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3의 재산으로서 데이터의 체계적 정립

        오병철(OH, Byoung-cheol) 한국정보법학회 2021 정보법학 Vol.25 No.2

        ‘디지털 데이터’라는 새로운 거래 객체가 현대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았으나, 우리 민법은 이에 대해 어떠한 규정도 두고 있지 않다. 법학에서 디지털 데이터의 법적 규율에 대해 다수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다만 데이터의 성격이 매우 다양하고 이질적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명확한 유형 구분 없이 통합적으로 고찰하려고 노력하였기에 어려움과 혼란을 야기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를 “인지적 노동의 결과인 관념”으로 개념정의하고, 데이터를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그 하나는 데이터의 대상이 존재하고 그 대상을 관찰하거나 대상으로부터 도출되는 ‘추출적 데이터’이고, 다른 하나는 데이터의 대상이 존재하지 아니하고 사람에 의해 창작적으로 생성되는 ‘창조적 데이터’이다. 추출적 데이터는 다시 대상에게 가역적 영향을 주는 데이터와 대상에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데이터로 구분하여, 전자는 그 데이터를 대상에게 귀속시키고 후자는 데이터의 추출자에게 귀속시키는 귀속결정론을 제시하였다. 또 창조적 데이터는 창조를 위한 인지적노동의 댓가로 생성자에게 귀속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의 귀속은 데이터를 배타적으로 지배하는 절대권으로서 이론 구성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물건에준하는 제3의 권리객체로 체계화하였다. 이로서 민법상 공백상태에 있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재산권을 새롭게 형성하려는 시도를 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데이터 유통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a new object of trade named ‘digital data’ has settled as the essentials of the modern life, the Korean Civil Law, nevertheless, does not put any regulation on digital data. In the realm of legal studies, multiple pieces of research on the legal regulation of digital data have been conducted and accomplished meaningful outcomes. However, such studies endeavored to form an integrative study on a unitary concept of ‘data’ even though the natures of data vary wildly and are heterogeneous, causing confusion and dilemmas. This paper conceptually defined data as an “idea that is a result of cognitive labor”, and classified data into two broad categories. One is ‘extractivedata’, which is extracted from an object itself or from observation of an object when the object of the data exists; the other is ‘creative data’, which is creatively formed by a person when an object of the data does not exist. One is ‘extractive data’, which is extracted from an existing object itself or from observation of the object, and the other is ‘creative data’, which is creatively formed by a person when there does not exist an object of the data. The paper again categorized extractive data into the data that has reversible impacts on its object and the one that does not, and proposed legal belonging theory. where the former extractive data belongs to the object, and the latter belongs to the extractor of the data. This paper proposed legal belonging theory, where extractive data is categorized into the data that has reversible impacts on its object and the one that does not, the former of which belongs to the object, and the latter belongs to the extractor of the data. Furthermore, it intended to attribute creative data to the creator as remuneration for the cognitive labor that enabled the creation. In addition, this paper theorized the legal belonging of these types of data as the absolute right to exclusively control the data, and thus systematically defined digital data as the third object of rights, equivalent to real thing. These are attempts to newly form the right of ownership over digital data that is currently in the vacancy state as defined on the Korean Civil Law, based on which consequences such as obtaining a stable data distribution and use can be expected.

      • KCI등재

        유언을 뒤늦게 발견한 경우의 법률관계

        오병철(OH, Byoung-Cheol) 한국가족법학회 2014 가족법연구 Vol.28 No.1

        It is very important for an heir or interested parties to know the existence of a will. There is no system that enables the heir or interested parties to be aware of the existence of a will in Korean civil law. Thus, it is possible to find a will after proceeding an intestate succession without the awareness of the existence of a will for a long period of time. When an intestate succession is proceeded without knowing the existence of a will, a complex problem may occur in the case of ① period of filing an action of denial of paternity by will, ② comprehensive gift or real estate by will, ③ specific gift by will, ④ designation of a method for division of succession, and ⑤ prohibition of division of succession. In this research,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In legal theory, followings conclusion are suggested: necessity ① to limit a period of filing a denial of paternity to up to two years after the date a will was completed, ② to disable a request for the recovery of inheritance of a person who receives specific gift by will if comprehensive gift by will is found over 10 years after the death of the testator, ③ to oblige an executor of will to bear liability of compensation without fault by incurring original claim of family law in spite of the contractual effect of specific gift by will, ④ to acknowledge the effect of a partition by agreement for every heir when the partition is proceeded without knowing the designation of division of succession or prohibition on division of succession by will. Finally, legislatively, I proposed ① to allow transfer of an equal real right to specific gift by will as comprehensive gift by will, and ② to introduce a register of will. Besides, I also presented theory of legislation that establishes ③ the starting point of reckoning for denial of paternity by a will, ④ responsibility for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of specific gift by will, ⑤ force of a will to designate a method for division of succession, and ⑥ effect of partition by agreement against prohibition of division of succession in the civil code.

