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디자인에서 자연의 형태를 이용한 모방적 조형 연구

        왕운비 ( Wang Yun Fei ),박억철 ( Eokchul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우리 인간은 자연 속에 살면서 그 자연과 모든 물체가 어떤 색과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늘 보아 잘 알고 있다. 자연모방 분야는 자연이 가지고 있는 디자인적 요소들의 연구 및 모방을 통해 인간의 미적 형상을 추구하는 조형적 과제를 해결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모든 형상은 어떤 리듬이나 규칙적인 상호 관계 속에서 이루어져 있어 자연이 제시하는 조형적인 구조에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구조를 발견 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미적 측면에서도 새로운 시도가 가능하다고 본다. 자연모방 디자인은 디자인 문제 해결에 있어서 중요한 디자인 방식 중 하나로 응용범위는 최초의 자연과학 영역에서 현대 디자인학 영역으로 발전되었으며 제품디자인, 조형 활동에 많이 응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초 디자인에서 사용되는 조형방법들을 더 보완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디자인과 조형 프로세스를 활용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자연모방 디자인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 시 조형 요소 구성을 위해 자연 형태의 질서를 모방한 조형 접근 방법으로써 조형의 개념과 영역을 고찰하고, 자연 모방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자연모방의 정의와 그 용용 범위에 대하여 검증한다. 또한 자연계에서 발견된 형태 속에서 과학적인 질서의 구성과 활용도를 확인하면서 현 시점에서 나타나 있는 자연모방의 활용 사례를 기본으로 그 발전 가능을 검증하고 실제 제품디자인 연구에 활용케 한다. 이어 조사된 사례들을 유형별, 이미지 별로 분류하고 자연모방을 활용 시킬 수 있는 특징들을 파악하여 실제 적용 가능성을 점검한다. 이를 위해 자연모방에 관한 이론 및 관련 제품 디자인방법론을 고찰, 제품디자인 시 자연모방 디자인 방법의 원칙과 절차를 분석하고 자연모방 방법으로의 응용과정 및 디자인방법을 고찰한다. 끝으로 국내외 자연모방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한 경우와 조형의 특성에 적합한 활용 등 그 성격에 걸맞는 방향성을 모색한다. Living in nature, we humans have always seen objects in nature existing in harmony with their surroundings in certain colors and shapes. Nature imitation design aims to address human``s problems in their pursuit for aesthetics through study and imitation of nature``s design elements. All shapes found in the nature form a certain rhythm or a regular relationship, thus we can find rational and economic structures in the formative structures in the nature, and new attempts in aesthetic aspects of design is also possible through imitating nature``s forms. Nature imitation design is one of the important design methods utilized for design problem solving. Its scope of application has expanded from natural science to design study field, being used in a wide variety of product design and formative activities. Thus, this study aims to supplement the existing formative methods used in basic design and to study nature imitation design methods in a way to utilize effective design and formative process. It also examines the definition of nature imitation and its scope of application. In addition, it verifies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current nature imitation cases in order to apply them to real-life product design studies. The research cases in this study are divided by types and images, and their nature imitating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for actual applic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is, theories on nature imitation and related product design methodologies are studied, and principles and process of nature imitation in product design are analyzed. The nature imitation application process and design method is also studied. Lastly, the study introduces case studies from Korea and abroad where design problems are solved through nature imitation, and seeks new directions of nature imitation design.

      • KCI등재

        의료-ICT 융복합 헬스케어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사례 연구 - 당뇨 자기관리 모바일 앱 중심으로 -

        왕운비(Wang, Yun Fei),선섭희(Sun, Sup He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3

        최근 ICT 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다양한 의료-ICT 융복합 헬스케어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국내 당뇨병 환자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당뇨 자기관리를 위한 모바일 앱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당뇨 자기관리 앱 이용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니즈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당뇨 자기관리 앱들의 사용상의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ICT 융복합 헬스케어를 위한 모바일 앱을 개발함에 있어서ᅠ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구글 스토어 등록된 당뇨 자기관리 앱들을 조사하여 국내 앱 중 다운로드 수와 평점이 가장 높고 통합적 당료 관리 기능이 있는 2가지의 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 후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구조 설계 측면에서는 닥터다이어리 앱은 셀프 모니터링, 당뇨병 교육, 커뮤니티와 상품판매 중심으로 많은 정보 콘텍스트를 포함하고, 송아리당뇨는 셀프 모니터링 및 병원 진료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둘째, GUI 디자인 측면에서 두 앱은 전반적으로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었으나, 레이아웃 요소에서는 과다한 정보의 양, 컬러 요소에서는 정보 식별의 어려움과시각적 피로감, 타이포그래피 요소에 있어서는 전문용어의 생소함에 대한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해당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당뇨 자기관리 앱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자인과 사용성 평가에 있어서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various medical-ICT convergence health care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In addition, the use of mobile app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is also increasing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in the number of diabetic patients in Korea. This study started with a study on the analysis of problems in use of existing diabetes self-management ap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user interface design in developing medical-ICT convergence mobile healthcare. For this study, the domestic diabetes self-management apps currently registered in the Google Store were investigated, and the two apps with the highest number of downloads and ratings and an integrated glucose management func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erms of information structure design, the Dr. Diary app included many information contexts centered on self-monitoring, diabetes education, and community and product sales, while Songaree focused on self-monitoring and hospital treatment. Second, in terms of GUI design, the two apps were overall harmoniously composed. However, the problems of excessive amount of information in the layout element, the difficulty in identifying information and visual fatigue in the color element, an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terms in the typography element were derived, and improvement directions were suggested to solve the problem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useful basic data in the design and usability evaluation of the diabetes self-management app user interfac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