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남교사의 은퇴준비 과정

        양의주(Yang, Ui Ju),전경옥(Jeon Kyung Ok),하정(Ha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substantial theory describing the process of secondary school male teacher’s preparing retirement. In-depth interviews(average 90 minutes) were conducted with nine secondary school male teachers from April to December 2016.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77 concepts, 37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 coding. The paradigm model of central phenomenon revealed as ‘expecting free life after retirement’. The core category was, ‘finding the meaning of true lif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6 stages in the process of secondary school male teacher’s preparing retirement: ‘the stage of awareness of preparing retirement’, ‘the stage of life of being myself’, ‘the stage of life of development’, ‘the stage of life of being flexible’, ‘the stage of life of being together’, and ‘the stage of life of meaningful journey’. This study provides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n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secondary school male teacher’s preparing retirement. Finall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등남교사의 은퇴준비경험 과정의 실체행동 범위를 묘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은퇴 3년을 앞둔 9명의 중등남교사를 목적적으로 표집하 였다. 2016년 4월에서 12월까지 9명을 심층면담 하였다. 은퇴준비 과정에 대해 평균 1시간 반 동안 심층면담을 실시한 후 녹음내용을 전사하여 줄 단위 분석을 통해 개념을 도출하고,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 코딩에 따라 각 단계를 순환적으로 반복하며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등남교사의 은퇴준비는 77개의 개념, 37개의 하위 범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의 중심 현상은 ‘은퇴 후 자유로운 삶을 기대함’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주제에 대해 도출된 전체 범주를 관통하는 핵심범주는 ’진정한 삶의 의미를 찾아감‘으로 나타났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중등남교사의 은퇴준비 경험 과정의 분석결과는 ‘은퇴준비인식’, ‘나 다운 삶’, ‘발전하는 ’, ‘유연성 있는 삶’, ‘함께하는 삶’, ‘의미 있는 여정’의 6단계를 거치면서 온전한 자기의 삶 속으로 걸어가 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등남교사의 은퇴준비경험의 구조와 과정을 밝힘으로써 중등남교사의 은퇴준비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규명한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이주여성상담원의 직업적응에 관한 연구

        정경자 ( Kyung-ja Jung ),양의주 ( Ui-ju Yang ),김인규 ( In-gyu Kim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평화 Vol.10 No.3

        국제결혼이 증가하면서 다문화가족과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적응이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다문화가족과 이주여성을 위한 지원정책 중 하나로 다문화관련 기관에서 여성결혼이민자 중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을 선발하여 교육을 통해 자국민과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통역서비스나 모국어상담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여성상담원의 직업적응에 초점을 두고 이들의 경험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현재 다문화관련기관에서 상담원으로 일하고 있는 12명의 이주여성상담원을 심층 면접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주여성상담원이 상담원으로 일하게 된 동기는 일자리를 소개 받아서이며, 일하는데 있어 한국말이 서툴고 일과 가정생활을 병행하는 것이 환경적 취약성으로 드러났다. 상담전문성의 한계로는 내담자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이 앞서는 것이었으며, 가족·직장동료의 지지와 도움,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것에 대한 기대감이 적응에 도움이 된 요소이다. 자국어 능력을 개인적 자원으로 활용하며, 감당하기 힘든 일은 동료와 협력하여 해결하거나 부딪히며 배우는 적극적 태도로 개인과 환경이 상호작용 하였으며, 스트레스 발생 시 중요한 타인에게 이야기하여 해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는 상담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며 보람과 자부심을 가지고 상담원으로 직업적응하여 점차 전문적인 상담원으로 성장하기 위해 상담관련학과 진학 계획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향후 이주여성상담원의 전문성 함양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yudy was to investigate the job-adaption experience of immigrant-woman-counselors. Researchers interviewed 12 immigrant-woman-counselors in-depth and analysed interview data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Immigrant-woman- counselor began this job by someone`s introduction and experienced some difficulties due to clumsy Korean language ability and running parallel job and households. They experienced limitation of professional ability when they had great pity on clients, but had some supportive experience when their family and peer counselors gave some supports and helps and they had expectation of helping other people. They used their mother language ability as merits and had positive attitudes of cooperation and coping against difficulties. Now they do their job well and have pride in job. They have vision of growing as professional counselors and going to college for major in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