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Bucillamine과 연관된 사구체신염 1예

        엄수정,윤보영,김동욱,한성훈,이윤우 인제대학교 2000 仁濟醫學 Vol.21 No.2

        Bucillamine is a new disease modifying antirheumatic drug developed in Japan with a chemical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d-penicillamine. The side effects of bucillamine include nausea, rashes, leukopenia and nephropathies in patients with RA,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d-penicillamine.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 occurs rarely as a complication of bucillamine treatment. If a patient with rheumatoid arthritis has proteinuria or edema during treatment, bucillamine-induced membranous glomeru lonephritis should be suspected as the cause of proteinuria. In those cases, renal biopsy should be taken for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We report a case of bucillamine-induced membranous glomeruronephritis in rheumatoid arthritis confirmed by renal biopsy, which improved by conservative treatment.

      • Essentials of Primary Care: 호흡기 : 한국인이 가장 많이 앓는 질병 1위, 급성 기관지염

        엄수정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6 No.-

        급성 기관지염은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에서 발생한 하기도 감염을 말하며 대개 3주 이내에 자연적으로 치료된다. 원인균은 대부분 바이러스로 대증 치료가 원칙이며 백일해나 인플루엔자 등 원인에 대한 치료를 요하는 경우도 있다. 항생제 치료는 일반적으로 권고하지 않는다. 기침 증상이 심한 경우 진해제나 거담제가 도움이 될 수는 있지만 제대로 된 연구는 부족하다. 기침과 천명음이 동반되는 경우기관지 천식의 가능성을 고려해서 자세한 병력청취를 요하며 경과 관찰을 요한다. 일부 환자에서는 베타 확장제나 스테로이드가 증세 호전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3주 이내의 증상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권고하지 않는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재래간장으로부터 구강질환 방제균의 선발 및 동정

        엄수정,이여진,김진락,이은탁,김상달 한국생명과학회 2003 생명과학회지 Vol.13 No.4

        최근 발효식품의 건강학적 활용면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발효식품 중에 가장 중요한 간장 발효미생물의 건강제품의 활용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재래식 간장에 관한 연구결과로 항암작용, 노화지연, 호르몬 분비 촉진 등이 보고되고 있으나, 구강질환 원인균에 대한 방제효과가 있는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치아우식 등 구강질환 원인균인 Streptococcus sanguis, S. salivarius, S. mutans들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제균을 선발하고 이들을 동정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우선 25종의 간장발효 균주를 분리하였고, 그 중 구강질환 방제력이 높은 2 균주(NG 06, NG 16)를 선별하였다.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의 세균분류동정표에 의해 각종 동정에 필요한 배양학적,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을 시험한 결과와 $Biolog^{(R)}$사의 세균동정시스템(MicroLogTM 3)을 이용하여 검정 실험한 결과 NG 06은 Bacillus racemilacticus로 NG 16은 Bacillus amyloliquefaciens으로 최종 확인, 동정되었다(Table 3). 앞으로 이 균들이 생산해내는 항균물질의 길항 기작에 관한 연구와 그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며 그 항균물질 효과생산 최적조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나아가 세치제 및 구강위생용품으로 활용면에 관한 연구를 확대하고자 한다. The antagonistic microorganisms against Streptococcus sanguis, S. salivarius and S. mutans causing the dental caries of oral diseases were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Twenty five strains were isolated by pairing culture, paper disc culture and dual culture methods. The isolate NG 06 strain was observed with various cultural and physiological test, and $Biolog^{(R)}$ Bacterial Identification System.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Bacillus racemilacticus. The isolate NG 16 strain was confirmed to Gram-positive, rods, endospore production, utilization of melibiose, casein hydrolysis and starch hydrolysis. Also the second strain NG 16 was identified as $\beta$. amyloliquefaciens.

