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 미취업 기간이 취업의 질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에 관한 연구

        양윤주(Yunju Yang),조민효(Rosa Minhyo Cho) 한국국정관리학회 2022 현대사회와 행정 Vol.32 No.1

        본 연구는 「청년패널(YP2007)」자료를 사용하여 4년제 대졸자를 대상으로 미취업 기간이 취업의 질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미취업 기간은 4년제 대졸 자가 대학 졸업 후 첫 직장으로 이행하기까지의 기간으로 한정하여 산출하였으며, 취업의 질은 경제적 요인인 임금과 고용상태, 그리고 심리적 요인인 직장만족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에는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 과, 미취업 기간이 길어질수록 고용상태와 임금, 직장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층이 중소기업 등 취업 선호도가 높지 않은 직장에 바로 취업하지 않고, 취업 준비 기간에 시간을 투자하는 현상이 합리적인 선택이 아님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청년층의 미취업 기간을 줄일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청년고용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ng-term effect of the unemployment period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college graduat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iod of unemployment and the quality of employment for 2,642 college graduates through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using Korean Youth Panel(YP2007) data. The unemployment period was calculated by limiting the period from college graduation to the first job. Also, the quality of employment is largely divided into “economic” and “psychological” factors, which are measured by employment status, average monthly wages, and current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longer the unemployment period, the more negative the employment status, wages, and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not a reasonable option for youth to invest time in job preparation periods without getting a job immediately. This study suggests that effective youth employment policies need to be prepared to reduce the period of unemployment for youth.

      • KCI등재

        조직문화가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 세대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승연 ( Seungyeon Kim ),양윤주 ( Yunju Yang ),조민효 ( Minhyo Cho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3 국정관리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조직문화가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세대 간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최근 공직사회 내 MZ세대 공무원의 비율이 증가하자 세대 차이로 인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그중 공공봉사동기는 국가공무원이 지녀야 할 기본적 소양이지만 MZ세대는 물론 공무원 전체의 인식 수준도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봉사동기에 대한 세대별 차이와 구체적인 증진 방안이 요구된다. 분석 결과, 시장문화와 혁신문화, 위계문화가 공공봉사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세대에 따라 다른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봉사동기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는 세대 간 차이를 보이기에 공직 내 조직문화는 한 가지로 고착화되기보다 다양해져야 한다. 둘째, 조직 내 근무제도, 규범 등을 활용하여 공공봉사동기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공해야 한다. 가령 MZ세대의 경우 혁신문화와 공공봉사동기의 관계가 유의미하였는데, 이는 곧 원격 근무 등 새로운 근무제도들이 이들의 적극적 업무 수행을 유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일과 직업에 대한 인식을 받아들이고, 공무원 성과에 대한 공정하고 적절한 성과 제도를 갖추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tion. Recently, as the proportion of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has increased, conflicts due to generational differences have arisen. Among them,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a basic skill for civil servants, but the awareness level of not only MZ generation but also the entire civil servants is decreasing.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understanding generational variations in enhanc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developing specific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market culture, adhocracy culture, and hierarchical culture had a positive impact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there were generational difference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culture influenc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differs by generation, so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public service should be diversified rather than stuck in one type. Second, Organizations should provide meausres to improve public service motivation such as work systems and norms etc. For example, the relationship between adhocracy culture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significant for Generation MZ, which means that new work systems such as remote work can induce them to actively perform their du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 perception of work and profession, and to establish a fair and appropriate performance system for civil servant’s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