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제투표 하위차원의 상호작용: 5-7회 지방선거의 사례

        한상익 ( Sang Ik Han ),왕정하 ( Jung Haa Wang ),최종호 ( Jong Ho Choi )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자치연구소 2022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8 No.1

        한국의 지방선거에서 경제투표의 세 가지 하위차원은 유의미한 투표결정요인 이었는가? 세 가지 하위차원의 경제투표는 어떻게 상호연동하여 작동하는가? 이 논문은 역대 지방선거에서의 경제투표 하위차원들의 상호 연동하는 맥락을 규명하고, 내생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회고적 국가경제평가 대신 새로운 합의이슈 변수로서 불평등 인식을 제시한다. 경험적 분석결과 합의이슈 경제투표, 정책선호 경제투표, 자산기반 경제투표의 유의미성은 각각 선거마다 다르게 나타났지만, 세 차원이 상호작용하여 복합적으로 투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제7회 지방선거에서는 불평등 인식이 새로운 합의이슈로서 다른 경제투표의 하위차원과 상호연동하여 작동하고 있음도 발견하였다. 이 연구의 발견은 한국 유권자들의 경제투표가 지방선거에서 유의미하게 작동하고 있으며, 경제투표의 하위차원에서의 상호연동성을 포착할 때 더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re three dimensions of economic voting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voter’s behavior? How do these dimensions interact with each other? This article examines how sub-dimensions of economic voting affect the incumbent support in local elections in South Korea. Existing studies on economic voting mainly focused on the independent effect of three economic vote dimensions; valence economic voting, positional economic voting, and patrimonial economic voting. This paper identifies the interplay of above three economic vote dimensions in the previous 5-7th local elections.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ree dimensions not only have independent effects but also have interaction effects amongst each other. Furthermore, we also suggested ‘voter’s perception of inequality’ as a proxy of valence economic voting. In the 7th local election, the perception of inequality as a new measure of valence voting has interacted with other dimensions of economic voting.

      • KCI등재

        조사방법 차이가 정치적 태도 조사결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여심위 선거여론조사 통합자료 분석

        최종호,백다예,김태균,한강욱,왕정하 한국정당학회 2022 한국정당학회보 Vol.21 No.3

        This article examines how different polling methods affect the survey results on voters’ political attitudes and where differences in the survey findings originate if the polling methods matter. Using original data on the characteristics of election polls in Korea from 3 months before three elections between 2017 and 2020, we find that ARS-based election polls overestimate the major parties’ approval rates, underestimate the ratio of non-partisans, and drop overall response rates. However, the polling methods significantly affect differences in the survey results only if response rates are low. This study concludes that ARS-based election polls cause the undersampling of those who are politically indifferent. This article contributes to the survey methods literature by highlighting the role of polling methods in the sampling of respondents.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 선거여론조사에서 조사방법의 차이가 유권자의 정치적 태도 측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그 원인을 밝혀내는 것이다. 본 논문은 2017년에서 2020년까지의 세 차례 선거에서 선거 3개월 전부터 선거 직전까지 이루어진 전국단위 여론조사에 관한 데이터를 구축하여 경험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전화면접 대비 ARS 조사비율이 높을수록 여론조사에서 주요 정당 지지율을 과대 추정하고, 무당파 비율을 과소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사방법의 차이가 정당지지자와 무당파에 미치는 영향은 응답률이 낮은 설문조사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방법에 따른 조사결과의 차이는 유권자 중 ARS 조사에 응답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정치적 무관심층의 표집문제에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표집의 차이와 조사방법의 차이가 실제 정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고, 표집탈락률과 응답률에서 그 원인을 찾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세대 문화와 기업 문화: 기업 내 세대 간 문화적 차이에 따른 일 만족도를 중심으로

        고태경(Goh, Taekyeong),임현지(Lim, Hyunji),왕정하(Wang, Junghaa),최다은(Choi, Daeun),이철승(Lee, Cheolsu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21 문화와 사회 Vol.29 No.2

        본 연구는 한국의 기업문화가 2010년 이후 등장한, 새로운 세대문화를 내재한 젊은 세대로 인해 어떤 변화의 압력에 처해 있는지를 묻는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새롭게 등장한 청년세대의 세대문화 특성을 탐색하고, 기업조직 내 세대간 문화적 차이를 탐구한다. 특히, 이 연구는 통계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2010년대 이후 새롭게 노동시장에 진출한 ‘90년대 생’의 세대 정체성을 탐구하고 기성세대와의 세대문화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2017년 제7차 인적 자본기업패널(HCCP) 조사를 활용하여 한국기업 특유의 조직문화가 세대 간 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우리는 2011년 제4차 HCCP 조사를 통해 세대 간의 문화차이가 연령효과나 직급에 따른 효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90년대 생이 기성세대 근로자에 비해 경쟁적 성과달성 문화와 위계문화가 강한 조직에서 더 낮은 일 만족도를 보이는 반면, 공정한 평가문화가 강한 조직에서는 더 높은 일 만족도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발견은 오늘날의 청년세대가 개인의 가치가 존중받는 합리적 관계의 조직체에서 조직과 직무에 더욱 몰입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국내기업이 새로운 세대의 ‘민주적⋅수평적’ 조직문화를 도입할 때, 기업조직 내의 세대갈등을 완화하고, 청년세대의 일 만족 및 조직 몰입을 향상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sks whether the Korean businesses built upon the hierarchical seniority system face a ‘cultural turn’ triggered by the millennial generations in the labor market since 2010.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er-generational cultural difference’ in business organizations. We examin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s by applying OLS regression models to analyze the 7th Human Capital Corporation Panel (HCCP, 2017). In addition to this, we also analyze the 4th HCCP in 2011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about the generational gap.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also reveal that Millenials show higher job satisfaction in a fair evaluation culture than the older generations, while they have a lower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a hierarchical and competitive atmosphere,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s. Overall, the authors claim that, by adopting the ‘democratic and horizontal culture’ of new generations, the Korean business will be able to ameliorate inter-generational conflicts, increase the younger generations’ satisfaction of their work, and enhance their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in the long te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