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90년대 프랑스 연극장(場)의 입센 ‘번역’

        오영주(Oh, Youngju)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0

        20세기 후반기에 괄목할 두 사건이 번역학에서 일어났다. 하나는 원본의 절대적 권위가 와해된 것으로, 그로써 번역을 복제가 아닌 제2의 창조로 간주, 번역이 주체 구성의 실천이라는 점에 주목하게 되었다. 다른 하나는 ‘번역학의 문화적 전이’로, 이후 ‘번역’은 언어 사이의 이동뿐 아니라 그를 둘러싼 역학관계, 문화의 전이와 변용과 혼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그 지평이 확대되었다. 두 사건이 만나는 지점에서 번역연구는 원본-출발문화와 번역본-수용문화 사이에 암암리에 상정했던 위계를 무너뜨리고 번역주체의 욕망, 의지, 전략과 전술을 강조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번역학에서 이루어진 이러한 논의를 공유하면서, 1890년대 프랑스의 연극장(場)에서 행해진 입센 초기 번역을 고찰한다. 프랑스에서 입센의 소개와 번역은 상당히 늦게 시작되었다. 이는 북구와의 언어 · 문화적 거리 외에 당시 프랑스산(産) ‘잘 짜인 극’이 유럽 전체에서 누리던 호황과 명성 때문이었다. 반면 새로운 연극에 대한 열망에서 비롯된 자연주의 연극 운동이 이론에 버금가는 독창적이고 강력한 작품을 만나지 못한 채 막바지에 달했을 때, 독일에서 이룬 ‘자연주의자 입센’의 쾌거 소식을 접하고 시작된 번역은 텍스트 번역과 무대를 위한 번역 양쪽에서 집중적이고도 동시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입센이 자연주의 극이 내세운 대항마로 머문 기간은 2년 남짓이었다. 독일과 영국의 자연주의를 추동했던 입센극의 사회비판적 측면이, 프랑스 무대 위에서는 전취되어 있었기에 새롭거나 충격적이지 않았던 것이다. 자연주의 연극과 관련하여 입센 담론은 오히려 유전과 같은 과학적 정보나 배우의 연기를 비롯한 연출을 둘러싸고 형성되었다. 곧 입센은 자연주의 극에 대항하는 상징주의자들의 전유물이 되었다. 가히 창조적 오역이라 할 만한 프랑스 상징주의자들의 입센 번역은, 입센 자신이 반기지 않았던 것이지만, 20세기 현대주의적 입센비평에 이어져 흔적을 남기게 된다. Two remarkable events took place in translation studies in the late 20th century. One was the collapse of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original. The other was a cultural turn in translation studies. In the junction of the two events, translation studies undermined the hierarchy between the original/giving culture and the translation/receiving culture, coming to emphasize the desire, strategy and tactic of the translating subject. Taking into account such a new development in translation studies, this article explores the early translation of Ibsen in the drama field of 1890s France. The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of Ibsen made a very slow start in France. This was due not only to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stance between France and a Scandinavian country but to the popularity and fame the French ‘piece bien faite’ were enjoying in France and abroad. Yet the ‘piece bien faite’ could not repress the growing naturalist drama movement stemming from a great zeal for new dramas, and couldn’t produce an exemplary work living up to its theory. That’s why Ibsen’s work began to be intensively translated both in the literary and the theatrical world of France. Yet Ibsen held on as a representative of the naturalist drama for only about two years. This was because the kind of the social criticism of Ibsenian dramas, which drove naturalism in Germany and England, was not new or shocking in France as it had been preempted in that country. Ibsen was soon monopolized by symbolists who were opposed to naturalist dramas. The translation of Ibsen by French symbolists may well be called creative mistranslation. The symbolist twist of Ibsen with which he was not pleased left a significant footprint in the 20th contemporary critique of him. 20세기 후반기에 괄목할 두 사건이 번역학에서 일어났다. 