상황은 최서희 같은 인물의 동참으로 통합의 길로 나아가고 해방의 감격을 보게 된다. 여기서 동학은 조선의 민중이 생명성을 실현하는 지점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리랑』의 송수익은 의병에서 독립군으로 또 대종교인으로 변신을 거듭하는 인물이다. 더불어 조선을 떠나 하와이로 갔지만 조선인임을 잊지 않고 있는 방영근, 반생명성에 항거하는 지삼출 등이 등장한다. 이들과 맞선 편에는 민중의 생명성을 파괴하는 장덕풍 등으로 대표되는 일본인 지지 연대가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이분구도의 한 축은 사회주의로 경도되는 비껴가기로 전환된다. 여기서 동학은 민중 삶의 전사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토지』와 『아리랑』 두 서사에서 동학이라는 사건은 민중연대의 시발점에 공통적으로 위치한다. 『토지』의 서사에서는는 민중연대가 양적인 확장으로 나아가는 면모가 드러난다. 반면 『아리랑』의 서사에서는 민중연대가 질적인 전환으로 나아가는 모습이 파악된다. 『토지』와 『아리랑』의 서사에서는 ‘동학’이라는 사건을 통해 민중연대의 확장과 전환이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 of Dong-hak by considering People Solidarity which can be seen in Park Kyeung-lee’s 『Toji』 and Jo -Jeong-rae’s 『Arirang』. First of all, present article prescribes public’s nature of human as life temper. Thus, public is not only the most specifically and directly being damaged by life destruction of life temper but also is most collective and actively perceiving, practicing their life temper. Setting base public’s life temper discriminatively apart from public’s status perspective and ecnomical perspective, present article analyzed aspect of people solidarity in above two novel.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n『Toji,』 there are characters that in quality commanding Dong-hak like Yoon-bo, Gwan-soo, Kim-hwan who stand for public. Also, there are characters who stand for the opposite side of public like Choi Chee-soo and Jo Joon-goo. Integration of this dichotomicous stiuation was achieved by ‘Seo-Hee’ who had character-shift from ‘Choi Seo-Hee’ into ‘Kim Seo-Hee’. This man ‘Seo-Hee’ is participated in People Solidarity which guarantees life temper of Dong-hak remnants and youths of Joseon and Dong-hak has become the life temper-guarantee campaign throughout the country. Eventually, a confrontational situation had been solved by ‘Seo-Hee’ and all public got to taste the sweetness of independent. This shows that Dong-hak played a vital role in bringing public of Joseon to life temper. Second, in 『Arirang』, there is a character ‘Song Soo-ik who had transformed himself three times, as vigilante to Independence-Armyforce, and to a believer. In addition, Ji Sam-chool who resist against Bang Dong-geun and Ban Sang-myeong who does not forget to be a Korean while they are living in Hawaii appears. On the other side of them is a Japanese support regiment represented by Jang Deok-pung, who destroys the public's life temper. This dichotomous situations of 『arirang』 have been turned away by socialism. Therefore, this can be interpreted as part of various qualitative changes in People Solidarity. Third. In prologue of both 『Toji』 and 『Arirang』, Dong-hak appears at the point of establishment of People Solidarity. In 『Toji』, it seems that People Solidarity appears to be quantitative expansion. Namely, publics appears in 『Toji』 and 『Arirang』 can be interpreted as they are expanding and trasnfering their Solidarity through expriencing Dong-hak. In the result,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point of practiced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change that joseon publics tried to accomplish in the grand narrative of both 『Toji』 and 『Arirang』, it can be confirmed that revolutionary process is operating from Naeyoosinryung(內有神靈) to Oieyoogihwa(外有氣化).

