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문(論文) : ≪십초시(十抄詩)≫소재중당칠언율시연구(所載中唐七言律詩硏究)

        김준연 ( Joon Youn Kim ),양은선 ( Eun Sun Yang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1 中國學論叢 Vol.31 No.-

        ≪十抄詩≫是韓中兩國之間最初刊行的七律選集。這本書的收錄範圍, 是從中唐到五代的26位詩人和新羅的4位詩人的七律, 一共300首。≪十抄詩≫不僅有≪全唐詩≫中佚詩保存方面的文獻價値, 而且作爲高麗時代獨立編撰的最初的一種詩選集的價値也可貴。本文意在從文學批評的角度進行論述, 所以先考察了≪十抄詩≫所收錄的中唐七律的內容以及其選錄的背景。≪十抄詩≫所選的中唐七律有劉禹錫、白居易、張籍、賈島所作的40首。從七律發展史的角度來看, 中唐最突出的特徵就是以寄贈、唱和、送別爲主的社交題材的增加。≪十抄詩≫所收錄的七律也反映了這種現象, 收錄了將近30首的社交詩。劉禹錫的詩大部分只限制於以白居易和令狐楚之間互贈的詩, 而其選定的範圍比較狹窄。白居易的詩雖然有山水題材的七律的特徵, 但不是能구代表其創作水平的詩。張籍的詩偏向於反映日常生活的, 而賈島的詩却是大部分有代表性的。總之, 高麗文人編撰≪十抄詩≫的目的顯得有三個具體的方向。第一, 要符合高麗時代施行的科擧制度。因科目包括作詩在內, 而``學詩``的文風盛行了, 在這種情況下, ≪十抄詩≫就作爲一種"參考書", 爲了滿足學詩的需要而出現。又因爲施行的科擧制度的目的, 在於積極地包容新羅出身的文人, 所以自然愛好中晩唐的詩。第二, 通過考察所收錄的中唐詩人和其詩的特徵, 可以知道≪十抄詩≫編撰過程中的一些特點。這本選集不僅反映了羅唐詩人之間的交流程度, 而且選定的創作期間較爲偏向影響較大的唐代七律選集中, 有元好問編的≪唐詩鼓吹≫和朝鮮李敏求編的≪唐律廣選≫。≪十抄詩≫與這些選集收錄的七律比較的結果表明, ≪十抄詩≫是以社交詩爲主編撰的特徵更爲明顯的。

      • KCI등재
      • KCI등재

        흰쥐 어금니 치수에서 Peripherin 발현 축삭의 분포

        김태헌(Tae-Heon Kim),배용철(Yong-Chul Bae),양은선(Eun-Sun Yang) 대한체질인류학회 201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6 No.1

        치아 내에 존재하는 축삭들은 대부분 민말이집 축삭들과 일부 작은말이집 축삭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축삭들은 각각 다른 통증전도에 관련되어 있으며, 축삭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신경전달물질들과 수용체들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치수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축삭들의 분포양상과 종류에 따른 특징들에 대해 아직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 이 연구에서 민말이집 축삭과 작은말이집 축삭들의 표지자인 peripherin을 발현하는 축삭들의 치수 내 분포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흰쥐의 위턱 어금니 치수를 대상으로 peripherin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법을 실시하였다. Peripherin 면역양성 축삭들은 대부분 치수 가쪽 영역에 분포하였으며, 일부는 상아질모세포층에도 분포하였다. 또한, neurofilament200을 함유한 peripherin 면역양성 축삭들은 치수머리영역 중심부(79.3±2.8%)와 신경얼기 영역(78.6±1.9%)에 비해 상아질모세포층에서 공존율 (86.3±3.0%)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냈으며 CGRP를 함유한 peripherin 면역양성 축삭들은 치수머리영역 중심부(37.7±10.1%)와 신경얼기부분(40.0±5.7%)에 비해 상아질모세포층에서 유의하게 낮은 공존율(17.7±5.0%)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들은 치수 내에 존재하는 축삭들 중 작은말이집 축삭들은 상아질모세포층 영역에서 통증전달에 관여하며, 펩타이드성 민말이집 축삭들은 주로 치수머리부분의 중심부와 신경얼기 영역에서 통증전달에 관여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Dental pulp is innervated mostly by unmyelinated axons and small myelinated axons. These axons are implicated pain transmission and contain various neurotransmitters and receptors. However, little information, so far, is available on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characterization of axons involved in the dental pain. In this study, to enhance understanding of dental pain processing, we observed distribution of axons expressing peripherin, an unmyelinated and small myelinated axonal marker, the in rat maxillary molar pulp. Peripherin-immunopositive (+) axons are mostly distributed in the peripheral pulp, and a few peripherin+axons ascend into the odontoblast layer. Peripherin+ axons expressing NF200 a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odontoblast layer (86.3±3.0%) than in the pulpal core region (79.3±2.8%) and nerve plexus region (78.6±1.9%). In contrast, peripherin+ axons expressing CGRP are less frequently observed in the odontoblast layer (17.7±5.0%) than in the pulpal core (37.7±10.1%) and nerve plexus regions (40.0±5.7%).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mall myelinated axons are implicated in the transmission of dental pain arising from the odontoblast layer while peptidergic unmyelinated axons are implicated in the transmission of dental pain arising from central core and nerve plexus regions of the dental pul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