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성교육에 관한 공자사상의 이론근거

        연재흠(Yeon, Jae-heum),안재호(Ahn, Jae-ho)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5 교양학연구 Vol.0 No.1

        If ‘Education of humanism’ aims to improve personal moral dignity and in the education words and behaviors of the sages can work as a good model, we can fully interpret integrity of personality and identify methods and theoretical grounds to complete it through the thoughts of Confucius. Confucius suggests how far human beings are able to reach in terms of stages of personality, through his own progress of life. The highest stage he shows is ‘freedom’ and ‘Heaven-Man Unity’, which means completion of moral dignity and infinity. The theoretical base of Confucius for this stage that humans can reach is ‘Benevolence(仁)’. ‘Benevolence’ is innate morality which not only indicates love, honorable conduct and the public interest, but also is given us transcendentally. We feel discomfort and insecurity in the morally relevant circumstances because of this innate morality given for humanity. Based on this morality and moral sentiments, we are able to lift ourselves to the best level of personality. This is the reason why education of humanism can be conducted by Confucian idea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공동체와 개인 ; 여조겸(呂祖謙) 심론(心論) 연구(硏究): 여조겸과 주희의 사상적 대립과 절충

        연재흠 ( Jae Heum Ye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한국 철학논집 Vol.0 No.38

        주희·장식과 더불어 東南三賢이라 일컬어지는 呂祖謙은 남송시대 대표적인 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여조겸은 심후한 家學을 바탕으로 당시의 학자들과 폭넓게 교류하며 자신의 학문체계를 건립하였다. 여조겸의 心論은 기본적으로 맹자의 良心·本心에 관한 이론에 기초하고 있다. 여조겸은 初心·內心을 통해 이러한 양심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여조겸에 따르면 양심이 외부사물과 접촉했을 때 바로 생기는 마음이 初心이며, 初心은 외부사물에 대해 옳은 판단을 내릴 수 있다. 內心은 도덕적 자각능력을 회복한 양심·본심을 의미한다. 여조겸의 心論의 중요한 특징은 心外無道·心外無天에 있다. 여조겸은 이를 통해 마음과 天·道·理가 하나임을 강조하였다. 여조겸은 鵝湖寺의 모임을 주선하며, 주희와 육구연의 학문적 절충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發明本心을 주장했던 육구연과는 달리 양심의 자각과 더불어 道問學 역시 중시하였다. 한편 여조겸은 주희와 마찬가지로 敬을 중시하였다. 그러나 여조겸에게 있어 敬이란 純一不雜한 道德心의 無間斷을 의미하며, 誠과 동일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 여조겸은 독서와 강학을 중시하였지만, 마음의 자각과 반성, 間斷 없는 지속을 통해 理를 이해하고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이 주희와의 절충과 대립을 통해 드러나는 여조겸의 心學的 學風은 남송 시대 사상계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LuZuqian(呂祖謙) was one of the famous philosophers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and is called one of DongNamSanXian(東南三賢) together with ZhuXi(朱熹) and ZhangShi(張식). With his profound knowledge transmitted and uphold by JiaXue(家學), LuZuqian(呂祖謙) established his learning system, interacting with scholars of those days. Principally, LuZuqian(呂祖謙)`s XinLun(心論) was based on Mengzi(孟子)` theory of LiangXin(良心) and BenXin(本心). LuZuqian(呂祖謙) explained the meaning of such a conscience through ChuXin(初心) and Inner NeiXin(內心). According to LuZuqian(呂祖謙), ChuXin(初心) arouses when one encounters external things, and this one`s intention enables us to make the right judgments over the outside objects. NeiXin(內心) means LiangXin(良心) and BenXin(本心) that recovered the ability of moral awareness. The important significances of LuZuqian(呂祖謙)`s XinLun(心論) are XinWai WuDao(心外無道), and XinWaiWuTian(心外無天). Through these, LuZuqian(呂祖謙) emphasized that Tian(天), Dao(道), and Li(理) are one. LuZuqian(呂祖謙) arranged a meeting of EHuSi(鵝湖寺), and exerted efforts to negotiate the academic differences between ZhuXi(朱熹) and LuJiuyuan(陸九淵). However, compared with LuJiuyuan(陸九淵) who asserted FaMingBenXin(發明本心), LuZuqian(呂祖謙) put the emphasis on DaoWenXue(道問學) with self-awareness of conscience. Meanwhile, LuZuqian(呂祖謙) valued much of Jing(敬) like ZhuXi(朱熹). But, to LuZuqian(呂祖謙), Jing(敬) meant WuJianDuan(無間斷) of ChunYiBuZa(純一不雜) DaoDeXin(道德心), and implied the same as Cheng(誠). LuZuqian(呂祖謙) stressed the reading and pursuit of study, however, he also asserted that Li(理) could be understood and realized through self-awareness of one`s mind and its reflection, and working without interruption. LuZuqian(呂祖謙)`s academic tradition of the XinXueDe XueFeng(心學的 學風), which reveals through compromise and confrontation with ZhuXi(朱熹), can be said that it will have a significant meaning of idealism of dispute in the Southern Song period.