      • KCI등재

        동학소설에 나타난 혁명 주체로서의 민중

        우수영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6

        동학소설은 한국 민중의 현실 각성과 연대 실천의 과정을 여실히 담고 있는 영역이다. 이러한 동학소설에서 나타난 혁명 주체인 민중의 모습은 당대 어떤 요청을 바탕에 두고 형상화되었는지를 살펴 민중의 의미를 구체화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시대가 요청하는 민중의 개념은 무엇이며 또한 그를 배경으로 생산되었던 동학소설의 민중의 형상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살폈다. 지금까지 한국 소설에서 등장했던 ‘동학’이 의미 변동 없이 역사적 배경으로 해석되던 상황에서 벗어나, 동학소설은 당대 요청된 민중 논의 아래 혁명 주체로서의 민중의 변모를 담지한 소설 내적 담론이었다. 동학소설에서 드러난 혁명 주체로서의 민중의 변모는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영웅의 지도로 인해 혁명에 동참하고 따르는 미각성의 민중, 각성한 전략적인 민중, 혁명 자체를 삶(生)의 진리이며 생명 본연의 모습으로 받아들이는 성숙한 민중이 바로 그들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동학소설에서 나타난 혁명 주체인 민중을 시기별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동학소설은 세계의 억압에 저항하는 혁명 주체로서의 민중을 시기별로 형상화함으로써, 비완결적이고 개방적인 소설 장르의 종결불가한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는 가치를 발현한 장르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승원<동학제>에 나타난 제의(祭儀)를 통해 실현되는 개벽세상

