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C-MS/MS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중 실리마린 분석법 연구

        오미현,이진희,김상아,김미혜,Oh, Mihyune,Lee, Jin Hee,Kim, Sang-A,Kim, Meehye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2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단성분보다는 복합제품 개발이 우선시되고, 12가지 기본제형이외에도 즉석밥과 같은 일반식품형태의 제품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에서 기능성(지표)성분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복합제품 등에서 정성 정량 가능한 밀크씨슬 추출물의 기능성(지표)성분인 실리마린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LC-MS/MS)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실리마린의 6가지 구성성분, 실리크리스틴, 실리디아닌, 실리빈A, 실리빈B, 이소실리빈A, 이소실리빈B를 동시분석할 수 있는 정성 정량시험법을 확립하였다. 확립된 시험법에 대해 특이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도, 정밀도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중 유통검체 17건을 확보하여 시험한 적용가능성도 검토하였다. 직선성에서는 $r^2$ > 0.999 이상임을 확인하였고,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실리크리스틴은 0.3, 0.8, 실리디아닌은 9.0, 27.3, 실리빈A은 3.3, 9.9, 실리빈B는 5.4, 16.3, 이소실리빈A는 4.9, 14.9, 이소실리빈B는 3.2, $9.7{\mu}g/L$이었다. 또한 평균 회수율은 96.2~98.6%로 나타났으며, 반복정밀도는 상대표준편차 3%이하, 실험실간 재현성은 1.5%이하로 나타나 정확성, 재현성이 우수하였으며 이는 AOA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기준에 모두 적합한 수준이었다. 시중 유통품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81.2~106.5%로 모두 적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건강기능식품 중 실리마린의 정성 정량분석에 이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건강기능식품 공전 개정에 반영되어 우수한 품질의 건강기능식품유통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is amending its test methods for the use of health functional foods (dietary food supplement), in order to establish regulatory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in Korea. In this regard, we continue to pursue and perform our research on the analytical method development for the items being researched and reviewed.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 sensitive and selective test method that could simultaneously separate and determinate six major bioactive flavonolignans in silymarin, which are based on the use of a liquid chromatographic-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The standard calibration curves presented a linearity effect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2$) > 0.999. The limits of detection (LODs) and limits of quantitation (LOQs) were in the range of $0.3{\sim}9.0{\mu}g/L$ and $0.8{\sim}27.3{\mu}g/L$, respectively. The recovery results ranged between 96.2~98.6% at 3 different concentration levels, and its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s) were less than 5% as noted in this study.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 was characterized with a noted high resolution of the individual silymarin constituents, and the assay was fully validated as well. Our research can provide a significant scientific evidence that can be useful to amend the silymarin test method for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de.

      • KCI등재

        고령자 주방공간의 디자인 방향성 연구

        오미현 ( Oh Mihyun ),이종세 ( Yi Jongs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한국의 고령자는 한국전쟁을 경험하고 근현대에 청년시절을 보낸 세대로 한국의 전통공간과 아파트 , 서양식 문화를 경험한 세대이다. 아궁이 부엌과 입식주방의 변화, 냉장고, 식기세척기, 오븐 등 첨단기술발전을 경험하지만 조리 및 식습관의 식문화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고령자가 현재 거주하는 공간에서 주방 공간 사용실태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한다. 궁극적으로는 변화되는 사회 환경에 맞도록 고령자의 새로운 주거 공간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는 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고령자를 위한 주방 공간의 실태분석으로 현장실태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실태조사는 2019년 6월부터~8월까지 4가구를 방문하여 심층인터뷰를 진행, 설문조사를 위한 평가요인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10월부터 12월까지 107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평가요인을 바탕으로 추출한 설문지를 1:1로 작성하게 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분석결과는 SPSS 통계전문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확성과 객관성이 확보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주방의 작업대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은 주방설비 영역이였다. 반면 작업대의 면적과 재질에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수납장은 하부장의 형태-하부장 높이-수납장문개폐방식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수납장의 개수와 상부장의 높이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주방공간의 조명환경에서는 자연채광은 집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에 대한 재료 및 재질에서 가구는 세라믹/대리석과 원목을 선호하였으며 재료 선택에 있어서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안전성과 청소의 용이성으로 나타났다. 반면 심미적 효과를 고려하는 사용자는 가장 적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로 제안하는 고령자를 위한 주방공간의 디자인방향성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의 주방공간의 개선은 주방의 면적, 작업대, 식사공간, 수납환경을 중점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주방가구에서는 작업대의 면적을 넓히고 수납가구 중에서 상부 수납장의 형태를 개선해야 한다. 셋째, 고령자의 주방공간에 자연채광이 더 유입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elderly in South Korea is a generation that lived through the Korean War and spent their youth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They have experienced both―traditional Korean living spaces as well as Western-style houses and apartments. They saw changes in the furnace type kitchen and walk-in kitchen as well as changes through high-tech technological developments like refrigerators, dishwashers, and ovens. Despite all these changes, their way of cooking and eating has remained largely unchange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residential kitchen spaces are used by the elderly and analyzes the problems they face.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data to propose a new direction for residential space design for the elderly to help them align with the changing social environment. (Method) This study conducted a a survey to understand kitchen space usage of the elderly. Before the survey, a field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obtain evaluation factors needed for creating the questionnaire. The field investigation involved in-depth interviews with elderly individuals conducted at their homes during June-August 2019; four households were visited. Coming back to the survey, it targeted 107 elderly persons during October-December 2019. The participants had to fill out a survey questionnaire 1:1 which collected their opinions. The analysis findings were used to derive results that can secure accuracy and objectivity by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Results) In the kitchen counter, the kitchen equipment provided the highest satisfaction. Meanwhile, the area and quality of the kitchen counter were sources of low satisfaction. The kitchen cabinets, specifically the height of the lower cabinets and their door operators were considered important. In contrast, the number of cabinets and the height of the upper cabinets were less important. Regarding the kitchen material and quality, ceramic/marble and hardwood materials were preferred for the furniture. Safety and ease of cleaning were the top priorities while selecting the materials. Meanwhile, the least number of participants considered the aesthetic effect.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First, improvements must focus primarily on space utilization, kitchen counter, dining space, and cabinets. Second, the kitchen counter must be extended and the design of the upper cabinets must be improved. Third, the design must allow the kitchen space to be illuminated with natural light.