하나는 원본의 절대적 권위가 와해된 것으로, 그로써 번역을 복제가 아닌 제2의 창조로 간주, 번역이 주체 구성의 실천이라는 점에 주목하게 되었다. 다른 하나는 ‘번역학의 문화적 전이’로, 이후 ‘번역’은 언어 사이의 이동뿐 아니라 그를 둘러싼 역학관계, 문화의 전이와 변용과 혼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그 지평이 확대되었다. 두 사건이 만나는 지점에서 번역연구는 원본-출발문화와 번역본-수용문화 사이에 암암리에 상정했던 위계를 무너뜨리고 번역주체의 욕망, 의지, 전략과 전술을 강조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번역학에서 이루어진 이러한 논의를 공유하면서, 1890년대 프랑스의 연극장(場)에서 행해진 입센 초기 번역을 고찰한다. 프랑스에서 입센의 소개와 번역은 상당히 늦게 시작되었다. 이는 북구와의 언어 · 문화적 거리 외에 당시 프랑스산(産) ‘잘 짜인 극’이 유럽 전체에서 누리던 호황과 명성 때문이었다. 반면 새로운 연극에 대한 열망에서 비롯된 자연주의 연극 운동이 이론에 버금가는 독창적이고 강력한 작품을 만나지 못한 채 막바지에 달했을 때, 독일에서 이룬 ‘자연주의자 입센’의 쾌거 소식을 접하고 시작된 번역은 텍스트 번역과 무대를 위한 번역 양쪽에서 집중적이고도 동시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입센이 자연주의 극이 내세운 대항마로 머문 기간은 2년 남짓이었다. 독일과 영국의 자연주의를 추동했던 입센극의 사회비판적 측면이, 프랑스 무대 위에서는 전취되어 있었기에 새롭거나 충격적이지 않았던 것이다. 자연주의 연극과 관련하여 입센 담론은 오히려 유전과 같은 과학적 정보나 배우의 연기를 비롯한 연출을 둘러싸고 형성되었다. 곧 입센은 자연주의 극에 대항하는 상징주의자들의 전유물이 되었다. 가히 창조적 오역이라 할 만한 프랑스 상징주의자들의 입센 번역은, 입센 자신이 반기지 않았던 것이지만, 20세기 현대주의적 입센비평에 이어져 흔적을 남기게 된다. Two remarkable events took place in translation studies in the late 20th century. One was the collapse of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original. The other was a cultural turn in translation studies. In the junction of the two events, translation studies undermined the hierarchy between the original/giving culture and the translation/receiving culture, coming to emphasize the desire, strategy and tactic of the translating subject. Taking into account such a new development in translation studies, this article explores the early translation of Ibsen in the drama field of 1890s France. The introduction and translation of Ibsen made a very slow start in France. This was due not only to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stance between France and a Scandinavian country but to the popularity and fame the French ‘piece bien faite’ were enjoying in France and abroad. Yet the ‘piece bien faite’ could not repress the growing naturalist drama movement stemming from a great zeal for new dramas, and couldn’t produce an exemplary work living up to its theory. That’s why Ibsen’s work began to be intensively translated both in the literary and the theatrical world of France. Yet Ibsen held on as a representative of the naturalist drama for only about two years. This was because the kind of the social criticism of Ibsenian dramas, which drove naturalism in Germany and England, was not new or shocking in France as it had been preempted in that country. Ibsen was soon monopolized by symbolists who were opposed to naturalist dramas. The translation of Ibsen by French symbolists may well be called creative mistranslation. The symbolist twist of Ibsen with which he was not pleased left a significant footprint in the 20th contemporary critique of him.

