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조적 형상 제어를 통한 인장에 내성을 가지는 전극 개발

        양성진 ( Seongjin Yang ),홍성경 ( Seong Kyung Hong ),임근배 ( Geunbae Lim ) 한국센서학회 2021 센서학회지 Vol.30 No.3

        Interest in healthcare and wearable devices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A strain sensor is required in various wearable devices. With respect to such devices, studies on resistance changes in strain sensors using flexible materials are in progress. However, the resistance of the rest area in a strain sensor should not change according to the applied strain. So, an electrode with resistance to stretching, bending, and torsion is required in such strain sensors. Tension, bending, and torsion can be realized through structural shape control, rather than by using flexible materials. Further, such an electrode that maintains electrical properties has been developed and manufactured. This electrode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foldable devices, e-papers, batteries, and multifunctional wearable devices.

      • 공간정보 데이터를 활용한 전라남도 서해안 연안 국·공유지 지적공부 등록 실태 연구

        신정관(Shin, Junggwan),양성진(Yang, Seongjin),박기홍(Park, Kihong),김영민(Kim, Youngmin),이재빈(Lee, Jaebin) 한국지적정보학회 2021 한국지적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2

        해안선 부근의 연안지역에 위치한 토지는 지형학적으로 정확한 해안선을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토지에 대한 현황측량을 실시하여 지적도에 등록함으로써 관리될 수 있다. 해안선은 육지와 바다의 경계가 되는 부분을 길게 연결한 선으로 연안관리를 위해 해양자원, 해양환경, 해양오염 등에 관한 자료를 내포할 수 있는 주요 공간정보로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해안선은 기상, 파랑, 조석 등 외력의 장단기적인 변화에 의해 끊임없이 계속 변화하며, 또한 댐, 방조제 등과 같은 인공적인 사회기반시설 건설도 해안선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다. 전통적으로 해안선을 결정하기 위한 측량은 주로 직접적인 현장측량을 통해 수행되어져 왔다. 하지만 인공해안선 외 자연해안선의 경우 현장 접근성이 낮고 조수 간만의 차가 커서 현황측량을 통한 해안선 토지의 관리에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 제64조 1항에 따르면 “국토교통부장관은 모든 토지에 대하여 필지별로 소재·지번·지목·면적·경계 또는 좌표 등을 조사·측량하여 지적공부에 등록하여야 한다.”라고 전제하고 있음에도 해안 주변의 토지가 미등록으로 상당수 잔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고 그에 대한 현황파악이나 분석 등 지적학적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국·공유지의 경우 해안지역의 세밀한 토지등록이 미흡하여 국가의 토지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된 최신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인 연속지적도와 자연해안관리도에 GIS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전라남도 서해안 지역의 실제 해안선과 접한 토지의 지적공부 등록 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자연 해안선과 연속지적도의 경계가 불일치되는 토지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좌표 등록을 실시한 1:5,000 정사영상을 활용하였다. 전라남도 서해안 지역에 위치한 영광, 함평, 무안, 목포 4개의 지자체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미등록 토지의 면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안선 연안의 국·공유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을 수행하였다. Land located on the coastal areas can be managed by determining the geographically accurate shoreline, surveying the land status, and registering them in the cadastral map. A coastline is a line connecting the boundary between land and sea, and is used as major spatial information that can contain data such as coastal resources, environment, and pollution. In general, shorelines are constantly changing due to short and long-term external forces such as weather, waves, and tsunami, and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infrastructure such as dams and breakwaters. Surveys to determine shorelines have been done mainly through direct field surveys. However, in the case of natural coastlines other than artificial coastlines, it is difficult to survey the land directly around the coastline because the site accessibility is low and the tidal difference is large. In addition, according to Act 64 (1) of the 「Act on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Spatial Data」, “The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hall investigate and measure the location, lot number, name, area, boundary, or coordinates and all land should be registered in the cadastral register." Despite the premise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land near the coast remains unregistered, cadastral research such as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is insuffici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national & public land, detailed land registration for coastal areas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the GIS analysis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continuous cadastral maps and natural coast management maps, which are the latest open spatial information databases, and the status of cadastral research registration of land in contact with the actual coastline of the west coast was analyzed.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land where the boundary between the natural coastline and the continuous cadastral map does not match, an orthographic image with coordinates of 1:5,000 was used. Through this study, the unregistered land area of four local governments located on the west coast of Jeollanam-do, Yeonggwang, Hampyeong, Muan, and Mokpo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were made to efficiently manage state and public land along the coast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