        우수영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7

        본 논문에서는 혁명의 개념이 아닌 제의(祭儀)의 개념을 적용하여 한승원의 대하장편소설 『동학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제 서사의 진행을 살펴보면, 한승원의 『동학제』는 동학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배경에 두고 있지만, 작가의 소설미학을 통하여 서사가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동학제』의 작품 제목처럼 ‘ ~ 제’라는 용어에 사용된 ‘제’는 명사 뒤에 붙은 접사로서 기능한다. 그러기에 한승원의 작품 『동학제』는 ‘동학’을 하나의 제의로 그리고자 했음을 작품 제목을 통해 간파할 수 있다. 한승원의 『동학제』는 제의를 통해서 염원을 이루어 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동학제』 서사를 통해 등장하는 인물들의 염원은 크게 억압의 존재를 없애고자 하는 염원과 존재를 유지하고 이어가고자 하는 염원으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피지배 계층의 염원이자 동학도인들의 염원이었다. 반면 후자는 지배 계층이자 양반들의 염원이었다. 그 염원의 풀이와 이음 역시 두 부분으로 크게 구분된다. 이인한의 생모 박씨는 종의 씨를 받아 신씨 가문의 대를 온전하게 이었고, 전장에서 찾아온 이인한의 시신을 가문 선산에 묻음으로써 집나갔던 아들을 다시 신씨가문의 구성원으로 복귀시키고 있다. 이로써 결국 신씨가문의 염원은 동학제(東學祭)라는 제의 과정을 통해 그 염원의 풀이를 이루고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염원은 평등세상을 향한 적극적 현실 개입을 통해 드러난다. 전투에 참여한 동학군들은 무기와 사람의 힘이 아니라 한울님의 신령한 힘으로 전투에서 승리한다고 믿는 미친 짐승들의 무리처럼 보인다. 그러한 동학군들 모습에서 표출되는 것은 염원이라기보다 오히려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그들의 간절한 믿음이었다. 동학군들은 평등세상을 지향하는 그들의 믿음을 전장에다 풀어 놓고 있는 것이다. 『동학제』 서사는 소안도라는 곳으로 떠나는 인물 평산과 안씨, 우암과 별님이의 모습을 그린다. 온갖 고난과 위기를 겪은 그들이 마지막으로 향하고 있는 새로운 세상, 소안도라는 섬은 그들의 사랑을 억압하는 어떠한 요소도 존재하지 않는 곳이다. 그들에게 그곳은 새로운 평등세상이자 개벽세상인 것이다. 제의는 사람이 태어나고 짝을 맺고 죽음에 이르는 기나긴 여정을 무사히 치른 것에 대한 극진한 위로이다. 그 장(場)의 참여자 또한 현실의 슬픔을 위로받고 또 다시 살아갈 힘을 얻는다. 그 힘은 또 다른 가능성이다. 이러한 가능성이 『동학제』의 마지막 장면에 등장하고 있다. 『동학제』의 마지막 장면은 동학도인들이 그리는 새로운 평등세상은 유교, 불교, 동학 모두가 함께 나아가야 도달할 수 있는 개벽세상임을 깨우쳐주고 있다. 결국 『동학제』는 민초들의 염원이나 지배 권력층의 염원이 동학혁명과 더불어 또 그 이후까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제의(祭儀)의 장(場)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ng-hak-je(東學祭)』, which is Han Seung-won's long epic novel, by applying a concept of ritual, not a concept of revolution. Examining the actual narrative progression, Han Seung-won's 『Dong-hak-je(東學祭)』 is putting background in the historical event called Donghak revolution, but can be known to be developed narration through the author's novel aesthetics. Like the title of a work in 『Dong-hak-je』, ‘Je,’ which was used in a term called ‘ ~ je,’ functions as affix of being attached following a noun. As can be known in examples such as Gi-u-je(祈雨祭, ritual for rain), Ye-sul-je(藝術祭, art festival), Ui-ryeong-je(慰靈祭, memorial service), etc., it is suffix that adds a meaning of ancestral rite or festival. Thus, Han Seung-won's work titled 『Dong-hak-je(東學祭)』 can be known to have aimed to depict 'Dong-hak' as a ritual through the title of a work. That is to say, in Han Seung-won's 『Dong-hak-je』, an action of dedicating sacrifice through a ritual is also the process of making a desire. An aspiration of characters, who appear through the narration of 『Dong-hak-je』, can be divided largely into a desire of aiming to remove the existence of suppression and a desire of aiming to proceed with maintaining the existence. The former was the aspiration of the subjugated class and also the desire of Donghakdoin(s).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was the aspiration of the ruling class and Yangban(兩班, aristocrat). These wishes that the characters in the narration of 『Dong-hak-je』 were progressed by having background as the historical event called Donghak revolution. Even the interpretation and the connection in its aspiration are divided largely into two parts. Lee In-han, who is Donghak-jeopju(東學接主) in Daerim, disappears through the last battle in Donghak force(東學軍). Lee In-han, who had left the Shin clan with clarifying that he himself is a child of a slave, is returning to the Shin clan regardless of his intention along with death. Lee In-han aimed to escape from the Shin clan with disclosing Yangban's false, but is going back rather as a member of the family because of having been dead in the battle. Lee In-han's biological mother Mrs. Park bodily carried on a family line of the Shin clan by receiving a seed of a slave, and buried Lee In-han's corpse, which came from the battle, in the family ground, thereby making him return as a member of the Shin clan. According to this, the desire of the Shin clan is being ultimately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a ritual called Dong-hak-je(東學祭). Another interpretation of the aspiration is a combatant situation through positively intervening in reality toward the equal world. The Donghak forces, which participated in the battle against the Japanese army and the government forces, look like a group of crazy animals believing that they gain the battle. What is expressed in such image of Donghak forces was their desperate belief of wishing for being so rather than a desire that they have. It is what the Donghak forces are undoing their belief of pointing to the equal world in the battlefield. 『Dong-hak-je(東學祭)』 depicts the image of Pyeongsan & Mr. Ahn, Uam & Byeolnim who leave for a place dubbed Soando. The new world of heading for the last by them as those who suffered all the hardships and crises, namely, the island called Soando can be a place that isn't existed any obstacle of suppressing their love. As for them, that place is the world of Gaebyeok(開闢世上, the Dawn of Human Civilization) in the equal world. A ritual is cordial consolation on what a person safely went through the long journey of being born, entering into a pair, and reaching death. A participant in the field(場) is also consoled the sadness of reality and is encouraged once again. The power is another potentiality. This possibility is appearing in the last scene of 『Dong...