      • KCI등재

        플로베르와 프랑스대혁명

        오영주 ( Oh Youngju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6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08

        레비스트로스는 프랑스대혁명이 일종의 `신화`로 작동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대혁명이 단순히 과거에 발생한 사건의 연속이 아니라, 프랑스 사회의 미래 전망을 둘러싸고 정치사회적 구조를 해석하는 하나의 틀로 작동하는 한에 있어서는 `신화`라는 것이다 (「신화의 구조」(1955)). 사실 대혁명은 19세기 내내 그리고 이후에도 프랑스 정치에 있어 지고의 준거점이었다. 그것은 급변하는 19세기 프랑스 정치 체제를 반영하는 거울이었을 뿐 아니라, 각자의 정치적 신념과 비전이 근거하는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좌표였다. 플로베르가 대혁명에 대해 본격적으로 의견을 표명한 것은 『감정교육』 3부를 쓰기 시작한 1868년부터 보불전쟁이 발발하고 그 후속 국면이 전개된 1870-1871년 사이에 집중되어 있다. 그의 서한집에서 대혁명에 할애된 페이지는 많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혁명에 대한 플로베르의 관점은 당대의 정치·사회적 사건에 대한 그의 입장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며, 더 나아가 자기 시대에 대한 지칠 줄 모르는 비판가였던 플로베르 역시 19세기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보여주기도 한다. 본 연구는 우선 1866년을 기점으로 대혁명에 대한 플로베르의 관점이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그는 왜 대혁명을 미래에 대한 약속으로 간주하길 그치고 과거의 화석으로 생각하게 되었는가 ? 이어 연구는 보불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그의 편지에 끊임없이 등장하는 `프랑스 대혁명의 종말`이라는 수수께끼 같은 표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다. 또한 파리코뮌에 대한 그의 단언들로부터 자신을 `뼛속들이 혁명주의자`라 간주했던 플로베르가 기실 `지금, 여기서` 진행되고 있는 혁명에 대해서 느꼈던 불편함에 대해 살펴본다. 더불어, 보불전쟁 시기에 그가 주장한 `망다렝 정부`에 대한 언술을 통해 정치와 과학에 대한 그의 생각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는 1870년대 공화정이 확립되는 과정에서 플로베르가 가졌던 대혁명과 공화정에 대한 입장을 살펴본다.

      • KCI등재

        Visual Thinking을 활용한 교양영어 강의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오영주 ( Youngju 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수업이 대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67명의 농수산대학교의 교양영어를 선택한 대학생이 연구에 참가했다. 연구도구는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이다. 성별에 따라 visual thinking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했으며, 수업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흥미도, 효과성, 추후 활용도, 만족도 영역에서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사후 검사 결과 흥미도, 태도, 불안도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여학생이 사후검사와 효과성 영역에서 불안도 감소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어 강의에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첫 번째 연구라는 것에 의의가 있지만, 추후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classes using visual thinking on college students. There were 67 students in National college Agriculture and Fisheries who participated in experiment. Research tools ar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paired T test.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differences in visual thinking scores depending on gen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I conducted the paired T test.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are shown high average values in areas of interest, effectiveness, later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It also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interest, attitude, and anxiety after the post examination. Particularly, female students indicated less in anxiety in the area of post-examination and effectiveness. Although it is meaningful to use visual thinking in English lecture, I hope to have more study to be done.