      • KCI등재

        유언의 취소

        오병철(OH Byoung Cheol) 한국가족법학회 2011 가족법연구 Vol.25 No.3

        Whether a will can be avoidable based on fraud, duress or mistake should not be determined indiscriminately. This question can be solved according to kind of contents of a will. When a testator makes a will which contains a denial if paternity, an acknowledgement of paternity or the designation of guardian by fraud, duress or mistake, a will is invalid for lack of real intention. However If a will contains prohibition of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designation of method of division, establishment of foundation, testamentary gift or appointment of executor, a will can be avoidable by inheritors. They also ratify a voidable will. Korean Civil Code section146 should be so for the period which inheritors can execute the right. The executor of a will can’t execute the right of cancellation. The inheritors should execute the right of cancellation to whom gets the benefit from will directly.

      • KCI등재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의 구체적 해석론과 개선방안

        오병철 ( Oh Byoung Cheol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7 연세법학 Vol.29 No.-

        위치정보법은 우리나라가 최초로 입법한 세계적으로도 독특한 법률이다. 위치정보법은 위치정보의 보호와 활용의 조화를 목적으로 하지만, 실제로는 위치정보의 보호에 치중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사람의 프라이버시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단순한 사물의 위치정보도 법적으로 강한 보호를 한다는 점을 지적받고 있다. 위치정보서비스사업도 위치정보주체로부터 직접 위치를 수집하는 위치정보사업과 위치정보사업자로부터 위치정보를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사업으로 구분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IoT환경이 도래함으로써 위치정보의 중요성과 위치정보서비스의 필요성은 증대하고 있다. 현재와 같은 철저한 동의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사업의 체계가 IoT환경에 적합한 것인가는 의문이다. 특히 개인정보와 밀접한 관계가 없는 위치정보에 대해서는 현재의 강한 규제를 최대한 완화하여야 할 것이다. 그래야만 위치정보의 보호와 활용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 위치정보법의 목적을 완전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Location Data Act is a globally unique law that Korea legislated unprecedentedly. The Location Data Act is aimed at the balanced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location data, but in practice it is criticized to be weighted towards the protection of location data. Especially, it is pointed out that the robust legal protection also applies to location data of simple objects that are irrelevant to human privacy. Location data service business is distinctively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Location data business that collects coordinates directly from the subjects of the location data and location based service business that takes location data from the location data business operators to provide a service. The arrival of the IoT environment has caused greater importance of location data and increased necessity for location data service.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data business system that is based on thorough consent is suited for the IoT environment. The present strict regulation on location data with no close relation with personal information, in particular, should be eased to a minimal degree. Through the deregulation, the objective of the Location Data Act to balance between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location data will be wholly achieved.

      • KCI등재후보

        미국의 휴대전화 전자파 관련 규제 및 소송과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오병철 ( Byoung Cheol Oh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法學硏究 Vol.24 No.4

        미국의 전자파 인체유해성 관련 소송은 크게 두 가지 점에서 논란이 되어 왔다. 그 하나는 과학적 증거에 관한 전문가증인의 증거능력과 관련하여 Daubert원칙의 적용상의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FCC의 인체보호기준을 다투는 것으로 보아 연방법 우선의 Preemption의 문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들은 미국의 소송법과 연방제도에 기인하는 독특한 문제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문제이다. 그러나 미국의 전자파 인체유해성에 관한 법규와 소송에서 근본적인 문제인 휴대전화의 전자파가 인체에 과연 유해한 것인가는 여전히 우리나라에서도 논란의 대상이 된다. 향후 우리나라에서 전자파 인체유해성에 관한 소송이 제기된다면, 인과관계의 증명이 핵심적인 관건이 될 것이다. 다만 정부가 규정하는 인체보호기준을 준수하는 휴대전화의 전자파가 과연 유해한 것인지의 ‘원인의 해성(害性)’에 대한 철저한 규명 없이, 원고의 인과관계의 증명책임을 완화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American lawsuits on the harmful effect of electromagnetic waves on a human body have been controversial with two main issues. The first issue is the application of Daubert principle on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by an expert witness for scientific evidence and the other issue is the preemption of federal law in arguing over the EM body protection standards of FCC. Since these issues are unique problems that are due to the legal procedure law and federal system of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y are not controversial in Korea. The key issue of electromagnetic controversy in Korea is whether electromagnetic of a mobile phone is harmful to a human body, as this is the fundamental question in the U.S. regulation and lawsuits on the harmful effect of electromagnetic waves on a human body. If a lawsuit about the harmful effect of electromagnetic waves on a human body is brought to the court in the future, the proof of a causal relationship will be crucial.