      • KCI등재

        장소를 창조하는 생명 원리에 관한 고찰 ‘양생(養生)’ 개념을 중심으로

        우수영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5 민족문화논총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rocess that a human being of coexisting along with nature selects a place that is most suitable for and advantageous to oneself. According to a concept of Cheonsan(天山), a flow of continuing a shape of a mountain runs together with the energy of the land. Gi(氣) exists in the core of its flow. Like Jimaek(地脈, vein), even Gyeongrak(經絡, meridian) is a major passage that runs Gi(氣), Hyeol(血, blood), and Jinaek(津液) of being spread in the whole human body, and is mutually linking each part of the human body. The description on Gyeongmaek(經脈) in 『Hwangjenaegyeong(皇帝內徑)』 shows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water of flowing onto the ground. Jimaek and Gyeongrak can be known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nd to form a similar system just with dividing their objects into nature and human body. Land is a place that a human being proceeds with managing life by grasping the logic of heaven and earth. Hence, it cannot help mentioning the existence of land in the process of well being. It has been traditionally accepted a theory in the old days as saying what the shape and the attribute of being possessed by land have influence upon a human being's good or ill luck. However, it was what makes a human being adapted to a flow of land, but wasn't the equal correspondence between a human being and the earth(nature). Eumyangohaeng(陰陽五行, Eum-Yang and Five elements) was found a base available for generalizing the interaction between a human being and the land and the manifestation of Gi(氣) according to it. A concept of Eumyang(陰陽) is understood flexibly and relatively. On the other hand, Ohaeng(五行) has an absolute and steady value. Ultimately, the combination of Ohaeng(五行) is needed that offsets lots of energy in Eumyang(陰陽) and complements the insufficient energy of Eumyang(陰陽). The practice of this principle is just what performs upright well being. The process of well being is applied even to the narration of literature. A consideration on vitality immanent in a life of a character amidst the narration of appearing in Park Gyeong-ri's full-length novel 『Toji(土地, land)』 can be solved with a concept of well being. The spatial movement for well being that the main character Choe Seo-hui shows in 『Toji(土地』 is as follows such as Pyeongsa-ri ⟶ Gando ⟶ Jinju ⟶ Mt. Jirisan. That is just a very important flow that determines the vein of narration. 본 연구는 자연과 더불어 공존하는 인간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하고 유리한 장소를 선택하는 과정을 밝히는데 목적을 둔다. 천산(天山)개념에 의하면, 산의 형상을 이어가는 흐름이 땅의 기운과 같이 흘러가고, 그 흐름의 핵심에는 기(氣)가 존재한다. 지맥(地脈)처럼 경락(經絡)도 인체의 전신에 퍼져 있는 기(氣), 혈(血), 진액(津液)을 운행하는 주요 통로이며 인체의 각 부분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황제내경(皇帝內徑)』의 경맥(經脈)에 대한 설명은 인체와 땅 위로 흐르고 있는 물과의 상관관계가 밀접함을 나타낸다. 지맥과 경락은 그들의 대상을 자연과 인체로 구분할 뿐이지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유사한 체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땅은 인간이 천지 이치를 파악하여 삶을 영위해 나가는 장소이다. 그러기에 양생의 과정에서 땅이라는 존재에 대한 언급을 피할 수가 없다. 땅이 가지는 형상과 속성이 인간의 길흉에 미친다는 설이 전통적으로 수용되어 왔지만, 그것은 땅의 흐름에 인간을 적응시키는 것이지 인간과 땅(자연)의 대등한 상응은 아니다. 인간과 땅의 상호작용 및 그에 따른 기(氣)의 현현을 법칙화 할 수 있는 기저를 음양오행(陰陽五行)에서 찾는다. 음양(陰陽)의 개념이 유동적이고 상대적으로 이해된다면 오행(五行)은 절대적이고 고정적인 값을 가진다. 결국 많은 음양의 기운을 상쇄해주고 부족한 음양의 기운을 상보해주는 오행의 결합이 필요하다. 장소선택에 있어, 이러한 원리의 실천이 바로 올바른 양생을 행하는 길이다. 양생의 과정은 문학의 서사에도 적용된다. 박경리 장편소설 『토지(土地)』에 등장하는 서사 속 인물 삶 속에 내재해 있는 생명력에 대한 고찰은 양생의 개념으로 풀어 나갈 수 있다. 『토지』의 주인물 최서희가 보여주는 양생을 위한 공간 이동은 다음과 같다. 평사리 ⟶ 간도 ⟶ 진주 ⟶ 지리산. 그것은 바로 서사의 맥을 결정하는 아주 중요한 흐름을 보여준다. 결국 박경리 『토지』 서사의 흐름은 조선의 민족과 조선의 토지가 억압에서 풀려나 해방을 맞이하게 되는 양생의 길로 나아가는 과정인 것이다.

