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영어 음독의 유창성과 정확성 관계 분석

        우길주 ( Kil Joo Woo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13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accuracy in elementary students who ar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literacy skills. 142 students from Elementary grades 1 to 6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are examined: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DIBELS reading programs on the participants`reading fluency ability?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DIBELS reading programs on the participants reading accuracy? Thir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oral reading fluency and reading accuracy? To investigate the questions, DORF(DIBELS Oral Reading Fluency), areading fluency test and retelling test, was administe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f the DIBELS reading program on the participants` reading fluency. Second,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f the DIBELS reading program on their reading accuracy.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al reading fluency and reading accuracy.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educational decision-making process.

      • KCI등재

        초등영어 전담교사 선발 및 배치 방안 연구

        우길주 ( Kil Joo Woo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12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17 No.2

        This research suggests models to assist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related national-level policy making process for certification and assignment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in Korea.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602 full-time English teachers and 606 non-full-time English teachers from 800 elementary schools selected nationwide. Regarding the teacher certification process, there is a need to add qualitative criteria to the existing quantitative criteria. Also, the English subject part of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needs to include a test of the applicants` actual teaching ability. Regarding the assignment process, explicit assignment criteria must be provided for each school. There is also a need to revise the job description for English teachers, who have their excessive work load and feeling disadvantaged.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varying levels of regularly schedule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are tailored to teachers` level of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ree models for the certification and assignment process are suggested―for regular (non-specialist) teachers, full-time English teachers, and, assuming the desire to develop experts, the CSI (Core Strategic Intensive).

      • KCI등재

        수준별 소집단 학습이 초등영어 읽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말선 ( Mal Seon Jeong ),우길주 ( Kil Joo Woo ) 글로벌영어교육학회(구 호남영어교육학회) 2006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Vol.11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ifferentiated small group-learning on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attitudes. One class of thirty students was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divided into lower-, mid-, and higher-level. As learning content, five units were selected from the Elementary English Textbook for Sixth Graders and taught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lass-period during ten week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and tes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reading ability and the control group`s, even though higher- and mid-level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reading abili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ttitudes and the control group`s. Third, differentiated small-group learning had an effect on the higher- and lower-level group`s reading ability. Fourth, differentiated small-group learning has an effect on the learners` self-confidence toward and participation in reading,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interest. Fifth, many students thought their reading ability was improved by small-group work. Thus, differentiated small group learning helped enhance reading interest at all levels, particularly higher- and lower- level group`s participation in and self confidence in reading.

      • KCI등재

        리터러시(Literacy)시작 단계 아동의 영어 음소 인식 사례 연구

        우길주 새한영어영문학회 2007 새한영어영문학 Vol.49 No.1

        Using a single baseline across subjects design, this study compared two pre and in school age children, reading experience, and pretest measure, during reading aloud and specific strategies targeted at training phonemic awareness. The training program was "Ladders to Literacy" and the children's progress was monitored using the Dynamic Indicators of Basic Early Literacy Skills (DIBELS). Four measures, Letter Naming Fluency (LNF), Sound Naming Fluency (SNF), Initial Phoneme Ability (IPA), and Phonemic Segmentation Ability (PSA) were used. Results showed that following training, each child's performance on SNF, IPA, and PSA improved; performance on LNF varied. Conclusion and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초등영어 평가와 수업 분석 고찰

        우길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논문집 Vol.7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과 평가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최근에 소개되고 있는 리터러시 중심의 영어교육 평가 방법들을 고찰하여 현재 우리나라 교육과정 체계 안에서 이러한 대안적 평가 방법들의 안정적 접목 가능성을 탐구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 교육과정 체계 내에는 평가의 중요성과 평가도구의 명칭만 제시되어 있어 교실현장에서 구체적인 평가의 적용에 혼란을 겪고 있는 교사들에게,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한 대안적 평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구체적 교실현장 적용사례를 제시하는 것은 의미 있는 연구 일 뿐 아니라 필요한 교사 재교육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선명하고 효율적인 평가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고찰의 범위를 현 교육과정에 제시된 평가도구들로 한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영어 교육과정에 제시된 수행평가 중심의 대안적 평가 도구들을 교사의 수행 유형에 따라 네 가지 범주 (설문 조사, 관찰 평가, 포트폴리오, 직접 면담)로 다시 구분하고 이 네 가지 평가도구를 중심으로 새로운 평가방법들의 현장 접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후속 연구를 통해 각각의 대안적 평가도구에 대한 초등영어 교사들의 전문성이 신장되고 교실현장의 수업 분석에 대한 새로운 평가기준들이 활발히 소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productive and effective evaluation skill which could help elementary English teachers observe students' English competence objectively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lementary students English skills objectively and completely. However, many teachers have difficulty in interpreting the procedure of their observation of the students and in creating the proper items to show the progress of students' achievement in an English class. The study categorized several performance-based assessment skills which is introduced in 7th National Curriculum into four major methods; survey methods, observation methods, portfolios, and confere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as follows: 1.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erective evaluation techniques should be conducted to help teachers' understanding for their field implication. 2. More specific and wholistic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assess students'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3. A practical form of evaluation and examples of describing students' progress in English class should be created for teachers. 4. Teachers should be required to learn and acquire the skills and background knowledge of language assessment.