      • KCI등재

        호굉(胡宏) 심론(心論) 연구(硏究) : 성(性)과 심(心)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재흠 ( Yeon Jae-heu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5

        이 글의 목적은 호굉(胡宏) 철학에 있어, 성(性)과 심(心) 개념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성체심용(性體心用), 미발(未發)·이발(已發), 진심(盡心)·진성(盡性) 등을 중심으로 성(性)과 심(心)의 관계 등에 관해 고찰하는데 있다. 호굉은 사람이 신체를 이루고 가장 기본적인 인간관계에 기초하여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까닭은 궁극적으로 모든 도리(萬理)를 갖춘 ‘성(性)’이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호굉은 성(性)을 본체의 차원에서 이해했으며, 천(天)·도(道)·중(中)·리(理) 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 그리고 호굉은 모든 도리를 갖춘 성(性)을 인간의 생명활동 속에서 체현하는 것이 마음이라고 생각하였다. 호굉은 이것을 성체심용(性體心用)으로 설명하고 있다. 한편 호굉은 미발(未發)·이발(已發)에 관한 논의에 있어, 성인(聖人)과 보통 사람이 지닌 성(性)은 같지만 마음에 있어서는 다르다고 주장한다. 성인(聖人)의 마음은 고요히 움직이지 않을 때나 사물과 감응할 때를 막론하고 모두 정(靜)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보통 사람의 마음은 내면의 욕구와 외부 사물에 의한 유혹 등으로 말미암아 동요되기 쉽다. 그러나 이것은 성인(聖人)과 보통 사람들이 각기 상이한 마음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양심(良心)이 내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는 호굉의 주장에 따르면, 성인(聖人)이나 보통 사람이나 모두 동일한 마음을 지니고 있으며, 다만 마음이 일으키는 작용의 범위나 역량 등에 따라 양자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호굉은 마음을 다함(盡心)을 통해 성(性)을 다할 것(盡性)을 주장한다. 호굉에게 있어 마음을 다한다는 것은 성(性)이 지닌 만리(萬理)를 체현하는 것이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성(性)을 따라 그 마땅함을 실현하는 것이다. 호굉에게 있어 내면에 가득 차 있는 양심(良心)은, 내 안에 가득 차 있고 천지를 채우고 있는 도(道)·성(性)의 작용이다. 호굉에 따르면 성(性)은 만사만물의 근원이지만 마음이 없으면 만물을 주재할 수 없다. 또한 마음의 작용은 성(性)에 근거하며 성(性) 없이는 이러한 작용 자체가 불가능하다. 성(性)의 작용인 양심(良心)이 도덕적 마음인 이상, 양심의 작용을 가능케 하는 성(性) 역시 도덕성 자체라고 말할 수 있다. 아울러 마음이 그 작용을 남김없이 모두 발휘하는 진심(盡心)이 바로 성(性)을 온전히 체현하는 진성(盡性)이기에, 진심과 진성 역시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를 지니며, 이러한 경지가 체용합일(體用合一)·심성합일(心性合一)을 이룩한 성인(聖人)의 경지이자, 수양을 통해 도달해야 하는 궁극적 이상(理想)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meaning of human nature and mind in Hu Hung’s Philosophy. Hu Hung considered human nature as a substance(本體). And Hu Hung thought that human beings could express substance through all the activities which are originated in the mind. In Hu Hung’s philosophy, the human mind is the function of the human nature. Hu Hung placed great importance on human conscience and its function. Hu Hung distinguished the human mind into the status of ‘un-Manifested’(未發) and ‘Manifested’(已發). According to Hu Hung’s philosophy, under the status of ‘un-Manifested’(未發), both sage and ordinary people have the same human nature. Under the status of ‘Manifested’(已發), however, the functions of mind that sage and ordinary people have are different. The difference lies in the extent and capacity of the function of the mind. Hu Hung emphasized that human beings must fully develop their minds. Fully developing human being’s own minds is fully developing one’s nature. In his philosophy, to exert all the functions of the mind is to express the meaning of nature. As long as the function of human nature is conscience, the nature that enables the function of conscience can be said to be morality itself. According to him, human nature is the source of all things, but without human mind, everything can non be presided over. Therefore, in Hu Hung’s philosophy, it can be said that human nature and mind have substantially the same meaning.