      • KCI등재

        박태원『 갑오농민전쟁』에서 나타난 동학농민군의 위상

        우수영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7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Status of the ‘Donghak Peasantry Military’ in『 Kabo Peasant War』. This study focused on the Jeonju-Entry, the Jeonju-Peace conference, the character configuration in『 Kabo Peasantry War』. The ‘Donghak Peasantry Military’ in 『Kabo Peasantry War』 is the people who fulfill to fight the anti-feudality and the antiimperialism and to connect a new boundary. Also the ‘Donghak Peasantry Military’ in『 Kabo Peasantry War』 will continuously make a whole new world through the new joint and boundary. Finally, the Status of the ‘Donghak Peasantry Military’ in 『Kabo Peasant War』 is the community that opens a whole new world. 본 글은 박태원의 『 갑오농민전쟁』에 나타난 ‘동학농민군’의 위상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에 전주성 입성과 전주 화의 등의 사건에서 위치하는 인물들 간의 관계와 현실대응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갑오농민전쟁』에서 동학농민군, 그들은 양반이면서 양반이지 못했던 사람들, 평민이면서도 평등을 보장받지 못했던 사람들 또한 사람이면서 사람대접을 받지 못했던 이들이다. 그들은 사람다운사람이 사는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했으며, 새로운 세상의 열림을 억압하는 절대 존재에 대한 투쟁을 실천한 이들이다. 『갑오농민전쟁』에서 전봉준의 결정적인 패인은 동학농민군의 ‘경계’ 즉 우리와적이라는 경계를 분명히 하지 못한 것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갑오농민전쟁』에서 보여지는 광범위한 동학농민군의 ‘우리’라는 경계는 분명히 새로운 세상의열림을 위한 과정에서 긍정적인 작용을 하고 있다. 그러기에『 갑오농민전쟁』의 동학농민군은 새로운 경계와 접속하여 또 다른 동학농민군을 생성해 나갔고 그런 과정에서 변산 활빈당도, 서울 일심계도, 양반 계층도 같은 동학농민군이라는 경계 안으로 품을 수 있었던 것이다. 결국『 갑오농민전쟁』의 동학농민군은 동학의 정신을기층으로 하고 있지만 표면적으로는 반제ㆍ반봉건을 내걸고 투쟁에 참여한 모든구성원들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그러기에『 갑오농민전쟁』의 동학농민군은 사람다운 사람이 사는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한 '우리'라는 경계를 가진 포괄적인 투쟁공동체로서의 위상을 보여 주고 있다.

