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을 위한 행복 연수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조사

        오소라(So-ra Oh),서현아(Hyun-ah Seo),하지민(Ji-min Ha),한희정(Hee-jung Han)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5 창조와 혁신 Vol.8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행복 증진을 위해 행복 연수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봄으로써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교사로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행복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은 현재 자신의 삶에 대해 행복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둘째, 행복 연수 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유아교사들은 행복관련 연수 및 교육은 필요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셋째, 행복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알아본 결과 연수 진행자로는 ‘행복 교사교육 전문가’를 원하고 진행형식은‘ 워크샵 및 세미나’ 형식을 선호하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행복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바탕으로 중요성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give basic data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exploration of awareness and demands about development of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To get results, 243 infant teachers conducted a survey and we analyzed their needs about the programs for the promo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life and they feel happy. Second, they need training and education related to happiness. Third, they want experts as a training instructor to educat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happiness. And they want workshop or seminar format in prog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demands and needs, we were discussing importance and implications regarding training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on this research study.

      • KCI우수등재

        소도구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 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 발달에 미치는 영향

        오소라(So Ra Oh),서현아(Hyun Ah Seo),하선혜(Seon Hye Ha) 한국아동학회 2013 아동학회지 Vol.34 No.1

        This study proposes to find out what effects physical effort using props has on infants` ability in relation to their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nd physical self-concept. This study targets three-year-old preschoolers who attend S and T nursery located in Yeonje Busan of which 16 belong to an experimental group.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e study are the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test by Kim Eun-Shim(1994) which is the modified version of Bae Hyun-Suck`s testing tool(1990) and an altered version of the questionnaire focusing on physical self-concept by Whang Sun-Gack(2001). The experimental group is divided into a large and small sub-group and then physical activities involving props are done by these divided experimental groups once or twice a week for 12 weeks while outdoor activities are carried out with the comparison group once or twice a week for 12 weeks. For both groups a total of 20 experiments are done. To obtain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an individual version of the T-test is conducted using means and standard variations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the physical efforts of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props reaped more positive effects as regards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than the comparison group 2) the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nts` physical self-concept is also more evident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 KCI등재후보

        탄소발자국 줄이기 기후변화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오소라 ( So Ra Oh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1

        본 연구는 기후변화교육을 위한 탄소발자국 줄이기 기후변화교육이 초등학교 4학년생들의 환경태도에 대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과 2007 개정교육과정의 4학년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여 기후변화와 관련된 교육 내용을 추출한 다음, 탄소발자국 개념을 접목한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습현장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학습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된 검사지는 김인호 외(2000)가 개발한 설문지를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정량적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정량적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연구자의 관찰, 학생의 포트폴리오와 면담을 통해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기후변화에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고 재구성하여 탄소발자국 줄이기 학습프로그램을 구안 및 적용하였다. 둘째, 탄소발자국 줄이기 학습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환경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환경일반, 환경오염, 기후변화, 에너지 등 주제별 사전ㆍ사후검사에서도 실험집단 학생들은 유의한 교육적 효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탄소발자국 학습프로그램은 환경태도의 구두진술영역, 활동진술영역, 정서영역간 정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회귀분석을 통하여 기후변화교육 후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환경태도 변인은 구두진술영역이었으며, 정서영역, 활동진술영역 순으로 환경태도 형성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정성적 평가를 통해 학생들은 기후변화 원인에 대하여 인지하여, 탄소발자국을 줄일 수 있도록 실천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등 탄소발자국 줄이기 학습이 실험집단의 환경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탄소발자국 줄이기 학습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가능하며, 기후변화교육 관련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환경지표인 탄소발자국 개념을 기반으로 한 학습프로그램은 교육적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차후 이와 관련된 심층적인 연구와 교수ㆍ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the reducing carbon-footprint on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4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experiment was made progress as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the learning program was applied to a class for two hours every week in discretionary activity class for 6 weeks. A re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Kim et al(2000)` s test tool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appling a learning program.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results. Additionally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an observation of students` attitudes and a conversation with students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velop and apply for learning program to reduce carbon-footprint by extracting and recreating the climate change-related content of 4th graders. Second, this learning program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1) on the environmental attitudes including effect on 3 subdomains of verbal commitment, actua1 commitment and affect. Also, this program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on climate change-related four topics containing general environment, environmental pollution, climate change, energy(p<.01, p<.001). Third, this learning program had a positive correlation(from .548 to .630) among the 3 subdomains of environmental attitudes. So, students who hold verbal commitment showed good effect on the actual commitment and affect. And,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s verbal conunitment, affect and actual commitment follows. Fourth, according to qualitative results, students appear to be more concerned on the climate change, which offers practical solution to reduce carbon-footprint through cognition on the cause of climate change after receiving the learning. In conclusion, the carbon footprint reducing learn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 vironmental attitude. Therefore, it is demanded that more intensive research on this study should be done, linking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follow-up activitie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자기분화 및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하지민 ( Ji Min Ha ),서현아 ( Hyun Ah Seo ),한희정 ( Hee Jung Han ),오소라 ( So Ra Oh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기분화 및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자기분화와 자아존중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자기분화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자기분화 및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각각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중다선형 회귀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분화와 자아존중감 하위변 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는 자아존중감이 자기분화에 비해 설명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한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243 early childhood teachers, answered the Self-Differentiation Scale, Self-Esteem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otal and subscale scores of self-differentiation,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from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of the variables, self-esteem had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an self-different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