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기안료가 컬러 콘크리트의 물성과 색도에 미치는 영향

        오영훈(YoungHun Oh),임오연(OhYon Yim)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3

        최근에는 노출콘크리트의 사용과 더불어 콘크리트의 질감이나 색상과 같은 디자인 요소를 다양화하기 위하여 컬러 콘크리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컬러 콘크리트의 제조 및 시공과정에서 소요 품질 및 색상을 확보하기 위한 재료선정, 배합계획 및 시공 관리상의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며, 외부 환경에서의 내구성능에 대한 평가가 검증되지 않아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일반 건축물에서는 컬러 콘크리트 타설을 피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내외장 재료로써의 컬러 콘크리트 사용성 및 안전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무기안료의 종류와 첨가량 변화에 따른 컬러 콘크리트를 제조하고, 굳지 않은 컬러 콘크리트의 슬럼프와 플로우 등의 작업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후, 건조된 후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경화 컬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분석한다. 그리고 경화 컬러 콘크리트의 착색율 및 발색도 등을 평가하기 위해 색도 등의 기초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색, 청색, 녹색의 3가지 착색재가 전체적으로 치환율에 상관없이 원래의 착색재와 같은 색상의 명도가 높고, 채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건축내외장의 주조색으로 사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화 컬러 콘크리트의 발색도는 색채에 따라 발색도의 치환율이 약간 달라지나 대체적으로 0.30%의 치환율에서 발색도가 양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with increasing the use of exposed concrete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olor concrete to diversify the use of exposed concrete with design elements such as texture and color to vary design elements, such as texture and color of concrete. However, there is a tendency to avoid color concrete in a general architectural building due to difficulties in material selection, mixture planning,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o secure required quality and color during production and construction of color concrete, and, moreover, due to lack of durability validation in an external environment. In this study, to increase the usability and soundness of the color concrete as an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color concrete were produced according the inorganic pigment and addition ratio, and the slump, flow and workability were evaluation in fresh concrete, and compressive strength was analyzed to evaluate safety of the dried concrete. And the basic color characteristics, such as chromaticity, was investigated to evaluate coloring ratio and color reproductionability of color concre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d, blue and Green pigments gave high brightness and less chroma as original pigment, regardless of replacement ratio, then they are highly available to be used as dominant color of in-external of architectural building. Color reproductionability was good in 0.30% replacement ratio, even slight variation according to the colors.

      • KCI등재

        토지피복 상태와 강수조건을 고려한 장기 지하수함양량 추정

        안승섭(Ahn Seungseop),이상일(Lee Sangil),오영훈(Oh Younghu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3 No.7

        강수량의 변화가 지하수 함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상 유역의 최근 30년간(1980년~2010년) 기상개황 자료로 SWAT모형을 이용하여 대표 강우년별(최다, 평균, 최갈수년) 수문인자를 도출하였으며, Markov Chain모형을 이용하여 추정된 토지이용 자료를 SWAT모형에 적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SWAT모형을 이용하여 본 연구대상지역을 대표 3개 유역으로 구분하고, 1975∼2010년까지의 기상자료에 년도별 토지이용 상태로 적용·분석한 결과, 적용 기간 평균 지하수 함양률은 30%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의 제주지역 지하수 함양량 분석연구에서 나타난 40-50%보다 훨씬 적은 값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투수성 다공질 지층이 제주지역의 지질특성을 고려하더라도 개발형태가 비투수성 포장형태이고, 개발된다면 육지지역과 같은 지하수함양특성과 비슷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Markov-chain을 이용한 장래토지이용상태를 분석한 결과 장래의 토지이용은 2000년 현재에 비해 산림 3.4%감소, 농경지 0.2% 증가, 수계 1.0% 증가, 도심지 0.5%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x land use data for a total of twenty five years were reviewed from 1975 to 2000 by dividing the period by 5-year unit; the land use variation was schematized; the watershed hydrological parameters were extracted by the representative rainfall years(maximum, average, driest year) by analyzing the recent thirty years"(from 1980 to 2010) climate data of the study region with SWAT model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ecipitation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recharge. In addition Markov Chain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future land use; the predicted land use was applied to study the effect of the land use vari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recharge. For the research of this, long-term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recharge were estimated for the study region; the obtained results can be described as follows. The study region was divided into typical three area using SWAT model; yearly land use conditions were applied to the meteorological data of 1975 to 2010 and analyzed, producing the average rate of groundwater recharge of 30% for the applied period. This number is way lower than that of the earlier studies on the groundwater recharge for Jeju Island, which is 40-50%. Thirty percent (30%) is low considering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Jeju, water-permeable vesicular strata, the reason of which must be the type of development is non-permeable paving.

      • RC T형 벽체의 횡보강 설계를 위한 변위기반설계법의 적용

        오영훈 ( Oh¸ Young-hun ),최창식 ( Choi¸ Chang-sik ),이리형 ( Lee¸ Li-hyung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6 No.1

        RC structural walls are frequently used as lateral force-resisting element in multi-story building construction because their stiffness and strength give a good protection against the damage and collapse of building structures. If RC structural walls are properly designed and proportioned, these walls can also behave as ductile flexural members like beams and columns in moment frames. To achieve this goal, the designer should provide adequate strength and deformation capacity of structural walls corresponding to each performance level. In this study, drift demand and extreme concrete compressive strain of T-shaped structural walls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displacement-based desig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termine available deformability for T-shaped structural walls with different longitudinal reinforcement ratio, distribution of longitudinal reinforcement, lateral confinement ratio and axial load rati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