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 농업 컨설팅 활력화 방안

        오대민(Dae Min Oh),최영찬(Young Chan Choe) 한국농촌지도학회 2000 농촌지도와 개발 Vol.7 No.2

        The way society works in the 21st century differs from that of 20th century, since the people are brought-up to speed regarding current technologies. The www.aflos.pe.kr site and direct e-mailing system were very useful in delivering floricultural information to extension educators, producers, and variety of individuals. The author`s one year experience indicated that extension educators and farmers are receptive to Internet technologies, and extension educators have increased the knowledge base of their clientele by responding through direct e-mails. The Internet and direct e-mailing systems were popular and powerful way of transferring floricultural information, especially agricultural extension manpower were limited because of localization of extension educators by changing national status to local governments and decreased number of extension educators through government restructuring. The direct e-mailing to approximately 503 individuals resulted about 1∼3% responses and the number of phone calls, however virus protection software for e-mail, Internet, file servers and desktops to provide the integrated real-time detection of viruses were needed. For more effective operation of direct e-mailing in the future, more specified target groups and specialized organization such as perennials, bulbs, flowering potted plants. and cut flowers. At the same time, things that have worked for last century should not be replaced with new technology, specifically, the value in one-on-one meetings should not be replaced, but rather serve as a supplement.

      • KCI등재

        다상유동해석을 이용한 파일롯규모 혼합확산장치의 운영인자 도출에 관한 연구

        오대민(Daemin Oh) 대한환경공학회 2018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0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녹조발생으로 인한 호소의 부영양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하고 있는 혼합확산장치 임펠러를 실제 호소에 적용하기 위해 파일롯 규모의 혼합확산장치를 개발함에 앞서 임펠러 운전으로 인한 혼합확산영향에 대한 운영인자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 혼합확산장치 임펠러는 하부의 물을 상승시키고 수표면에서 Jet흐름에 의한 대기접촉 및 물표면으로 확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직경 700 mm로 제작된다. 다상유동해석기법을 적용하여 정상상태 조건에서 임펠러의 운전특성을 예측하고 비정상상태 조건으로 영향반경을 예측하였다. 임펠러의 최대속도는 약 6.78 m/s로 나타났으며, 임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자유표면의 높이와 속도벡터는 날개의 압력면에서 수위상승과 흡입면에서 수위가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출량은 회전수에 정비례하였고 모드전환에 따른 토출량 및 에너지효율은 거의 동일하였다. 또한, 혼합확산장치 운전 후 3분후에는 40 m의 영향반경을 나타냈고 13분 경과 후 자유표면에서 약 90 m 확산되며, 자유표면 하부에서는 약 40 m까지 영향반경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operational parameters by predicting the effect of mixed diffusion by operating the pilot-scale device’s impeller applied to the actual lake. This device is installed to prevent the eutrophication of the reservoir due to the occurrence of algae. The diffusion mixer’s impeller of this study has the function of raising the lower water and diffusing to the atmospheric contact and water surface by the jet flow at the water surface, and it is manufactured with a diameter of 700 mm. In this study, the multi-phase flow analysis technique was applied and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impeller were predicted under the steady state conditions and the influence radius was predicted under the un-steady condition. The maximum velocity of the impeller was about 6.78 m/s. The height and velocity vector of the free surface generated by the impeller showed a increase in the pressure level of the wing and a decrease in the water level on the suction side. The discharge flow rate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rpm, and the discharge amount and energy efficiency of the mode conversion were the same. Also, after 3 minutes from the operation of the water circulator, the radius of influence was 40 m. After 13 minutes, the free surface was spread about 90 m and the radius of influence was increased to about 40 m below the free surface.

      • KCI등재후보

        국내 논문에 있어 대상자별 원예치료 프로그램 내의 원예활동 조사연구

        오대민(Dae-Min Oh),장유진(Eu-Jean Jang),소인섭(In-Sup So),이영현(Young-Hyun Lee),허무룡(Moo-Ryong Huh),최영애(Young-Ae Choi),허북구(Buk-Gu Heo)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1