      • KCI등재

        동양철학 : 당대(當代) 중국(中國)의 전통문화(傳統文化) 복원운동(復原運動)의 철학적 함의와 그 전망

        연재흠 ( Jae Heum Yeo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0 한국 철학논집 Vol.0 No.30

        중국 대륙에서 傳統文化와 思想은 근 100여년의 시간동안 역사의 격변을 거치면서 타도의 대상에서 계승해야할 遺産으로 탈바꿈 되었다. 오늘날 중국 정부와 학계, 민간에서는 빈부격차, 가치관의 부재, 정신적 의지처의 상실 등 경제발전이 남긴 부작용을 儒學을 중심으로 한 전통사상과 문화의 복원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중국 정부는 표면적으로는 사회주의 이론체계들을 고수하면서도 儒學을 이용하여 사회적 안정과 통합을 도모하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는 버팀목으로 삼고자 한다. 민간의 경우 경제발전을 통해 민족적 자신감을 회복하게 되자 전통문화 복원과 선전을 통해 민족적 자부심을 고취하고 중국문화를 세계에 선양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전통문화와 사상의 복원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전통 속에서 문화적 통일성과 정신적 안식처 그리고 새로운 가치체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비판적 계승론자나 당대 문화보수주의자들은 전통문화와 사상이 현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전통사장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해석을 통해 현대화의 부작용을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의 입장에서 본다면, 전통과 문화를 일종의``力量``(power)으로 간주하는 대륙의 비판적 계승론자나 문화보수주의자들의 관점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며, 우리에게도 전통문화와 사상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 현실문제 해결의 계기를 모색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Over 100 years in Mainland China, th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have been transformed from ``the past must be sublated`` to ``the heritage must be preserved.`` Today, China hopes to deal with the negative effects of industrial development such as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nd the absence of common values etc.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especially that of Confucianism. The Chinese government superficially accepts Confucianism for the purpose of the social stabilization and ongoing economic development while they keep the Socialism as the nation`s ideological system. In the private sectors, there is endeavoring move to make the Chines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global paralleled to their economic growth. There are also scholars who find the cultural unification and the spiritual comfort from the restoration of th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They, so called ``the critical successionists`` or ``the cultural conservativists,`` believe that the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could play a role in the Chinese modernization, and the new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ir tradition could provide an alternative for their future. In my view, we need a careful survey on the view of the critical successionists or the cultural conservativists who regard tradition and culture as a power (力量). With this, we are required to investigate our own problems through the new understanding of our traditional thought and culture.