      • KCI등재

        포스트휴먼을 꿈꾸는 냉소주의

        오영주(Oh, Youngju)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8

        포스트휴먼 담론이 문학과 영화를 참조할 때 주로 대상으로 삼는 장르는 과학픽션이다. 그런데 과학픽션의 ‘공상’이 빠른 속도로 현실화되고 있는 20세기 말부터, 사회풍속 소설 전통에 충실한 작품에서도 포스트휴먼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미셸 웰벡의 『소립자』와 『어느 섬의 가능성』이 그 한 예이다. 두 소설은 현생 인류와 작별을 고하는 희망 외에는 어떠한 희망도 없어 보이는 세계를 그리면서, 이 희망 없는 휴먼과 담판을 짓기 위해 유전자의 우생학적 수정을 통해 복제된 포스트휴먼의 세계를 상상한다. 그런데 일견 ‘신’과 같은 포스트휴먼의 도래를 알리는 『소립자』와 달리, 『어느 섬의 가능성』에서 포스트휴먼의 세계는 ‘천국 같은 지옥, 지옥 같은 천국’으로 그려진다. 더구나 『어느 섬의 가능성』은 등장인물이 포스트휴먼의 세계를 견디지 못하고 탈퇴하는 것으로 끝난다. 웰벡의 포스트휴먼 사회의 구상이 유토피아에서 디스토피아로 선회한 이유는 무엇인가? 동일한 질문을 던졌던 한 연구는 그 이유를 소설의 내적 필요성, 미학적 요청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선회의 보다 근본적인 까닭은 현 인류문명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과 입장에 있는 듯하다. 더 나아가 『소립자』가 과연 포스트휴먼 유토피아를 지시하는지도 의문스럽다. 본 연구는『어느 섬의 가능성』의 <삶의 이야기>의 화자인 다니엘1의 인물 분석을 바탕으로, 슬로터다이크가 ‘우리 시대의 시대정신’이라 명명한 냉소주의가 포스트휴먼을 꿈꾸고 사유하는 방식과 딜레마를 이 소설이 인물, 작가, 작품의 차원에서 뛰어나게 드러내고 있음을 밝힌다. 이를 통해 논문은 포스트휴먼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 사이에서 분열되어 있는 우리 시대를 진단한다. Michel Houellebecq’s Les particules elementaires and La possibilite d’une ile can be classified as sf"s (speculative fiction) which adhere faithfully to the tradition of novels of manners and simultaneously contain the elements of science fictions predicting future societies based on technological developments. We pay attention to these two novels because the former heralds the arrival of the post-human like “God” in its epilogue, while the latter puts forward the world of the “neo-humain” as “hell like heaven and heaven like hell.” How can we explain such a shift from a post-human utopia to a dystopia? Such a shift in Houellebecq’s conception of a post-human society based on genetic engineering may be explained by the dictates of the aesthetics of “vraisemblance.” More fundamentally, however, it appears that it should be explained by a certain intellectual trait Peter Sloterdijk calls “Kritik der zynischen (cynical reason).” Analyzing Daniel1, the main character in La possibilite d’une ile, this article examines in what ways the post-human is dreamed of and conceived by today’s confused minds divided between the expectation and fear of the post-human, especially by cynicism, the “Zeitgeist of our time” and what kinds of dilemmas the dreams and conceptions face. 