        다양한 상황 및 대상에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원예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원예활동을 위한 새로운 원예용품 및 작물 개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원예치료와 관련한 69편의 연구논문을 분석한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원예활동은 대부분 실내에서 식물 기르기(Ⅰ형), 실외 정원에서 식물 기르기(Ⅱ형), 아트와 크래프트(Ⅲ형)이었으며 그 종류가 다양하게 활용되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그룹 활동(Ⅳ형), 소풍(Ⅴ형), 요리(Ⅵ형), 식물과 관련한 공부(Ⅶ형)로 분류되는 원예활동은 그 종류가 한정적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대상자 특성을 고려한 치료사의 의도에 따른 활동 선정과 원예와 관련된 활용 가능한 각종 인프라의 여건이 상당부분 작용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앞으로 활용 가능한 원예 관련 시설, 대상자 특성이 고려된 원예 활동 용구 및 식물과 원예활동을 바탕으로 통합된 커리큘럼 등의 요소를 포함하여 원예활동을 분석한다면 보다 발전된 학문과 산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ixty nine research papers related with horticultural therapy were studied to develop a therapy program which could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participants under various circumstances and provide a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new horticultur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apers, the most frequent form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applied to therapy programs were found out to be plant culture indoor (type Ⅰ), plant culture in outdoor garden (type Ⅱ) and art and craft (type Ⅲ). However, variations activities related with group activity (type Ⅳ), picnic (type Ⅴ), cooking (type Ⅵ) and botanical study (type Ⅶ) were limited. These findings would be explained by the choice of therapists taking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articipants available horticultural infrastructure into account.

      • KCI등재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제염제 혼합확산장치의 유동특성분석

        오대민(Daemin Oh),강성원(Sungwon Kang),김영석(Youngsug Kim),정성희(Sunghee Jung),문진호(Jinho Moon),박장근(Jangguen Park) 大韓環境工學會 201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능 사고로 인한 오염물질 유입으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염제의 혼합확산장치 개발에 앞서 장치 가동으로 인한 혼합 및 확산영향을 예측하는데 있다. 유동특성분석을 위해 사용된 추적자는 방사성 동위원소는 Gy, To이며, 이를 검측하기 위해 2인치 NaI 방사선 검출기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 적용된 제염제 혼합확산장치의 임펠러는 3가지 type으로 제작하였다. 방사혼합형 임펠러는 상향류 흐름을 이용하여 수표면으로 확산이 가능하며,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해 핀 구조를 조정하였다. 방사능 동위원소를 이용한 제염제 혼합확산장치의 유동특성을 분석한 결과, 모델별 혼합확산과 유동패턴특성을 획득하였다. Model 3 type은 별도의 Fin유도부와 보조 Fin이 구성되어 있어 다른 type의 임펠러보다 확산속도가 크고 완전혼합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edicted the effects of mixing and diffusion due to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before the development of the mixed diffusion device for the decontamination absorbent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contaminant inflow due to radiation accident. The tracer used for the flow characteristics was <SUP>68</SUP> Ga, <SUP>99m</SUP> Tc, which is a radioactive isotope, and 2 inch NaI radiation detector was used to detect it. The impeller of the decontamination mixed diffusion system applied to this study was made into three types and the mixing diffusion effect was compa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low characteristics of the radio-isotope with decontamination mixed diffusion device, mixing, diffusion and flow pattern were obtained. The radial mixing type impeller was able to diffuse to the water surface by the upflow flow, and the fin structure was adjusted for finding optimal conditions. The model 3 type consists of a fin guiding part and an auxiliary fin so that the diffusion speed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types of impellers. It also showed a short time to reach complete mixing.

      • KCI등재후보

        국내 논문에 있어 원예치료 대상자별 프로그램 분석연구

        오대민(Dae-Min Oh),장유진(Eu-Jean Jang),소인섭(In-Sup So),이영현(Young-Hyun Lee),허무룡(Moo-Ryong Huh),최영애(Young-Ae Choi),허북구(Buk-Gu Heo)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1

        국내에서 진행되는 원예치료의 치료 성과 연구를 보다 심화ㆍ발전시키며 다각적인 효과성 입증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1998년부터 2003년까지 6년간 원예 관련 학회지 발표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원예활동은 대부분의 대상자별 프로그램에서 아트와 크래프트, 실외에서 식물 가꾸기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진행 횟수는 11~15회, 진행 간격은 주 1회, 대상인원은 10명 미만,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식물 옮겨심기의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원예치료가 수행된 대상자별 원예활동의 범주 및 프로그램 진행 횟수와 간격, 참여 인원, 상위빈도로 사용된 활동의 형태의 경향이 비슷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대상자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인 치료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의 여부를 검증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여겨진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search outcomes of horticultural therapy through the papers published of academic journals in horticulture for 6 years in Korea and demonstrate its multilateral effects. The most frequent forms of horticultural activity were in most cases art and craft (type Ⅲ) and outdoor plant growing (type Ⅱ); the number of times horticultural activities were done ranged from 11 to 15 (37.7%), the frequency was once a week (81%),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less than ten (47.8%), and the most frequent form of horticultural therapy was transplanting (72 times). Therefore, the kind of horticultural activity, the number of times and frequency of them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tend to be similar regardless of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re individualized and diversified programs of horticultural activity need to be designed and implem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