      • KCI등재

        철학부(哲學部) : 당대(當代) 중국의 문화보수주의(文化保守主義)에 대한 철학적 조명: 웅십력(熊十力)과 풍우란(馮友蘭)의 문화관을 중심으로

        연재흠 ( Jae Heum Yeon ) 한국중국학회 2011 중국학보 Vol.63 No.-

        這篇論文的目的在於考察以熊十力和馮友蘭爲中心的當代中國的文化保守主義。其實,文化是相當複雜的槪念之一。按照英國、法國傳統來看,文化是與文明同一的槪念,用以涵蓋人的精神的、物質的、制度性的等一切創造物。與此不同,德國學者以爲文化是``人們生活的方式``或``人類生活的樣法``。關於文化,如此兩種不同的定義影響了熊十力和馮友蘭的文化觀。熊十力重視文化與思想·性情·環境之間的關係。所以他說:"文化的根抵在思想。思想原本性情。性情之薰陶,不能不受影響於環境。"熊十力雖然肯定中·西文化之間有一定的差異,但是這種差異不是等級的,而是在種類上的差異。熊十力主張中國哲學具有宇宙與人生合一的形而上學,然而西方人從知識的觀點來了解形而上學的問題。因此,中·西文化之間發生不同的發展方向。馮友蘭的文化觀經過幾次變化的過程。首先,在美國留學時,馮友蘭把中·西文化區分爲價値標準的不同。然後,他再認爲中·西文化之不同就是古·今(中世和近代)之差異。最後,馮友蘭受到馬克思主義的影響,所以他以社會類型爲中心而區分中·西文化之不同。馮友蘭反對``全盤西化``、``部分西化``、``中國本位文化``的觀點,他用個體和類型來說明中·西文化之差異。關於中·西文化之理解,熊十力和馮友蘭所持的看法是不一致的。然而,面臨在民族的·文化的危機,熊十力和馮友蘭肯定中國傳統文化的價値,進而兩者都以爲用傳統文化和道德來突破當面的許多問題。所以,熊十力主張``中·西文化之融和``,而馮友蘭主張``舊邦新命``的說法。他們的主張,可以說爲了保存傳統文化和推動近代化而提供哲學的基礎。在熊十力和馮友蘭的如此思想裏面,可以說蘊藏著對於中國傳統文化和道德的深信.

      • 공사(空士) 십훈(十訓)의 철학적 함의

        연재흠 ( Jae Heum Yeon ) 공군사관학교 2015 空士論文集 Vol.66 No.1

        공사 십훈(空士十訓)은 생도들이 군과 사회의 지도자로 성장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지켜야 할 본분과 덕목을 아우르고 있으며, 성무인(星武人)들이 지향하는 정신적·실천적 가치를 대표한다. 본 논문은 공사 십훈에 대한 동양 철학적 접근을 통해 그 의미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공사 십훈을 몸가짐과 마음가짐의 원칙, 인간관계의 원칙, 행동과 판단의 기준 및 지도자의 자세로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공사 십훈은 동양의 전통적인 철학·문화가 추구했던 가치체계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儒家와 兵家의 철학적 전통에 기초하여 공사 십훈을 분석하고 그 철학적 함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문에서는 공사 십훈의 핵심적 가치를 誠心으로 파악하여 그 의미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誠心이 없다면 스스로 진실할 수없으며, 진실하지 않은 마음가짐과 몸가짐에서 비롯되는 모든 일들 역시 진실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공사 십훈에는 도덕을 중시하는 유가의 이론과 전쟁에서 승리를 얻기 위한 병가의 주장이 함축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전통 철학의 관점에서 공사 십훈의 함의를 보다 풍부하고 심도 있게 밝혀나가는 지혜와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청된다고 하겠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better understand the Ten Mottos for the Korea Air Force Academy(空士十訓) by taking an Eastern philosophic approach. To attain this goal, restructuring principles is necessary. Restructuring includes the principle of mental and physical attitude, human relationship, standard of behavior and judgment, leadership. Moreover, based on thecustom of Philosophy of Confucianism(儒家) and Strateigist School(兵家), I have contemplated the intrinsic value of the Ten Mottos for KAFA itself. In this paper, I have specifically analyzed the sincerity(誠心) which I consider to be the core value of the the Ten Mottos for KAFA. Without sincerity, you can’t be truthful to yourself. In addition, mental and physical behavior which lack honesty result in untruthful actions. The Ten Mottos for KAFA is not only closely related to the Eastern philosophy but also encompasses duties(本分) and virtues needed for cadets to become leaders of our society. For this reason, I strongly believe that education of the Ten Mottos for KAFA in which Eastern Philosophy is contained must be provided for our cade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