      • KCI등재

        창의적 디자인사고와 디자인 프로세스를 고려한 공간디자인 연구

        오미현 ( Oh Mih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6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공간디자인 전공자의 창의적 교육 향상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창의적사고의 디자인방법이 공간디자인의 프로세스에서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창의적 디자인 사고방법이 고려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를 탐구하여 실행방안을 모색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창의적 사고와 디자인 방법론(프로세스)에 대한 이론 고찰을 시행하고 창의적 디자인사고를 고려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를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공간디자인 전공의 학생들에게 사용을 유도하고 척도법을 활용하여 수행능력을 살펴보았다. 시간적 범위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의 수행 기간은 2021년 5월부터 6월까지 두 달에 걸쳐 학생들의 프로젝트와 함께 진행되었다. 피험자로는 46명의 공간디자인교육을 수행하는 학생들로 프로젝트의 종료 후 23명씩 이틀에 거쳐서 진행되었다. 피험자들에게 프로세스를 진행한 후 수행능력을 바탕으로 영역별 프로세스의 능력 정도를 평가한 후 피험자들이 어려운 과정을 살펴보고 대안방안을 모색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에서의 창의성은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과정에 있어서 무엇을 문제로 인식하느냐가 중요하며 이것을 우리는 디자인사고의 능력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디자인사고와 디자인 방법론을 고려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는 1단계로 공간 공감하기 2단계로 공간의 문제를 정의하기 3단계로 공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4단계는 공간을 표현하기 5단계는 디자인 결정 및 전달의 단계로 진행되었을 때 학생들의 수행 능력의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셋째,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공간을 정의, 즉 공간의 문제를 인지하는 능력이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과정으로 창의적 능력향상이 요구된다. 이것은 디자인사고의 ‘문제 인식’의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공간의 문제 인식’ 에 해당하는 공간디자인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결과) 이를 위한 대안으로는 공간디자인커리큘럼의 기초과정에 학생들에게 ‘디자인사고’의 개념을 접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나 디자인사고의 방법인 ‘확산과 수렴’의 과정을 통하여 ‘문제 인식’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공간디자인 기획단계에서 ‘공간의 문제 인식’으로 연계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능력을 향상되게 할 것이다. 연구의 제한점은 피험자의 인원이 46명으로 한정되어 연구결과의 제시에 있어서 객관성이 다소 부족해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약 2개월 이상이 소요되었다는 시간적 범위와 해당 과정이 정성적 연구방법으로 진행된 것을 고려하였을 때 본 연구의 방법과 결과는 공간디자인 교육의 기초토대를 구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복잡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의 효율적인 접근성을 유도하고 창의성이 기반이 된 디자인교육으로 공간디자인교육의 기초토대를 구축하는 연구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creative education of those majoring in spatial design,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the creative thinking-based design methods with the spatial design process, and furthermore, explored the spatial design process that took the creative design thinking methods into consideration, and sought the implementation measures. (Methodology) For the scope of this study, theoretical examination of creative thinking and design methodology(process) was conducted, and the spatial design process that took the creative design thinking into consideration was proposed. (Results) The students majoring in spatial design were induced to use the proposed model, and their performance ability was evaluated by using the scaling method. For temporal scope, the spatial design process was carried out for 2 months from May to June, 2021 in parallel with students' proj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 students partaking in the spatial design education which was performed for 2 days by each group comprised of 23 students after completion of project. After the process was implemented for the subjects, the ability of the subjects for the process by area was evaluated based on their performance ability. Then, the subjects examined difficult processes and explored alternative measur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 of 'what should be recognized as problem in the process of problem recognition and resolution' takes on an importance for the creativity in the design, which can be considered the design thinking ability. Second, the spatial design processes, which took the design thinking and design methodology into consideration, c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ability of students when those processes were carried out in 5 stages: the first stage involving the empathy with the space; the second stage for defining the problem of space; the third stage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space; the fourth stage for spatial representation, and the fifth stage for design decision and conveyance. Third, the ability to define the space, i.e.,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problem of space, in the spatial design process, was found to present the greatest difficulty to students and required an improvement in the creative ability. As a solution to that, the basic course of spatial design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 concept of 'design thinking' can be approached by students, and particularly, the 'problem recognition' ability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divergence and convergence', a method for design thinking. Such results will be linked to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of space' in the spatial design planning stage, and ultimately,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spatial design process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