      • KCI등재

        박경리 『토지』를 통해 고찰한 ‘동학’의 의미

        우수영 동학학회 2012 동학학보 Vol.0 No.26

        장편소설 『토지』의 서사는 몰락과 생성의 과정을 보여 주고 있다. 그 몰락과 생성의 과정에서 무엇이 민중들의 다양한 삶과 행위를 이끌어 가고 있으며, 사건의 동인으로 작동하는가? 그에 대한 고찰은 민중들이 참여하는 사건과 대화를 통해 주로 진행되었다. 평사리 마을 장정들에게 있어 최참판댁 습격 사건은 과거 동학을 한 윤보의 지휘 아래 다같이 동학과 구국의 행위를 체험한 사건이 되고 있다. 그들에게 동학은 공평한 세상을 실천하는 이념이기 보다, 일본놈들과 손잡고 있는 일당을 치는 의로운 현실적 실천이었던 것이다. 그러나 동학은 윤보의 죽음, 김환의 죽음과 더불어 관수의 죽음까지 맞이하면서 결정적으로 민중들에게는 끝이 난 운동으로 인식된다. 그에 대한 민중들의 허무한 인식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동학은 또 다른 생성의 길로 들어서고 있었다. 그 길에서는 생명을 보듬는 동학의 정신과 조선의 젊은 생명에 대한 어미의 마음이 서로 연결되고 있다. 결국 박경리『토지』의 민중들이 인식하고 전망했던 ‘동학의 의미’는 잃어버린 조선의 토지를 되찾게 해주는 ‘힘’이었다. What does a diverse life and action of People lead, and what is the cause of the accident in Park, Kyeung Lee' 『ToJi』?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reviewed the sense and prospect of People for Dong Hak in Park, Kyeung Lee' 『ToJi』. The accident that village people attacked Choi’s house becomes the experiences of Dong Hak and a save-Nation. Under Japanese Colonialism, People lost their hope. But this hope is replaced for the heroic Yun-Bo. This replacement shows Dong Hak that operates the Egalitarian Community Spirit to resist for Japanese Colonialism. Realistically, Dong Hak becomes accepted for People as a ended movement. Nevertheless, Dong Hak takes on a new creation road. The road is to be the power that protects and nurtures the Youngman in Chosun, and that reclaims the land in Chosun. Finally, it is considered that the Sense of ‘Dong Hak’ in Park, Kyeung Lee' 『ToJi』is the power that reclaims the land in Chosun.

      • KCI등재

        송기숙 『녹두장군』의 민중 역량 조직화 양상 고찰

        우수영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0

        The goal ot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systematization of the power of the people in Song Gi-suk's 『General Nokdu』.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ntity of the people, the mutual relation of the people and how to systematize their power. This study starts with the different sight from the existing discussions that focus on the people in Song Gi-suk's 『General Nokdu』. The narration of Song Gi-suk's 『General Nokdu』 places the people on the center, but it informs the man who systematizes the power of the people. The man is the leader of Donghak Peasantry Military, above all Jeon, Bong-jun who understands the power of the people. The systematization of the power of the people in Song Gi-suk's 『General Nokdu』 is disscussed in the Samlae mass meeting, the secret in Maitreya, the funeral of Donghak Peasantry Military and the signal fire of the Baisan. The Samlae mass meeting for the Leader of Identity acts as to bring Jeon, Bong-jun to the wise leader. Donghak Peasantry Military mass meeting acts as to systematize their power. The secret in Maitreya acts to rise the status of Donghak Peasantry Military. And the funeral of Donghak Peasantry Military acts to form a whole them. Finally, the signal fire of the Baisan acts to give the hope to Donghak Peasantry Military, in the other words the people. The hope for the people is the wise leader, Jeon, Bong-jun. In Song Gi-suk's 『General Nokdu』, the people are in the center of the narration. Nevertheless, the great man who systematize the power of the people is Jeon, Bong-jun. 본 글의 목적은 송기숙의 『녹두장군』에 등장하는 민중들의 잠재된 역량이 어떤 과정을 통해 조직화 되어 가는지를 살피는데 있다. 그 고찰 과정에서는 먼저 민중의 정체와 그들 상호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사 속 사건과 놀이, 전쟁 상황 등에서 발생되는 민중 역량 조직화 양상에 주목하였다. 본 논의는 송기숙의 『녹두장군』에서는 작품 제목과 달리 녹두장군 전봉준에 주목하기보다 전쟁의 주체 민중에 주목해야 된다고 하는 기존 논의들과는 다른 시각을 가지고 출발하고 있다. 『녹두장군』의 서사는 전쟁 주체로 민중을 서사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있지만, 뜬구름 같은 민중들을 조직화하여 그들의 잠재된 역량을 발휘하게 하는 인물의 존재 역시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포괄적으로 그 인물은 동학의 두령들이고, 그 중에서도 전봉준은 민중의 잠재된 역량을 잘 파악하고 조직화된 분출로 이끌어 가는 인물로 형상화되고 있다. 『녹두장군』의 서사에서 보이는 민중 역량의 조직화는 교조신원을 위한 삼례대회, 두령회의 등의 이성적 역량 조직화와 미륵 비결 사건, 농민군 장례식, 농민군 백산 진영의 봉화 등의 감성적 역량 조직화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결국 송기숙의 『녹두장군』은 서사를 이끌어 가는 중심축에 민중을 위치시키고 있지만, 민중들의 소같은 우직한 마음을 잘 파악하고 사건이나 전쟁 상황을 통해 이성적으로 또한 감성적으로 그들의 역량을 조직화 해나간 주체는 전봉준임을 드러내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문순태 『타오르는 강』에 나타난 영산강의 의미 - 해월 삼경사상의 구현을 통한 새로운 민중