      • KCI등재

        장애교육학의 관점에서 제기하는 새로운 교사교육의 필요성 : 예비교사, 교사, 교사교육가로서의 ‘나’의 이야기에 대한 성찰적 분석

        엄수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자서전적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장애교육학의 관점에서 한국의 현 교사교육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고 새로운 교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초등 및 특수 예비교사, 교사, 교사교육가로서의 연구자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러한 ‘개인적’ 경험들이 어떻게 역사적, 사회·문화적, 정치·경제적인 여러 요소들의 복잡한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었는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연구자 본인의 이야기 속에 드러나는 현 교사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에 대해 논의한다. 첫 번째, 대부분의 특수교육관련 과목들이 장애에 대한 지식과 사회의 지배적 이념과의 관련성에 대한 내용을 다루지 않음으로써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두 번째, 장애교육학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예비교사들이 이 사회에서 평생을 살아오며 무의식적으로 갖게 된 장애에 대한 ‘상식’에 대해 탈 학습(unlearning) 할 수 있는 기회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세 번째, 현 학교 체계를 구성하는 지배담론이 특정 학생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항해야하기 위한 교사 양성 기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This study aims to question the current system of teac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to propose an alternative way of preparing teachers. This autobiographic narrative inquiry presents three stories based on my subjective experiences as a pre-service teacher, teacher, and teacher educator. By analyzing the stories through a lens of Disability Studies in Education, I interrogate how my "personal" experiences were discursively constituted and interpreted in particular historical, cultural,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contexts. I discuss some issues presented in the stories. First, I raise questions about curricular decision-making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 discuss what consequences it might have to exclude an epistemological critique of special education knowledge i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econd, I discuss about the importance of providing pre-service teachers the opportunities to unlearn the "common-sense" belief and knowledge about disability. Third, I discuss roles of teacher educators to work against and within the system so that we can better prepare teacher candidates to reach and teach all students.

      • KCI등재

        통합교육의 이상 실현과 실증주의에 입각한 전통 특수교육적 지식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에 대한 철학적 고찰

        엄수정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2 No.2

        This study aims to interrogate the ways in which phyilosophical assumptions of traditional special education knowledge might work against ideal of inclusive education in an analytic essay format. This study conceptualize inclusive education as a school reform movement that strives to change normative school structures, practices, and cultures for all students in order to promote educational equity. From a postmodernist perspective on the power/knowledge relationship, this study analyzes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assumptions that undergird traditional special education knowledge, which is grounded in positivist paradigm. By doing so, this study interrogates the tensions between the ideal of inclusion and traditional special education knowledge. Some implications that this study has for educational researchers and teacher educators are discusse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analytic essay is to create a space where practitioners, administrators,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are engaged in critical and reflective conversation about inclusive education. 본 연구는 분석적 에세이의 형태를 사용하여, 통합교육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전통 특수교육적 지식의 철학적 가정이 통합교육의 이상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역설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닌지 면밀히 숙고해보자 한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일부 학생들에게만 적합했던 학교 교육체제, 교육과정, 학교문화, 그리고 교수방법을 모든 학생들에게 적합한 것으로 전환하려는 교육평등을 위한 학교개혁운동으로 개념화 한다. 통합교육의 이상을 실현하는데에 있어서 실증주의에 입각한 전통 특수교육적 지식이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지식과 권력의 상관관계라는 관점에서 특수교육적 지식의 존재론과 인식론적 가정을 분석한다. 통합교육의 이상실현과 전통 특수교육적 지식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에 대한 철학적 고찰이 교사교육과 교육연구에 어떠한 시사점을 주는지 논의한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 영역의 교사, 연구자, 정책가 및 행정가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비판적이고 반성적인 대화를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다문화 교사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연구 방향 제시

        엄수정,원종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2 No.4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urrent research trends and presen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total 62 studies collected via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database by focusing on research topics, methods, and results as well as conceptu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tudies are categorized into preliminary study for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models, current practice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nd effects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The review indicates that there has been increased research o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since 2007; yet, the majority is classified as preliminary research. Most of the studies use self‐reported survey methods, and this reveals the need of various research methods. A number of studies focus on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ies that American scholars have developed without in‐depth discussion of conceptu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Drawing on the literature, the authors offer four guideline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다문화 교사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의 연구주제, 연구방법 및 결과, 다문화교육의 개념화를 분석하여 현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검색을 통하여 2012년 3월까지 발행된 총 62개의 분석 대상 연구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선정된 연구를 다문화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 다문화 교사교육모형, 다문화 교사교육의 현황, 다문화 교사교육의 효과검증 등 네 가지 범주로 나뉘어 분석하였다. 연구 동향 분석 결과, 2007년 이후 다문화 교사교육과 관련된 연구의 수는 증가했지만, 여전히 다문화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가 대부분인 실정이었다. 연구논문 중 두 논문을 제외한 나머지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한 양적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보다 다양한 연구방법의 필요성을 드러내었다. 대부분의 대상 연구들은 다문화교육이라는 개념 자체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생략하고 미국 학자들의 이론을 적용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교사교육 분야 연구의 질적 발전을 위해 네 가지 제안점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