      •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of English Proficiency and Pedagogical Input : From the Elementary School EFL Teachers' Perspectives

        Woo, Kil-Joo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1 人文論叢 Vol.57 No.-

        초등학교 영어교과의 정규채택과 관련하여 한국인 초등학교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영어 구사 능력에 대한 의식 조사를 바탕으로, 그들이 경험하고 이수했던 예비 교사로의 준비과정에 대한 비교를 통해, 통계학적인 의미성의 유무와 관련성 정도를 우선 알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초등 영어 교사 양성의 모형을 찾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자료수집을 위해 현재 부산시내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는 한국인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146) 와 인터뷰(12명)를 했으며, 수집된 설문자료는 Pilot Test를 마친 뒤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통해서, 그리고 인터뷰 자료는 정성분석법(qualitative method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과 통계적 절차 및 그에 따른 해석에 대해서는 현장연구의 분석 고찰을 위한 연구자 나름의 창의적인 적용과 기법을 덧붙였다. 본 연구는 특별히 정량(quantitative) 및 정성(qualitative) 분석 기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진지한 자료 분석과 해석이 행해지도록 노력하였다. 본 여구 결과, 일반적으로 본 연구에 참가한 초등학교 영어 교사들은 본인들의 연구구사능력에 만족하기 않은 것으로 응답했으며 특히 설문에 포함된 항목 중 말하기가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드러났다. 또한 대학 재학중의 영어 교사 이수와 관련해서, 현재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초등학교에서의 영어 교과 수업진행에 필요한 적절한 훈련을 하지 못한 것으로 현직 교사들은 인식 하고있으며, 예비 교사들의 실제적인 영어구사 능력 향상에 보다 많은 시간과 교사 편성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두 변수인 초등학교 영어교사들이 영어구사 능력과 예비교사로서의 적절한 영어 교과 관련 교과목 이수 정도와 관련한 구체적인 연관성 조사에서는 특히, 훈련과정에서 받은 교수-학습 방법과 영어 사용권 국가에서의 실제적인 현장 경험이 다른 항목에 비해 교사들의 영어구사능력에 상당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난 항목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교과과정에 대한 보다 같이 있는 연구와 예비 교사 양성 과정에 이들 항목들을 적절히 수용할 수 있는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이를 위해 컴퓨터를 포함한 여러 평가 방법과 장치들을 적용하여, 학습 대상자들에 대한 체제적이고 순차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예비교사 양성 과정 교과 과정 중에 그들의 언어능력 자체의 향상이 우선적이 목표가 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중점적이고 지속적인 평가와 측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연구에 참가한 세 그룹의 초등 영어 교사들 중 교대 출신 교사들에 비해 일반대학 출신으로 중등학교 교사 자격증을 가진 교사들과 사범대학 출신으로 영어를 전공한 교사들이 자신의 영어 구사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초등 영어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해 좀 더 깊은 연구가 행해져야할 것으로 여겨진다. 인터뷰 분석 결과 초등학교 영어교사 들의 영어구사능력 향상과 관련해 시간적 물리적 제약과 성적 위주의 교과과정, 지나친 교과서 의존 등이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교육에 주요한 장애 요인으로 지적되었으며 테스트와 보조 자료의 개발, 그리고 실습위주의 교수법과 같은 초등영어교육에 필요한 실제적인 교과과정의 편성이 절실한 것으로 제안되었다.

      • KCI등재후보

        내용중심 영어·미술 통합 학습의 초등교실 현장 적용 연구

        배지영,우길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3

        미술을 활용한 내용중심 통합학습은 초등학생들에게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보다 재미있고 적극 참여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연구를 통해 초등교실 현장에서 영어와 미술의 내용중심 통합 학습의 적용 방안과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 이를토대로 내용중심 통합학습의 적용에 대해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술과의 내용 중 영어와의 통합이 가능한 주제를 추출하여 다양한 미술활동과 결합하여 초등학생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듣기·읽기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 보았다. 그리고 미술을 활용한 내용중심 통합학습의 특성으로 인해 수준별 집단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예상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영어·미술 내용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생의 듣기와 읽기 능력, 그리고 정의적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2) 미술 수업의 특징으로 인해 작품 활동을 하는 동안 체계적인 듣기 입력 자료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3) 수준별 집단 중 하집단에 미술을 활용한 내용중심 통합학습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단순한 시각적 자료로 그치지 않고 다양한 문자 언어를 포함한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4) 과제의 특성상 가정과 연계가 가능하여 과제를 통한 지속적인 노출에 용이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communicate in English through an art class. The current English education in South Korea for fourth graders focuses largely on listening and verbal communication. In Korea, where students do not have many opportunities to practice English outside the class, more opportunities should be provided to communicate in English through content-based classes. Thus,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 effective curriculum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confidence in English communication through content-based instruction. In the current study, four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in Busan were selected to study the effects of English communication integrated in an art class. The experimentation class combined art curriculum in their class activities. An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test was also given to the experimentation class in order to measure the increase of the students' listening and reading abilities after the treatment. Furthermore, a survey on the interest level, confidence, self-discipline, and academic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were also conducted for the study.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ers' listening and reading abilities, as well as the affective factors, were expected to be found. This hypothesis was studied and observed according to high, middle, and low levels.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gender variable (boys vs. girls) was examined as wel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tent-based art instruction improved the students'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abilities. Students were able to integrate the content using previously-learned knowledge from different art-related activities, which allowed them to read and to listen naturally in an English-speaking context. Second, the study also showed positive effects of the learners' interest, confidence, self-discipline, and academic participation. Additionally, content-based art instruction led to learning through various art activities, and gave the students an enhanced interest in English. Students were stimulated to use English more positively because they had already learned the content from previous art-related activities. Third, the study was more effective with low level students. There was a meaningful improvement in the low level students' English listening, reading abilities.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cognitive test results for the students' gender; however, content-based art instruction was meaningful for the girls' parts.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increased the listening and reading abilities of the students and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English class. Moreover, content-based art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with low level students because they were able to study English through various art-related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