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DHD로 진단된 학생의 장점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점

        오재분 ( Oh Jae-bun ),김건희 ( Kim Keon-hee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통합학급에서 ADHD로 진단된 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ADHD로 진단된 학생의 장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중 ADHD로 진단된 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을 통해 수집된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심층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은 첫째, ADHD로 진단된 학생은 노력하려는 모습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둘째, ADHD로 진단된 학생은 하나 이상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세째, ADHD로 진단된 학생은 선호하는 것에 대해서 집중력을 보인다고 하였다. 넷째, ADHD로 진단된 학생은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모습을 가졌다고 하였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ADHD로 진단된 학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보이는 문제점에만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장점을 발견하려는 교사의 노력과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는 ADHD로 진단된 학생의 문제점의 개선에 많은 관심을 보여 왔지만, 앞으로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장점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두 가지 모두를 고려하여 ADHD로 진단된 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방법을 제공하고, 긍정적인 교육적 성장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trengths of students with ADHD are recognized and applied in educational environments, through the experiences of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instruct ADHD students in an inclusive class in H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These were recorded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and the interview transcriptions were analyzed inductively using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they yielded five main themes, based on teachers’ descriptions of the strengths of ADHD students. These are as follows. First, ADHD students are aware of their strengths and their weaknesses, and they try to improve. Second, they show outstanding performance in learning at least one area. Third, they like their friends and teachers and want to hang around with them. Fourth, they are free from formality. In general,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need for teachers to make efforts to understand ADHD children and explore their strengths. To achieve an educ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strengths of ADHD children requires improving teachers' recognition, and this suggests a need for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뇌 과학 이론에 기초한 보편적 학습설계 표상의 원리 및 교수 전략 탐색

        김용성 ( Kim Yong-seong ),이학준 ( Lee Hag-jun ),오재분 ( Oh Jae-bun ),윤정하 ( Yoon Jeong-ha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0 No.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네트워크 기반 표상의 원리와 관련된 인지심리학 및 인지 신경과학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보편적 학습설계 표상의 원리에 대한 교수 전략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보편적 학습설계의 인지적 네트워크와 표상의 원리에 관한 인지심리학 및 인지신경과학(뇌 연구)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후 연구 결과를 융합하여 보편적 학습설계 표상의 원리 교수 전략에 주는 방향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나누었다. [결과] 첫째, 사고 과정 시 발생하는 뇌 활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 자료, 제시 방법에 관한 내용을 추출하고 그 내용에 대한 위계적 수준을 파악하였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인지심리학 및 인지 신경과학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지각을 위한 다양한 학습 자료제공 전략, 언어, 수식, 기호의 다양한 선택 제공 전략,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선택 제공 전략에 대한 교수 전략을 제안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 이론의 검증과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교수 전략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뇌 과학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또한, 뇌 과학 연구 결과와 인지심리학 연구 결과와 융합하여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수업에 적용하는 연구를 지속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nstructional strategy on the principles of representation i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by analyzing cognitive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research results about principle of representation based on cognitive network. [Method] To do this, we analyzed cognitive psychological and research cognitive neuroscience(e.g., brain research) about cognitive network and principles of representation in UDL. After tha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area were converged and the directional implications about instructional strategy for principle of representation in UDL were divided as follows. [Results] First,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brain activity that occurred during the thinking process,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data and the presentation method were extracted and the hierarchical level of the extraction contents was grasped. Second, by integrating cognitive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research results, it proposed instructional strategy for guideline that provide option for perception, provide options for language, mathematical, expressions, and symbols, and provide options for comprehension. [Conclusion] This study raises the need for brain science research to provide concrete data for verification of universal learning design theory and development of universal learning design-based teaching strategy. It also raises the need to continue research that is applied to universal learning design-based classes by converging with brain science research results and cognitive psychology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자폐성장애(ASD) 대학생들의 수업참여에 대한 경험

        서인순(In Soon Seo),서은아(Eun A Seo),석민숙(Min Sook Seok),오재분(Jae Bun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ASD) 학생들의 대학생활 중 수업참여에 대한 경험과 구체적인 이야기를 듣고 이를 바탕으로 ASD 대학생들의 수업참여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ASD 학생 5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학교생활 경험 중 수업참여에 대해 당사자의 관점에서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면담 분석 절차에 따라, 면담 내용을 분석하고 범주화 하면서 그들 내면의 이야기를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핵심 주제를 도출하게 되었다. 1) 혼자서 스스로 해결하고자 함, 2) 더 잘 하고 싶은 마음, 3) 나에게 맞는 도움, 4) 힘든 성장의 발판, 5) 함께 때론 홀로인 조별 과제, 6) 동기 유발 상황과 상반되는 상황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하는 것은 ASD 대학생들의 수업참여에 대한 많은 개선이 요구 되고, 특히 ASD 대학생들은 시스템적인 지원과 함께 가까운 동료, 직계 선배, 교수님들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listened to the experiences and specific stories of ASD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es during college life, and based on this, we tri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ASD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es. Methods For this purpose, five ASD students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i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 concerned about their participation in class during their school life experienc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interview analysis procedure, and their inner story was derived.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key themes were derived. 1) To solve on my own, 2) A desire to do better, 3) Help that suits me, 4) A stepping stone for difficult growth, 5) A group task that is sometimes alone together, 6) A situation that is contrary to the motivational situ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ny improvements are required for class participation by ASD college students, and it was found that ASD college students especially need support from close colleagues, direct seniors, and professors as well as systemic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