      • KCI등재

        일상가사대리권과 일상가사채무 연대책임과의 관계

        오병철(Byoung Cheol Oh) 한국가족법학회 2007 가족법연구 Vol.21 No.2

          From a viewpoint of comparative legal study, Korean civil law uniquely has provisions of mutual agency of wife/husband for family matters(section 827) and joint debt of household affairs(section 832). However the relation of those provisions still remains a problem under discussion, there are some opinions that they are indiscriminate or redundant. In my opinion, they are neither indiscriminate nor redundant for the reasons that ① the discrimination between mutual agency of wife/husband for family matters and joint debt of household affairs can be found in a judicial decision of korean supreme court, ② it is illogical to interpret section 827 as ‘representation’ in disregard of “agency” in a regal wording of the provision, ③ these provisions don’t have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cause joint debt of household affairs can raise in addition to mutual agency of wife/husband for family matters, ④ there are a peculiar function and an inherent sphere in each provision.

      • KCI등재후보

        전자학습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자 보호

        오병철(Oh Byoung Cheol) 한국정보법학회 2009 정보법학 Vol.13 No.1

        전자학습은 이용자의 범위확대, 공익성, 계속적 / 지속적 접속관계의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다른 디지털콘텐츠의 이용자 보호와는 구별되어야 한다. 현재의 법규는 이러한 특성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어떠한 형태로든 전자학습의 특성을 고려한 이용자보호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청약철회권과 관련하여서는 이용을 개시하지 않은 이상 언제든지 기간제한 없이 청약철회권이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용자의 사유로 인한 해지도 허용되어야 하며, 이때에는 이용한 비율에 따라 이용료를 감액하고 10%이내의 위약금을 부담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용자의 사유로 인한 이용정지도 또한 허용되며, 1년 이내의 기간 내에서 이용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계약해지시 기수령한 사은품의 경우에 미사용한 경우라면 원물을 반환하되 반환이 불가능한 경우라면, 동종 물건의 시중가격을 반환하여야 할 것이다. 만약 사용한 경우라면 사은품의 반환과 더불어 사용기간의 비율에 사은품의 가격을 곱한 액수만큼 추가지급하여야 할 것이다. 접속불가의 경우 사용자의 귀책사유가 있는 경우에만 책임을 부과하되, 사전에 고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4시간 이상 서비스 불능시에만, 불능시간에 해당하는 이용요금에 3배를 배상하고, 사전에 고지된 경우에는 10시간 이상 서비스 불능시에만 불능시간에 해당하는 이용요금에 3배를 배상시켜야 할 것이다. 다만 사전에 고지하더라도 최장 7일을 초과할 수 없다고 규정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이용후 품질불만의 경우에는 현행 법제도상으로는 특별한 구제수단이 없으며, 시장기능에 맡겨야 할 것이다. The e-learning has a lot of characters as an expansion of user, public interest and continual / continuous access. So it may be regulated with distinction of other digital contents. For an operative law has no provision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the consumer protection measure under consideration of that should be constructed at any form of regulation. (i) A consumer has a cooling-off right without a time limit before streaming or downloading contents. (ii) If a consumer cancel a contract after streaming or downloading them, the service provider has to return fees deducting portional fees and 10% a penal sum. (iii) A consumer can suspend to use e-learning up to 1 year. (iv) A unused bonus gift must be returned at cancellation or cooling-off right but a used bonus gift also be returned with compensation that can be estimated with portional rate of a price of that. (v) The dissatisfaction of e-learning is not regal problem but marke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