        우수영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4

        본 글의 목적은 문순태의 대하장편소설 『타오르는 강』에 등장하는 민중의 존재를 동학 2대 교조 해월(海月)의 삼경사상(三敬思想)을 통하여 의미화 하는데 있다. 『타오르는 강』의 서사는 1886년 노비세습제가 폐지되어 마을의 종들이 지주에게서 풀 려나는 데서 시작하고 있다. 지주의 압제로부터 풀려난 종들은 해방되어 삶의 터전을 찾 아 나선다. 풀려난 ‘종’들이 정착한 곳은 관(官)과 부자들이 버려두었던 쓸모없는 영산강 변 새끼내 땅이었다. 새끼내 땅은 자유를 가진 주체가 자신의 생명성을 처음으로 심었고 거두었으며 체험한 장 소였다. 그것은 바로 영산강이라는 존재가 있었기에 가능하였던 것이다. 그 영산강이라는 물(物)은 울었으며 애원했으며 생명의 근원인 할아버지의 모습을 가지고 있기도 하며, 인 간은 떠나도 그 고향을 지키는 존재로 서사에서 형상화되고 있다. 그로 인해 새끼내 사람 들의 생명성은 여전히 지켜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영산강의 의미는 새끼내 사람들의 생명성을 지켜가고 이어가며 복원되도록 협력하는 하나의 물(物)이자 인간과 같은 존재 로 자리매김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족하고 지질한 인물들 역시 강렬한 생명성을 발휘하고 있는 서사의 상황은 그 속에 내 재해 있는 한울님의 생명성 그 본연의 천지기화 외유신령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바로 경천(敬天)하여 자신이 모시고 있는 한울님의 영원한 생명을 알게 되고, 경인(敬人) 을 함으로써 자신이 모시고 있는 한울님을 공경하며, 경물(敬物)함에 이르러 천지기화의 덕에 합일한 결과이다. 이로써 『타오르는 강』에서 등장하는 지질한 인물들이 보이고 있 는 강렬한 생명성은 바로 천지기화 외유신령하는 민중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음이다. 그 부족하고 지질한 존재들은 사라졌지만, 영산강의 넘치는 힘 속에서 천지기화하여 다시 새 로운 민중으로 생생하게 등장하여 인물들에게 힘을 주고 있다. 영산강이 그들이고 그들은 영산강이다.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sense of Yeongsan River in Mun Sun-tae's『The Blazing River』. Mun Sun-tae planed to reveal the regret of People in『The Blazing River』. The people in the『The Blazing River』are liberated from the slave. Yeongsan River in Mun Sun-tae's『The Blazing River』provides the force to People and understands the regreat of People. People regard Yeongsan River as their parents and themselves. These communication and meaning are available through the Haewol(海月)'s Sam- Kyeung ideas(三敬思想) in Dong-Hak(東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