포스트휴먼 담론이 문학과 영화를 참조할 때 주로 대상으로 삼는 장르는 과학픽션이다. 그런데 과학픽션의 ‘공상’이 빠른 속도로 현실화되고 있는 20세기 말부터, 사회풍속 소설 전통에 충실한 작품에서도 포스트휴먼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미셸 웰벡의 『소립자』와 『어느 섬의 가능성』이 그 한 예이다. 두 소설은 현생 인류와 작별을 고하는 희망 외에는 어떠한 희망도 없어 보이는 세계를 그리면서, 이 희망 없는 휴먼과 담판을 짓기 위해 유전자의 우생학적 수정을 통해 복제된 포스트휴먼의 세계를 상상한다. 그런데 일견 ‘신’과 같은 포스트휴먼의 도래를 알리는 『소립자』와 달리, 『어느 섬의 가능성』에서 포스트휴먼의 세계는 ‘천국 같은 지옥, 지옥 같은 천국’으로 그려진다. 더구나 『어느 섬의 가능성』은 등장인물이 포스트휴먼의 세계를 견디지 못하고 탈퇴하는 것으로 끝난다. 웰벡의 포스트휴먼 사회의 구상이 유토피아에서 디스토피아로 선회한 이유는 무엇인가? 동일한 질문을 던졌던 한 연구는 그 이유를 소설의 내적 필요성, 미학적 요청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선회의 보다 근본적인 까닭은 현 인류문명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과 입장에 있는 듯하다. 더 나아가 『소립자』가 과연 포스트휴먼 유토피아를 지시하는지도 의문스럽다. 본 연구는『어느 섬의 가능성』의 <삶의 이야기>의 화자인 다니엘1의 인물 분석을 바탕으로, 슬로터다이크가 ‘우리 시대의 시대정신’이라 명명한 냉소주의가 포스트휴먼을 꿈꾸고 사유하는 방식과 딜레마를 이 소설이 인물, 작가, 작품의 차원에서 뛰어나게 드러내고 있음을 밝힌다. 이를 통해 논문은 포스트휴먼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 사이에서 분열되어 있는 우리 시대를 진단한다. Michel Houellebecq’s Les particules elementaires and La possibilite d’une ile can be classified as sf"s (speculative fiction) which adhere faithfully to the tradition of novels of manners and simultaneously contain the elements of science fictions predicting future societies based on technological developments. We pay attention to these two novels because the former heralds the arrival of the post-human like “God” in its epilogue, while the latter puts forward the world of the “neo-humain” as “hell like heaven and heaven like hell.” How can we explain such a shift from a post-human utopia to a dystopia? Such a shift in Houellebecq’s conception of a post-human society based on genetic engineering may be explained by the dictates of the aesthetics of “vraisemblance.” More fundamentally, however, it appears that it should be explained by a certain intellectual trait Peter Sloterdijk calls “Kritik der zynischen (cynical reason).” Analyzing Daniel1, the main character in La possibilite d’une ile, this article examines in what ways the post-human is dreamed of and conceived by today’s confused minds divided between the expectation and fear of the post-human, especially by cynicism, the “Zeitgeist of our time” and what kinds of dilemmas the dreams and conceptions face.

