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넓패(Ishige foliacea)의 최종당화산물 생성저해 활성 및 신장세포 보호 효과

        조치흥 ( Chi Heung Cho ),김민경 ( Mingyeong Kim ),염가희 ( Ga Hee Youm ),김세라 ( Sera Kim ),박용곤 ( Yongkon Park ),이상훈 ( Sang-hoon Lee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20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에서 국내 자생 갈조류 중 하나인 넓패를 이용하여 추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당뇨병성신장증의 합병증을 유발하는 물질로 알려진 최종당화산물의 생성 억제 효과, 최종당화산물과 콜라겐 사이의 교차결합 형성 억제 효과 및 교차결합 절단 효과를 평가하였다. 넓패 70% 에탄올 추출물은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과 같은 생리활성 성분을 가장 많이 함유하는 추출 조건임을 확인하였으며, 최종당화산물의 생성 억제, 최종당화산물과 콜라겐 사이의 가교결합 형성 저해 및 생성된 가교결합을 절단하는 효과 또한 가장 높았다. 특히, 70% EtOH IFE는 양성대조군으로 처리한 AG보다 더 높은 교차 결합 억제 및 교차결합 절단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70% EtOH IFE는 MGO에 의해 유도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장 세포인 mesangial 세포의 세포 내 산화적 스트레스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apoptosis로 인한 세포 사멸을 감소시켜 신장 손상을 보호하는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넓패는 부작용이 적은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제 개발 후보물질로서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국내 자생 해양자원의 가치 향상을 위해 넓패의 생리활성 성분의 동정 및 당뇨합병증 예방과 치료에 작용하는 메커니즘 구명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glycation activities and renoprotective properties of Ishige foliacea. The yield of extract ranged from 3.20 to 35.59%. Among the extracts, 70% aqueous ethanol extract of Ishige foliacea (70% EtOH IFE)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ndensed tannin,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1.570 ± 0.165 mg GAE/g DW, 0.407 ± 0.008 mg CE/g DE, 0.353 ± 0.050 mg CE/g DE, respectively). 70% EtOH IFE showed the highest breaking activity against preformed AGEs-BSA cross-link than ALT-711, the well-known cross-link breaker. In addition, 70% EtOH IFE observed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the AGEs-BSA cross-link and exhibited more potent than aminoguanidine, a well-known AGEs-BSA cross-link inhibitor. Treatment with the 70% EtOH IFE, at 2, 10, and 50 μg/mL, reduced oxidative stress to the level of approximately 186.3-95.9%. The intracellular antioxidative effect of the 70% EtOH IFE was stronger to that with amino-guanidine at 500 μM. Pre-treatments of cells with the 70% EtOH IFE at concentrations of 2, 10, and 50 μg/mL led to 60.3%, 38.0%, and 20.8% decrease in apoptotic cells, respectively. These result suggest that 70% aqueous ethanol extract of Ishige foliacea can serve as a good source of natural anti-diabetic complications agents via breaking and inhibition of AGEs-BSA cross-link and renoprotective effects against MGO-induced oxidative stress.

      • KCI등재

        톳(Hizikia fusiformis)의 최종당화산물 저해 효능 및 신장 보호 효과

        김민경 ( Mingyeong Kim ),조치흥 ( Chi Heung Cho ),염가희 ( Ga Hee Youm ),박용곤 ( Yongkon Park ),이상훈 ( Sang-hoon Lee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20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25 No.4

        국내 자생 갈조류 중 하나인 톳을 이용하여 추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당뇨병성 신장증의 합병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알려진 최종당화산물과 콜라겐 사이의 교차결합 절단 및 교차결합 형성 억제 효과 및 최종당화산물의 생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총 페놀, 탄닌 및 총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 성분을 가장 많이 함유하는 추출 조건이 70% 에탄올임을 확인하였다. 톳 70% 에탄올 추출물(70% EtOH SFE)은 최종당화산물과 콜라겐 사이의 교차결합 절단 및 교차결합 형성 억제 및 최종당화산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특히 70% EtOH SFE는 MGO에 의해 유도되는 mesangial 세포 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apoptosis로 인한 세포 사멸을 감소시켰다.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톳은 부작용이 적은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제 개발 후보물질로서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톳의 최종당화산물에 의한 당뇨합병증에 활성을 가지는 성분의 동정 및 당뇨 합병증 예방과 치료에 작용하는 메커니즘 규명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glycation effects and renal protective properties of Sargassum fusiforme extract against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induced oxidative stress. Among the extracts of S. fusiforme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hanol (0, 10, 30, 70, and 95%(v/v)), 70% aqueous ethanol extract of S. fusiforme (70% EtOH SFE)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ics, condensed tannin,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0.797±0.036 mg GAE/g DW, 0.298±0.009 mg CE/g DW, 0.381±0.060 mg CE/g DW, respectively). All tested extracts of S. fusiforme showed concentration-dependent anti-glycation activity, in particular, 70% EtOH SFE exhibited the most prominent anti-glycation effects in all in vitro experiments. 70% EtOH SFE inhibited 7.13% AGEs-BSA and collagen cross-link at a concentration of 100 μg/mL , which w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aminoguanidine (36.9%.), the well-known cross-link inhibitor. 70% EtOH SFE (100 μg/mL) showed AGEs-BSA and collagen cross-link breaking activity to the 17.9%. Additionally, 70% EtOH SFE inhibited formation of AG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up to 66.8%. Furthermore, treatment with 70% EtOH SFE not only increased the viability of methylglyoxal (MGO)-induced mesangial cells to 64.9%, but also dramatically reduced the intracellular oxidative stress level to 94.9%. The treatment of 70% EtOH SFE was decreased MGO-induced apoptotic cell death by 21.9% while aminoguanidine by 33.4%. Consequently, our results suggest that 70% EtOH SFE may be a good source of natural therapeutic agent for manage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via anti-glycation effect and renal protective ability against MGO-induced oxidative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