      • KCI등재

        프랑스는 왜 포스트휴먼 담론을 불편해하는가 - SF 문학장(場)과 특징을 통한 고찰

        오영주 ( Oh Youngju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7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10

        Les discours posthumains se sont largement repandus a partir des annees 1990. Les Anglo-saxons en ont quasiment le monopole avec leurs theories et leurs arguments. Par contre, en ce domaine, les intellectuels francais sont presque inaudibles et invisibles ; leur malaise dissimule face a ces discours se manifeste sous forme de moquerie, de mepris ou d`angoisse. D`ou vient-il ? Notre etude vise a en prendre la mesure a travers la SF francaise, etant donne que ce genre est un domaine privilegie du posthumain, qu`il fournit des exemples de son deploiement potentiel en stimulant l`imagination scientifique et technique. Nee a la fin du 19<sup>e</sup> siecle en Europe sous l`egide de ses deux peres fondateurs, Jules Verne et Herbert George Wells, developpee et transformee avec succes aux Etats-Unis dans la premiere moitie du 20<sup>e</sup> siecle, la SF a fait son retour sous forme de ≪ genre ≫ litteraire en France apres la Seconde Guerre mondiale. Entretemps, le pays de Verne a vu la floraison du ≪ roman merveilleux-scientifique ≫ et du ≪ roman d`anticipation ≫, de style vernien, mais sans repercussions significatives sur la societe. L`histoire de la SF francaise a partir de l`≪ invasion ≫ de la SF americaine, est celle du combat pour la reconnaissance de ce genre litteraire comme tel et de la specificite des textes et des auteurs francais. Cependant la SF francaise n`a jamais obtenu, en France meme, l`autorite et la consideration dont la SF americaine jouit partout dans le monde. Cette infortune est liee au developpement de la litterature en France, a l`autorite de la litterature francaise dans la ≪ Republique mondiale des Lettres ≫ (Pascal Casanova), qui impose son schema directeur aux diverses formes litteraires : une fracture de plus en plus affirmee entre deux mondes, celui de la litterature des intellectuels et celui de la litterature de masse. Les tentatives de resorption de cette fracture ont beau etre nombreuses, elle s`est maintenue assez fortement pour deboucher sur le concept de ≪ paralitterature ≫, enfermant la SF, ainsi que quelques autres genres, dans un ghetto. Contrairement a la SF americaine, qui a suivi sa voie independamment de la grande litterature et evite d`etre reduite a une categorie “sous” ou “para”, la SF francaise a ete constamment contrainte, par ≪ le jacobinisme culturel ≫ (Gerard Klein), de se definir par rapport a la litterature de la grande tradition. D`ou le caractere ≪ litteraire ≫ de la SF francaise et la critique faite aux Francais de cantonner dans des frontieres de sous-prefecture le domaine de la SF, quand les Americains l`elargissent au niveau cosmique. Pour ceux-ci, les valeurs de la SF ne resident pas dans le sentiment raffine et eleve que la didactique esthetique eveille, mais dans le bouleversement de la sensibilite et l`extase provenant de la sensation de sortir des limites connues de l`humain. La ≪ sous-prefecturation ≫ de la SF francaise ne tient pas seulement a son souci d`etre litteraire, mais aussi a l`imagination de cloture ou d`enfermement qui la caracterise, et lui donne une unite, de Cyrano de Bergerac aux auteurs les plus recents du genre en passant, bien sur, par Jules Vernes. En decortiquant l`analyse du monde vernien faite par Barthes (≪ le monde peut tout tirer de lui-meme, il n`a besoin, pour exister, de personne d`autre que l`homme ≫) et la formule de Pascal sur la centralite de la pensee (≪ Toute notre dignite consiste donc en la pensee. C`est de la qu`il faut nous relever et non de l`espace et de la duree, que nous ne saurions remplir ≫), notre etude fait entrevoir l`origine de cette imagination d`enfermement : le cogito cartesien dont la metaphysique n`a aucun besoin de l`exterieur. Les discours posthumains se partagent schematiquement entre transhumanisme et posthumanisme critique, deux tendances qui ont des preoccupations et des philosophies differentes et voire opposees. Cepedant ils s`accordent generalement sur le point que l`humain a venir ne sera pas l`homme defini par l`Humanisme moderne. Si la SF est un espace privilegie du posthumain, c`est parce qu`elle ebranle souvent la frontiere entre l`humain et le non-humain et qu`elle offre l`occasion de definir l`homme a travers une vision qui n`est plus humaine. Les discours posthumains sont ceux du ≪ devenir-non-humain ≫. L`insucces de la France dans le domaine de la SF et celui des discours posthumains est correlatif de la maniere de penser propre a la culture francaise, impregnee du cogito cartesien et captive d`un sujet pensant trop anthropocentrique. Le ≪ devenir ≫, au sens deleuzien, ne s`accomplit pas par la res cogitans, c`est-a-dire la volonte de saisir la verite et l`utilisation methodique de la pensee, mais a travers la res extensa, c`est-a-dire l`experience et l`experimentation. Le jardin a la francaise est-il trop geometrique et trop humain pour rencontrer ce qui n`est pas humain ?

      • KCI등재

        『미래의 이브』, 인간과 기계의 흔들리는 경계 - 포스트휴먼 담론의 역사성에 대한 하나의 고찰

        오영주 ( Oh Youngju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7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109

        Dans la civilisation chretienne occidentale, l`homme se tenait au sommet de `la grande echelle des etres`. L`idee d`une place privilegiee de l`homme suppose une discontinuite fondamentale entre l`etre humain et les autres etres. L`histoire de la science demontre pourtant que cette discontinuite (terre/univers, humain/animal, moi/inconscient) est seulement historique. Aujourd`hui, la techno-science met fortement en doute `la quatrieme discontinuite`, celle entre la machine et l`humain ; l`hominisation de celle-la (intelligence artificielle, humanoide) et la machinisation de celui-ci (prothese, clonage humain) justifient le point de vue posthumain, d`apres lequel l`homme et la machine sont a considerer dans le meme spectre. Voulant envisager l`historicite de ce point de vue, notre etude vise a montrer en quoi L`Eve future (18866) de Villiers de l`Isle-Adam esquisse une remise en question prefigurant un lointain changement d`epistemologie. L`Eve future raconte la fabrication d`une androide par Edison, icone de `l`epoque de l`electricite`. L`ingenieur essaie de persuader un ami qui envisage de se suicider du fait de l`inculture et de la sottise de la femme qu`il aime, de la remplacer par une parfaite copie dotee d`une grande intelligence. Dans un premier temps, nous examinons la science et la technologie de l`epoque - les techniques reelles, leur articulation, leur somme - qui rendent possible d`imaginer une machine humanoide parfaite : l`androide d`Edison est un etre lisse, fluide, naturel et meme sublime ; cette `Imitation-Humaine` parfaite est l`aboutissement de la logique poussee a l`extreme des savoirs scientifiques et de leur application technique : l`electricite et la photo-cinematographie. Dans un deuxieme temps, nous considerons la mise en cause de l`idee de `nature`, la nature qui se fait reconnaitre comme constante eternelle. La cause originaire de la creation d`Edison tient a sa reaction devant le mensonge d`une femme qui se constitue en artefact tout en prenant le masque de `la nature` : sa creation consiste seulement a passer de la facticite d`une nature rectifiee par des artifices plus ou moins astucieux, a l`authenticite d`un humain ouvertement artificiel. Pour Edison, il n`y a pas de `nature` humaine, critere fixe et eternel pour definir l`humain. L`Eve future est digne, comme le note Villiers, de la `legende moderne`, en ce sens que l`idee de naturalite spontanee a fait son temps, qu`elle s`est averee un reve naif. Dans un troisieme et dernier temps, nous eclairons en quoi L`Eve future marque l`amorce de la transition de la modernite a la posthumanite ; sous l`idee d`Edison que l`homme peut tomber amoureux d`une machine et que de plus seule une machine peut combler l`amour ideal, on peut voir les premices du saut qualitatif de la `co-individuation` de l`homme et de la machine dans l`histoire de la modernite : l`environnement technique, autrement dit la machine, devient lui-meme une metaphore du comportement humain.

      • OD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다중 계층 래디얼 테이블

        김석열(Seokyeol Kim),오영주(Youngju Oh),박진아(Jinah Park)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OD(origin-destination) 데이터는 특정 지점 간의 인적, 물적 흐름을 파악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필수적인 자료 중 하나이다. 그러나 OD 데이터는 대부분 그 분량이 방대하고 수치적 표현에 의존하기 때문에 분석자가 이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에 대한 시각적 분석 기법의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래디얼 테이블(Radial Table)과 페러렐 셋(Parallel Sets)의 표현 양식을 결합한 OD 데이터 시각화 기법을 제안한다. 래디얼 테이블은 원형 레이아웃 기반의 데이터 시각화 기법으로써 특유의 심미성과 직관성을 가지나, 본래 단일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점과 종점의 구분 및 비교가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우리는 여기에 패러렐셋의 시각적 구조를 도입하여 기점과 종점을 동심원 형태의 다중 계층으로 분리하고 이들 계층 간의 이동량을 곡선형의 연결선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공공데이터 공유 서비스로부터 수집된 실제 데이터셋을 적용하여 제안한 기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자는 원형 레이아웃 상에서 기종점 항목 간의 이동 패턴과 규모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나아가 관련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D (origin-destination) data represent the movement of people or goods between geographical points, and play important roles in establishing policies for migration and transportation. However, since most of raw OD data are very massive and written in unintuitive form, it is difficult to grasp meaningful information from the data themselves especially without visual aids. We propose an effective visualization method for the OD data by combining the key features of Radial Table and Parallel Sets. Radial Table is an intuitive and aesthetically attractive data visualization technique based on a circular layout, but it is unfit to visualize the OD data due to its single-layered structure. To overcome its limitation, we refer to the visual structure of Parallel Sets and divide the original Radial Table into multiple concentric layers which contain origins and destinations separately. Each pair of the origin and destination is connected by a B-spline curve, and it indicates a direction and a scale of the flow. Also we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by implementing and applying to real-world datasets. In this way, our method will help an analyst understand the pattern and volume of traffic at a glance, and support a decision making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